{{{#!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블라고에브그라드주 (블라고에브그라드) | 부르가스주 (부르가스) | 도브리치주 (도브리치) | 가브로보주 (가브로보) |
하스코보주 (하스코보) | 커르잘리주 (커르잘리) | 큐스텐딜주 (큐스텐딜) | 로베치주 (로베치) | |
몬타나주 (몬타나) | 파자르지크주 (파자르지크) | 페르니크주 (페르니크) | 플레벤주 (플레벤) | |
플로브디프주 (플로브디프) | 라즈그라드주 (라즈그라드) | 루세주 (루세) | 슈멘주 (슈멘) | |
실리스트라주 (실리스트라) | 슬리벤주 (슬리벤) | 스몰랸주 (스몰랸) | 소피아 | |
소피아주 (소피아) | 스타라자고라주 (스타라자고라) | 터르고비슈테주 (터르고비슈테) | 바르나주 (바르나) | |
벨리코터르노보주 (벨리코터르노보) | 비딘주 (비딘) | 브라차주 (브라차) | 얌볼주 (얌볼) | }}}}}}}}} |
Pyce 루세 Ruse | |||||
국가 | |||||
주 | 루세주 | ||||
해발 | 45m | ||||
인구 | 139,226명[1] | ||||
시간대 | UTC+03:00 | ||||
시장 | Pencho Milkov [[불가리아 사회당| 불가리아 사회당 ]] | ||||
1. 개요
불가리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루세 주의 주도로 다뉴브강과 접하고 있는 불가리아에서 5번째로 큰 도시이다. 오스만 제국 시절 부터 중요한 항구 도시로 바르나와 이어져 있어서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19, 20세기 지어진 네오바로크와 네오로코코 양식의 건축물로 안해 도시의 별명은 작은 비엔나이다.2. 역사
루세의 시작은 로마 황제 베스파시아누스가 트라키아인들을 막는 요새를 쌓으면서 시작되었다. 이 요새는 과거 베오그라드인 신기두눔와 다뉴브 삼각주 사이에 위치해 있어서 교통의 요지였다. 하지만 로마 제국의 쇠락하고 이민족들이 침입해 오면서 이 일대로 황폐화되었다. 하지만 중세 시대 이 일대가 안정화되면서 다뉴브강 북쪽에 있는 루마니아 도시 지우르지우와 하나의 정착지를 형성하였고 중유럽과 발칸 지역을 잇는 교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오스만 제국시절 루세는 작은 루세라는 뜻의 루수크로 불렸으며 러시아가 발칸반도로 세를 뻐치자 요새를 확장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세는 불가리아의 일부가 되었다.루세는 불가리아의 문화 및 경제 중심지로 불가리아 최초의 인쇄소, 기상 관측소, 상공회의소, 민간 보험 회사, 엘리베이터, 철도 노선 개통, 정유소, 양말 제조 공장, 설탕 공장 등 불가리아 최초란 타이틀이 붙은 것들이 즐비했다. 하지만 불가리아가 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고 도브루자는 루마니아 땅이 되었다. 그러자 루세는 급격하게 쇠락하기 시작했고 그 사이 소피아와 바르나가 치고 올라갔다. 하지만 1940년 9월 독일의 압력으로 남부 도브루자가 불가리아로 반환되었고, 이에 루세는 다시 중요한 경제, 교통, 문화, 교육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또한 공학, 화학, 경공업이 확장되었고, 큰 항구가 건설되었다.
하지만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무너지면서 루세의 국영 공장들도 자유 시장 경쟁에 뒤쳐지면서 하나 둘 문을 닫았다. 그러자 루세에는 대규모 실업과 이민 파동이 발생했고 이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3. 인구
원래 루세는 불가리아인의 인구와 튀르키예인의 인구가 비등비등하였다. 하지만 루세가 불가리아의 땅이 되고 튀르키예인들을 탄압하자 점차 감소해 현재 튀르키예계의 비율은 7.5%에 불과하다.4. 관광
루세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보존된 건물들이 많아 근대 시대 유럽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바사르보보 수도원 (Басарбовски манастир) : 불가리아 정교회의 동굴 수도원으로 불가리아 제2제국 시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 자유의 기념비 (Паметник на свободата) : 20세기 초 이탈리아 조각가 아르놀도 조치가 세운 기념비로 시프카 고개 전투[2]를 기린다.
- 루세 TV 타워 (Телевизионна кула Русе) : 2001년까지 발칸 반도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높이가 210m가 된다. 타워에는 107미터 높이의 전망대가 있어 다뉴브강, 카르파티아 산맥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5. 자매도시
[1] 통계인구, 2020년 기준.[2] 제12차 러시아 튀르크 전쟁의 향방을 가른 전투로 러시아와 불가리아 독립군이 오스만 제국군과 싸워서 이겼다. 이 전투의 승리로 러시아와 불가리아 독립군은 이스탄불 근교의 도시인 에디르네까지 갈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