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22:07:10

스이타JCT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스이타IC'''{{{#!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주고쿠자동차도에 설치된 나들목}}}에 대한 내용은 [[주고쿠스이타IC]]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주고쿠스이타IC#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주고쿠스이타IC#|]]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주고쿠자동차도에 설치된 나들목: }}}[[주고쿠스이타IC]]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주고쿠스이타IC#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주고쿠스이타IC#|]]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스이타 분기점 · 스이타 인터체인지
吹田ジャンクション・吹田インターチェンジ
Suita Junction / Suita Interchange
메이신 스이타 요금소 · 스이타 요금소
名神吹田料金所・吹田料金所
코마키 방면
이바라키IC
← 2.8 km
E1

메이신

35
니시노미야 방면
스이타SA
3.3 km →
스이타 본선요금소
吹田本線料金所
기점
E2A

주고쿠도

35
시모노세키 방면
주고쿠스이타IC
1.0 km →
기점
E26

킨키도

35
마츠바라 방면
셋츠키타IC
4.5 km →
주소
메이신 스이타 오사카부 스이타시 시미즈 15-3
스이타 본선 오사카부 스이타시 아오바오카키타 29-1
관리기관
메이신 NEXCO 서일본 간사이지사
오사카고속도로사무소
주고쿠도 NEXCO 서일본 간사이지사
고베고속도로사무소
킨키도 NEXCO 서일본 간사이지사
스이타고속도로사무소
개통
스이타IC 1970년 3월 1일
메이신-주고쿠도 직결로 1979년 5월 15일
주고쿠도-킨키도 직결로 1994년 7월 20일

1. 개요2. 역사
2.1. 최초의 구조 (IC 간접 연결)2.2. 메이신 - 주고쿠도 직결로2.3. 주고쿠도 - 킨키도 직결로
3. 구조

1. 개요

메이신고속도로(E1)와 주고쿠자동차도(E2A), 킨키자동차도(E26)가 만나는 분기점이자 나들목(35번)이다. 이 중 주고쿠도와 킨키도는 이 분기점을 기점으로 하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십자교차형이다. 다만 노선의 형성과 역사로 인해 단순한 십자교차보다는 복잡한 구조를 띄고 있다.

JCT/IC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복잡한 구조물이지만, 메이신 스이타 요금소 측면에는 NEXCO 서일본 간사이지사의 고속도로 관리사무소인 스이타고속도로사무소가 설치되어 있어, 킨키도 스이타JCT - 나가하라IC 구간의 관리업무를 수행한다. 심지어 이를 위한 전용 입체교차시설도 같이 설치되어 스이타IC 본선요금소쪽으로 연결된다.

2. 역사

2.1. 최초의 구조 (IC 간접 연결)

메이신고속도로와 주고쿠자동차도, 킨키자동차도의 접속지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스이타IC였다. 이는 킨키도가 도시고속도로와 유사한 형태다보니 독립된 균일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었고, 2번 오사카부도를 중계해서 연결되는 형태였기 때문에, 메이신과 킨키도 양쪽에서 보면 각각 나들목으로 간접 연결되는 구조였던 셈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이용해서 주고쿠도쪽 역시 2번 오사카부도를 중계해서 연결되도록 했었다. 이 때, 주고쿠도쪽 나들목은 현재보다 약 1km 서쪽에 설치된 별도의 나들목으로, 주고쿠스이타IC에 해당된다. 즉, 당시에는 단순히 3개 고속도로 노선이 교차접속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연결을 다 나들목 간접연결으로만 처리했던 것이다.

2.2. 메이신 - 주고쿠도 직결로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불합리함이 있자, 메이신과 주고쿠도를 잇는 직결형 램프를 신설하기로 한다. 이 램프가 완공된 것이 1979년 5월 15일의 일이다. 이 날부터 주고쿠도의 기점은 스이타JCT가 되었으며, 본선이 그대로 램프를 통해 메이신 나고야방향으로 접속하는 구조가 되었다. 그러나 이 때까지도 킨키도측은 오사카부도로 중계되는 구간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이 때 기준은 분기점은 메이신 나고야방향 - 주고쿠도만 잇는 역할이었고, 나머지 주고쿠도와 메이신 니시노미야방향과의 연락이나 킨키도 등은 여전히 IC를 경유해야 하는 구조였던 셈이다.

2.3. 주고쿠도 - 킨키도 직결로

현재와 같은 구조가 된 것은 1994년 7월 20일의 일로, 주고쿠도와 킨키도를 직결하는 사업었다. 다만 주고쿠도의 본선은 어디까지나 메이신 나고야방향으로만 연결되므로, 킨키도 본선이 주고쿠도 측면으로 접속하는 형태로 연결되었다. 이 사업이 상당히 복잡했던 이유는 2번 오사카부도로의 진출입 나들목 기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 각 도로끼리를 연결해야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구조가 적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통합 구조가 갖춰지게 되면서, 스이타JCT/IC와 별개로 설치되어 있던 킨키도 본선상의 마츠바라방향 본선요금소였던 이바라키 본선요금소(茨城TB)는 1994년 7월 20일부로 철거되었다. 약 2.9km 지점에 5개 수납구가 설치된 요금소였으며, 현재도 그 흔적이 남아있지만, 유휴부지의 활용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3. 구조

3.1. 메이신고속도로 JCT

3.1.1. 니시노미야 방향

3.1.2. 코마키 방향

3.2. 메이신고속도로 IC/JCT

3.2.1. 양방향

3.3. 킨키자동차도 JCT/IC

3.3.1. 양방향

3.4. 주고쿠자동차도 JCT

3.4.1. 스이타 방향

3.4.2. 시모노세키 방향


[1] 이 단어는 직역하면 이어타기인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라면 갈아타기, 즉 환승/승환(乗り換え)과 거의 유사한 맥락으로 사용되지만, 운전하는 자동차의 경우 갈아타는 것이 아니므로 환승이라 쓰기에는 부적합하다. 굳이 따지자면 한국에 있는 한국도로공사-민자도로간 경계 요금소 및 원톨링 게이트와 거의 같은 역할인데, 의역이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승계(承繼)와 다소 혼동될 여지를 감안하고서라도 그냥 음독하여 승계로 표기한다.[2] 이 부분만 표지 기준으로 킨키도의 스이타 요금소(吹田料金所)로 되어 있다.[3] 과거 요금소명에는 주고쿠도 + 킨키도 요금일괄정산(中国道+近畿道 料金一括精算, Pay toll for CHUGOKU and KINKI EXPWY)로 표기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