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20:28:23

스즈키 마사유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기타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스즈키 마사유키(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즈키 마사유키(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즈키 마사유키(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기타 동명이인: }}}[[스즈키 마사유키(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즈키 마사유키(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즈키 마사유키(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32c0fe,#d1a400><colcolor=#fff,#010101> 스즈키 마사유키
鈴木 雅之 | Masayuki Suzuki
<nopad> 파일:스즈키-마사유키.jpg
이름 <colbgcolor=#fff,#010101><colcolor=#373a3c,#d1a400>스즈키 마사유키
([ruby(鈴, ruby=すず)][ruby(木, ruby=き)] [ruby(雅, ruby=まさ)][ruby(之, ruby=ゆき)], Masayuki Suzuki)
직업 가수
출생 1956년 9월 22일 ([age(1956-09-22)]세)
일본 도쿄도 오타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6cm|AB형
레이블 EPIC Records Japan
활동 시기 1980년 ~ 현재
별명 Martin[1], 러브송의 제왕, 애니송계의 대형신인
배우자 스즈키 레이코(鈴木 礼子) (1984년~현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아티스트 프로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공식 유튜브 채널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공식 트위터

1. 개요2. 활동
2.1. NHK 홍백가합전 출장 경력
3. 여담

1. 개요

일본의 가수로, 1975년 그룹을 결성, 1980년 그룹 데뷔, 86년에 솔로 데뷔 하였다.

80년에 본인 명의의 첫 싱글이 나왔을 정도면 엄청난 원로가수이고 한국으로 치면 활동을 그만두어도 이상하지 않은데 일본에서는 젊은 층에서도 많이 알고있다. 그 이유는 그가 1994년 1월에 발표한 싱글 違う、そうじゃない(아니, 그렇지 않아)가 유명한 인터넷 밈이기 때문. 해당 곡의 재킷 이미지와 구도가 비슷한 영화 블레이드 2의 포스터를 합성한 이미지#와 함께, '틀려, 그게 아니야' 라는 곡 이름 자체도 츳코미용 대사로 사용하기 딱 좋다보니 인터넷 밈으로서 장수할 수 있었다.

거기에 2019년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애니메이션의 오프닝으로 기용되며 스즈키의 팬이나 스즈키를 모르는, 그리고 네타로만 알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큰 반향을 일으키게 된다. 이듬해 애니메이션에서 두 번째 노래를 부르며 THE FIRST TAKE에도 출연하는데 첫번째 출연 이후 연이어서 違う、そうじゃない를 선보인다. 네타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듯 감사를 표하며 초대 트윗을 작성하기도 했다.#

또한 츄니즘에 만우절 업데이트로 수록되기도 했다.

2. 활동


파일:스즈키_마사유키_Animelo2019.png
애니송계의 대형 신인 스즈키 마사유키

2.1. NHK 홍백가합전 출장 경력

||<rowbgcolor=#87ceeb><table bordercolor=#87ceeb"><table bgcolor=white,#010101><table width=100%> 연도 || 횟수 || 곡명 || 출연 순서 || 상대 || 비고 ||

3. 여담



[1] Martin(마틴) 이라는 별명의 유래는 중학생 시절, 영화 007 시리즈본드카애스턴 마틴이 좋아서 라고..[2] 위키피디아에서는 '메반의 사람'으로 표기되어 있다. 구글 번역기로 돌린 듯한 말도 안 되는 번역처럼 보이지만, 옛날 에도 시대의 소방대원을 '메구미', 즉 '메 조' 혹은 '메 반'이라고 불렀다. 한 편 이 노래에서는 눈(目, 메)이 이쁜 사람이라는 뜻으로 '메구미 소속' 이라고 말장난을 친 것. 가수 김정민의 도널드&장군의 원곡이다. 한편 안무가 전체적으로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해 카구야님의 하야사카 아이의 댄스와 합성한 '메구미의 하야사카'가 히트했다.[3] 사실 이런 러브 코미디 만화 애니 주제가는 남성 가수를 잘 안 쓰는데, 스즈키 마사유키는 전성기가 지난 베테랑 가수에 복고풍 음악이라는 점까지 곁들어져 화제성이 엄청났던 편이다. 심지어 피처링에는 일본에서 유행이었던 토미오카 고교 댄스부 리더였던 이하라 릿카가 참여해 더욱 화제가 되었다.[4] 심지어 러브 드라마틱으로 본 가수를 알게 된 외국인들의 경우 '노래를 들으며 상상했던 모습과 똑같이 생겼다'며 감탄하기도...[5] 싱글 데뷔이후로는 처음이지만 큐트, 보노 시절 슈고캬라 애니메이션 OST를 불렀다. 애초에 보노의 결성계기가 슈고캬라의 OST를 담당하기 위해서이다[6] 이걸로 상까지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