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7:16:11

슈테판 참발

파일:Štefan Čambal.jpg
이름 슈테판 참발
(Štefan Čambal)
생년월일 1908년 12월 17일
사망년월일 1990년 7월 18일
국적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1]
출신지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포조니
포지션 센터 하프
신체조건 176cm / 72kg
소속팀 1. ČsŠK 브라티슬라바 (1927-1929)
테플리체르 FK (1929-1930)
SK 슬라비아 프라하 (1931-1936)
SK 바타 즐린 (1937-1938)
SK 지데니체 (1938-1939)
감독 슬로바키아 대표팀 (1941-1942)
SK 바타 즐린 (1945-1946)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 (1949)
비트코비체 졜레자르니 (1949-1952)
이스크라 리베레츠 (1955)
두클라 파르두비체 (1957-1958)
포어베르츠 베를린 (1959-1962)
시드니 FC 프라하 (1964-1966)
로코모티바 코시체 (1966-1968)
AC 스파르타 프라하 (1975-1976)
국가대표 22경기 0골 (1932-1935)

1. 생애
1.1. 어린 시절1.2. 선수 생활1.3. 감독 생활
2. 수상
2.1. 클럽2.2. 국가대표2.3. 감독

1. 생애[2]

1.1. 어린 시절

참발은 현재 슬로바키아의 수도인 포조니(Pozsony)[3] 출신이며 13살에 축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참발은 포조니의 도나우슈타트(Donaustadt)를 거쳐 15살에는 리게티 SC(Ligeti)에서 센터 포워드로 뛰었다.

1.2. 선수 생활

1.2.1. 클럽

1927년, 참발은 1. ČsŠK 브라티슬라바에서 성인 무대에 데뷔했고 11월에 ČsŠK 브라티슬라바는 체코슬로바키아 아마추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참발은 1929년 5월 26일, 잉글랜드뉴캐슬을 상대로 해트 트릭을 기록한 적이 있고 ČsŠK 브라티슬라바는 이 경기에서 뉴캐슬을 8대1로 대파했다.

그 이후 참발은 1시즌간 테플리체르에 몸 담았다가 SK 슬라비아 프라하에서 활약했고 센터 하프로써 슬라비아 프라하의 전성기에 큰 보탬이 되었다.

1937년 참발은 당시 2부 리그 소속이던 SK 바타 즐린에서 1시즌을 뛰며 바타 즐린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 참발은 SK 지데니체에서 1시즌을 더 보내고 축구 선수로서의 커리어를 마무리했다.

1.2.2. 국가대표팀

참발은 1932년 5월,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체코슬로바키아는 오스트리아와 1대1로 비겼다.

그는 1933년 8월에 열렸던 유고슬라비아와의 자그레브 원정 경기에서 주장 완장을 착용한 적도 있었으며 1934년 월드컵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4경기에 주전 센터 하프백으로 모두 참가해 체코슬로바키아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참발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에서 총 22경기를 치렀고 1935년 9월 6일의 유고슬라비아전이 그의 마지막 A매치 경기였다.

1.3. 감독 생활

참발은 슬로바키아 대표팀 감독직을 시작으로 감독 생활을 시작했다.

참발은 SK 바타 즐린을 거쳐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 감독으로 체코슬로바키아의 4경기를 지휘했다.

참발은 이후 비트코비체 졜레자르니를 포함한 여러 팀들을 돌아다녔고 1959년에는 동독으로 건너가 포어베르츠 베를린을 이끌었는데 이 때가 그의 감독 커리어에서 전성기였다. 참발은 포어베르츠 베를린에서 2차례 DDR 오버리가 우승과 1차례 FDGB-포칼 우승을 경험했다.

동독을 떠난 참발은 호주 시드니의 프라하 팀을 거쳐 다시 고국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와 1966년부터 2년간 로코모티바 코시체를 지휘했다. 이 시기에 참발은 스웨덴에 종종 돌아다녔다고 한다.

참발의 마지막 감독직 행선지는 AC 스파르타 프라하였다. 스파르타 프라하는 체코 축구계를 대표하는 명문팀 중 하나지만 당시에는 2부 리그로 강등당한 역사상 최악의 부진을 겪고 있었고 참발은 스파르타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소방수로 투입되었다. 하지만 그는 시즌 중에 경질되었다.

2. 수상

2.1. 클럽

2.2. 국가대표

2.3. 감독



[1] 현재 국적으로 따지면 슬로바키아이다.[2] 출처: 위키피디아, 11v11[3] 브라티슬라바를 헝가리말로 부르면 포조니라 부른다.[4] 슬로바키아 연합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