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0033><colcolor=#fff> 서비스 | <colbgcolor=#fff,#1c1d1f>Shorts · Premium · Music · Kids · TV |
기록 | 구독자 순위 · 좋아요 순위 · 조회수 순위 · 인기 동영상 | |
비판 | 문제점 (사용자 · 시스템 · 운영 · 광고) · 사건 사고 (2010년대 · 2020년대) · 노란 딱지 | |
기타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브 6개월 법칙) · |
<nopad> [[:분류:구글 애플리케이션|{{{#!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Google 애플리케이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개인화 및 소셜 | ||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메시지| 메시지]] [[구글 주소록| 구글 주소록]] [[구글 캘린더| 구글 캘린더]] [[Google Keep| Google Keep]] 구글 피트니스 [[Google Chat| 구글 Chat]] [[Gmail| Gmail]] [[구글 미트| 구글 미트]] [[블로거(구글)| 블로거]] [[구글 클래스룸| 구글 클래스 룸]] [[구글 태스크| 구글 태스크]] |
뉴스 및 미디어 |
[[Chrome| Chrome]] [[구글 포토| 구글 포토]] [[스냅시드| 스냅시드]] [[유튜브| 유튜브]] [[배경화면(구글)| 배경화면]] [[구글 뉴스| 구글 뉴스]] [[Google Vids| Google Vids]] |
문서 도구 |
[[구글 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 [[구글 문서| 구글 문서]] [[구글 스프레드시트| 구글 스프레드시트]] [[구글 프레젠테이션| 구글 프레젠테이션]] [[구글 설문지| 구글 설문지]] |
Google Play |
[[Google Play| Google Play]] [[Google Play 게임즈| Play 게임즈]] [[Google TV| Google TV]] [[Google Play 북| Play 북]] |
부가 서비스 |
[[구글 렌즈| 구글 렌즈]] [[구글 번역| 구글 번역]] [[구글 애드센스| 구글 애드센스]] Google Ads [[구글 어스| 구글 어스]] [[구글 지도| 구글 지도]] [[구글 카메라| 구글 카메라]] [[구글 카드보드| 구글 카드보드]] 마이 비즈니스 [[구글 트렌드| 구글 트렌드]] 안드로이드 포 워크 |
기기 종속성 |
[[안드로이드 오토| 안드로이드 오토]] [[Wear OS| Wear OS ]] [[Google Pay| 구글 페이]] [[Google Home| 구글 홈]] [[Gboard| Gboard]] [[구글 파이 와이어리스| 구글 파이 와이어리스]] |
서비스가 종료된 구글 서비스 | |
[[구글 행아웃| 구글 행아웃 ]] [[구글 알로| 구글 알로 ]] [[구글+| 구글 플러스 ]] [[Google Currents| Currents ]] [[Stadia| Stadia ]] [[Play 뮤직| Play 뮤직]] | }}}}}}}}} |
유튜브 YouTube | |
| |
<colbgcolor=#ff0033,#ff0033><colcolor=#fff> 유형 | 온라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 |
창시자 | 채드 헐리 자베드 카림 스티브 첸 |
소유 | YouTube LLC (2005 ~ 2006) Google Inc. (2006 ~ 2015) Google LLC[1] (2015 ~ 현재) |
운영 | YouTube LLC[2] |
국가 |
|
개설 | 2005년 2월 14일[3] ([age(2005-02-14)]주년) |
고객센터 | 080-822-1450 |
언어 | 영어·한국어 등 80개 언어 |
매출 | 315억 1,000만 달러[4] (2023년 연결) |
국내 MAU | 4,682만 명(2025년 6월 국내 앱 사용자 기준) # |
회원 가입 | 선택[5] |
책임자 | 닐 모한 (2023년~ ) |
|
1. 개요
유튜브(YouTube)는 구글에서 운영하는 미국의 온라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동영상을 자유롭게 올리거나 시청할 수 있으며 월간 사용자가 38억명에 달하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비디오 플랫폼이다.2. 어원
YouTube라는 명칭은 사용자를 가리키는 'You(당신)'와 미국 영어에서 텔레비전의 별칭으로 사용되는 'Tube'를 더한 것이다. 과거 텔레비전이 브라운관(Cathode-Ray 'Tube', CRT)를 사용했기 때문에 텔레비전을 미국 영어에서 다른 말로 '튜브'라 부른다.[7] 즉 'YouTube' 라는 명칭의 어감은 '당신을 위한 텔레비전', '당신이 곧 텔레비전' 정도이다. 네모난 YouTube 아이콘의 끝부분은 둥글게 깎여 있고 각 변은 끝부분보다 볼록하게 나와 있는데 옛 텔레비전에 쓰였던 브라운관의 시각상 특징을 아이콘으로 디자인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른바 너튜브[8]로도 통용된다.[9]YouTube는 미국의 기업이지만, '유튜브'라는 발음은 사실 미국식보다는 영국식에 가깝다.[10] 미국식으로는 'tju'가 아닌 'tu'로 발음하여 '유투브' 정도로 읽는다. 두문자어로 줄여서 YT라고도 한다.
3. 위상 및 영향력
모든 인터넷 사용자들이 당연시하는 사실이지만, 동영상 서비스 앱 중에서 독보적인 수준을 넘어 사실상 독자적인 위상을 가지고 있다. 세계인의 일상에 완전히 녹아들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동영상 서비스 앱을 사용하는 한국인의 90%가 유튜브를 시청한다.# 말 그대로 어떤 동영상 플랫폼을 갖다놓아도 유튜브가 압도하며, 동영상 플랫폼 정도가 아니라 현대 인터넷 생태계의 중심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005년 시작된 유튜브는 2019년 기준, 전 세계 사용자 19억 명, 비디오 조회 수 매일 1억 개, 하루 사용시간 10억 시간 이상, 분당 400시간 분량의 새 동영상 업로드, 채널 수 2,430만개, 1인당 시청시간 월평균 16시간 이상, 한국 이용자 4,000만 명, 한국 구독자 10만 명 이상 보유 채널 1,275개 를 보유하고 있다.
2020년대 들어서 신문과 라디오, 텔레비전의 기능 또한 거의 완벽히 흡수 및 대체한 뉴미디어 인터넷 사이트라고 볼 수 있다. 전 세계인들은 하루에도 여러 개의 유튜브 영상을 보며 실제로 YTN, 연합뉴스TV 같은 뉴스 채널은 24시간 방송 내용을 전부 유튜브에서 라이브로 송출하고 있고[11] 혹은 아예 와썹맨 같이 방송사가 제작하고 있음에도 텔레비전 채널에서는 볼 수 없는 유튜브 독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과거에는 상당히 급진적이었던 "기존 텔레비전 플랫폼은 이제 수명이 다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방송사들이 점차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으며 특히 20대 대선, 21대 대선에서 대선후보들이 G식백과, 삼프로TV 등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할 뿐만 아니라 직접 유투브 계정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지지자들과 소통할 정도로 대선에 대한 파급력도 어마해진 상황이다.
3.1. 세계 각국 정부의 유튜브 차단
유튜브는 동영상을 통해 세계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서 문화적 파급력이 상당하다. 이로 인해 각국 정부에서는 YouTube를 통제하거나, 차단하려고 하기도 한다. 현재 유튜브의 접속을 차단하는 국가로는 중국, 북한, 에리트레아, 이란, 남수단,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시리아 네팔 등이 있다.[12]2008년 티베트 사태가 벌어지자 유튜브에 티베트인의 국내외 시위 장면과 진압 장면이 올라갔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응해 자국 내에서의 YouTube 접속을 차단했다. 반대로 토두망, 유쿠 같은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은 한국과 일본에서의 접속을 일정 기간 동안 차단했다. 이에 대한 해명으로는 불법 동영상 업로드와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2009년 이명박 정부가 YouTube에 인터넷 실명제를 요구하자, YouTube에서 한국 YouTube 사이트의 서비스를 제한했다. 동영상 업로드와 댓글 작성이 불가능했다.[13] 정부를 비판하는 여론이 주도적이었으나, 이에 나경원 의원은 "(Google 코리아가) 표현의 자유와 권리가 우선됐으면 한다고 했는데 오히려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서라도 올리고 싶다는 이용자의 표현자유를 제한한 것"이라고 밝히는 등 구글코리아 측을 비판하는 일부 의견도 있었다. 이 차단으로 인해 YouTube 청와대 채널은 "우리의 소통대상은 전 세계다!"라는 주장과 함께 새 청와대 계정으로 이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겉으로 내세운 명분과 달리 영상에 외국어 자막도 달지 않으면서, 괜히 변명한다며 비판 받기도 했다. 이 문제는 인터넷 실명제가 위헌이라는 판결이 난 이후, 2012년 9월 6일자로 해결되었다.
튀르키예에서도 YouTube를 차단한 적이 있었다. 2008년에서 2010년 사이에 있었던 이 차단은 아타튀르크를 게이로 묘사한 영상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4] 이후 2014년에 터키 시위의 영향으로 YouTube가 차단되었다가, 2015년에 차단이 다시 해제된 것이 확인되었다. 현재는 튀르키예에서도 YouTube를 이용한 광고를 게재하는 등 활발히 YouTube를 이용 중이다, 다만 2024년 현재 최근 튀르키예 정부에서 여러 SNS 매체와 게임을[15] 차단하기 시작한 만큼 재 차단될 가능성이 늘어나고 있다. 2008년 차단과는 다르게 아예 VPN 사용 막고 있는 상황이다.
2014년 9월 15일 전후로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YouTube가 유해 사이트로 지정되어 사이버지식정보방에서 차단되었던 흑역사가 있다. 허나 복부중인 많은 장병들과 간부들까지 집단으로 반발하여 불과 4일 뒤 2014년 9월 19일 YouTube 접속이 다시 허용되었던 웃지 못할 사례가 있다.
2018년 11월 역외적용법이 통과되어 2019년 6월 한국에서 극우 유튜버를 중심으로 YouTube가 차단된다는 루머가 나돌았으나, 해프닝으로 끝이 났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현재도 YouTube는 잘만 돌아간다. 애초에 K-POP이 상당한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 한국에서 YouTube를 차단하겠다는 것은 해외에서 큰 나라 망신을 당해보자라는 배째라식 대응이기에 어느 누구도 쉽게 건드리지 못한다. 문제는 이번 차단 루머가 매우 빠르게 퍼지는 바람에,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봤다는 것. 물론 실제로는 6월이 지난 이후에도 차단되지 않았고, 그 누구도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지 않고 있다. 물론 내부고발자들도 건드리지 못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박병일의 명장본색.
북한은 세계에서 유일무이하게 일반인의 인터넷 사용 자체를 금지하는 나라인 만큼 북한 내에서 유튜브를 쓸 방법은 일부 고위층이나 북한 내 외국인 관광객을 제외하면 전무하다. 그러나 2020년 초 북한의 유학생이나 사업가가 유튜브 채널 백종원의 요리비책을 반입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스파이가 이것도 당연히 체포한다고 한다. 해외 파견 북한인들이 몰래 유튜브를 보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이를 두고 파견된 북한 사람들은 “솔직히 여기 나와서 일하는 사람들 100명 중 99명이 이미 유튜브를 보고 이제는 등을 돌렸죠. 또 자기가 뼈 빠지게 일해서 벌은 정말 많은 돈이 상납으로 들어가니까 등을 돌리고. 그러니까 이 사람들의 사상은 돌아섰죠. 근데 북한에 자식이 있고 처가 있고 형제들이 있으니까 (자유 세계로) 못 가는 거죠.”라고 인터뷰에서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 사람들은 인터넷 자체도 못하니까 유튜브가 뭔지 바로 이해를 못하지만, 이 영상들을 어떻게든 고향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
2024년 기준 YouTube 서비스의 허용 여부는 국가 언론자유의 최소한의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YouTube가 차단된 국가들은 북한[16]이나 이란, 중국 같은 언론의 자유가 이미 끝장난 국가와 다름없는 상태라는거다. 그 외에 넷플릭스까지 차단된 나라로는 중국, 시리아, 러시아가 있는데 시리아는 초창기부터 접속이 차단되었고 러시아는 이전에는 가능했는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경제제제 조치로 인해 접속이 차단당했다가 어느새부터인지 유튜브 접속을 다시 허용했다가 속도 저하 등의 핑계로 2024년 9월에 접속을 다시 차단할 예정이다.
4. 역사
자넷 잭슨의 니플게이트 영상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는 사람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된 자베드 카림은, 이 사건에서 영감을 얻어서 페이팔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 스티브 첸과 함께 캘리포니아 샌브루노에사 공동으로 동영상 공유 검색 서비스 유튜브를 개발했다. 믿기지 않겠지만 사실이므로 이 사건이 얼마나 파급력이 컸는지 볼 수 있다. 2005년 2월 14일 밤에 사이트가 설립되었다.2005년 사이트가 설립 되고 나서 그 해 4월 23일에 YouTube 첫 동영상인 Me at the zoo가 업로드 되었다. 또한 2005년 5월과 12월까지 오픈 베타가 실행 되었으며 호나우지뉴가 등장한 나이키 광고 비디오가 처음 백만 조회수를 찍은 비디오로 기록이 된다. 그리고 2005년 12월 10일 처음 공식적으로 서비스가 게시되었다.
같은 한주,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 코미디 그룹 The Lonely Island가 업로드한 Lazy Sunday 뮤직 비디오가 2백만 조회수를 달성하면서 최초의 인터넷 바이럴, 밈 비디오로 평가됨과 동시에 지금의 유튜브를 만들어 주는데 도움이 된 아주 중요한 비디오로 평가 된다. 2006년 2월 NBC가 저작권을 이유로 원본 영상은 삭제했지만 여러 중복된 업로드 영상들이 총 5백만 조회수를 얻으며 유튜브를 대중화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2006년 6월, 당시 유튜브는 급속도로 성장해서 매일 6만 5천개의 새로운 비디오가 업로드 되고 1억 비디오 조회수를 받는다고 공개했다.
이전에도 AVI나 MPG를 생으로 돌리는 사이트가 있기는 했지만, 이 방식은 서버 측에 엄청난 트래픽 부담을 주고 사용자의 PC의 사양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동영상 콘텐츠는 웹상에서 널리 쓰이지 못했다. Internet Explorer의 경우 이렇게 하면 웹페이지에 미디어 플레이어 컴포넌트가 삽입되는데 이때 로딩의 압박이 대단히 심했고 이것 때문에 Internet Explorer가 다운될 정도로 불안정했다. 이 때문에 영상을 삽입할 경우 글 제목에 영상이 있다고 표시하는 것이 매너로 통했다. 2010년대에는 모바일 환경상 데이터 때문에 글 제목에 영상이 있다고 표시하는 것이 매너, 혹은 시스템으로 강제된다. 실은 YouTube 이전에도 한국의 몇몇 사이트는 다른 방법으로 영상 스트리밍을 했는데 그것이 바로 악명 높은 ActiveX였다.
대한민국에서는 2005년 12월 20일에 임정현 기타리스트가 Canon Rock을 편곡한 영상을 통해 화제가 되었고, 동시에 UCC 열풍의 기폭제가 되었다.[17]
이런 환경에서 YouTube는 영상을 플래시로 재생하는 기술[18]을 통해 영상을 간편하게 공유 가능하게끔 해서 대박을 치게 되었다. 지금에서야 플래시는 HTML5보다 느리고, 보안상의 이유로 퇴출되었지만, 이때만 하더라도 HTML5는 나오지도 않았고 이전의 방법은 플래시보다 수십 배 느렸기에 YouTube의 플래시 플레이어 사용은 그야말로 혁명다웠다. 결국, YouTube의 성공을 보고 세계 각지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플래시를 플레이어로 사용하는 비슷한 아류 사이트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마구 마구 영상을 올려대자 아무리 트래픽을 낮췄다고 해도 YouTube도 서버가 버텨 내지 못하고 있으며 광고 도배해대는 후발 주자들과는 달리 수익 모델이 불확실했기 때문에 Google이 공식으로 인수하고 나서도 한동안 적자를 봤다.
2006년 10월 9일 Google에 인수되었다. 인수는 Google 사장과 YouTube 사장이 만나서 식사하다가 즉석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 인수된 후에도 2009년까지 적자를 연간 약 4억 5,000만 달러 수준을 기록하다가 2010년을 기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고 한다. 이쯤 되면 거의 깡으로 버틴 게 아닌가 싶다. 그래서 진짜 승리자는 YouTube 개발진들이라는 이야기도 있었다.[19][20] 그 덕분에 전 세계에서 엄청난 수의 이용자가 몰린다고 한다.
2008년 1월 23일, 원래 2007년 하반기에 예정되어 있었던 한국어 서비스가 그제서야 이루어졌다. 이전까지는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아 진입 장벽이 컸었고[21], 유튜브보다는 아프리카TV, 판도라TV, 엠군, 엠엔캐스트, tv팟(現 카카오TV) 등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했던 시절이라 Canon Rock 편곡 영상 이후에도 듣보잡에 가까운 취급이었다. 그나마 2007년부터 한국인들도 어느 정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2008년 크리에이터 광고 분배 정책인 유튜브파트너프로그램을 시작하며 창작자의 수익 창출 루트가 생겼다.
2008년 12월 18일, Google이 인수한 이후로도 넉넉하지 못 했던[22] 유튜브 서비스의 재정 상황이 넉넉해졌는지, 16:9 비의 와이드 스크린과 HD급 영상 서비스를 개시했다. 그 이후로 대형 기획사들의 가수 신곡 뮤직비디오들이 HD 화질의 와이드 스크린으로 업로드되기 시작했다.[23]
2009년 11월 30일, 1080p FHD까지 스트리밍할 수 있게 되어, 그냥 HD만 표시되었던 초기와는 다르게 720p HD와 1080p HD로 세부 선택이 가능해졌다. HD 서비스의 여파 때문인지 영상 스트리밍 속도가 예전보다 훨씬 느려지긴 했지만 원 소스가 1080p라면 업로드 후 반나절 정도 처리 과정 시간을 지나면 YouTube로도 1080p 영상을 볼 수 있다.
2010년 1월 22일, HTML5 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7월 10일에 4K 영상을[24] 지원한다고 발표했으며,[25] 7월 24일에 YouTube 이용자의 일과를 담은 비디오들을 모아 선댄스영화제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드는 프로젝트 〈life in a day〉[26]가 진행됐었다.
SK브로드밴드에서 버퍼링이 아주 심했었다. KT 백본을 임대망으로 쓰는 SK브로드밴드에서 해외 회선을 더 들여오지 않는 이상 근본상 해결은 힘들고 노드 배정을 바꾸는 방법과 프리웨어 프로그램 speedbit video accelerator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덜 불편하게 쓸 수 있었다. 현재는 로딩 속도가 대폭 개선되어 타사와 별 차이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2011년 8월 18일 Youtube Music이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이전보다 훨씬 다양하고 양질의 음악을 들을수 있게 되었다. 소개 영상에서는 소개한 가수들 중 저스틴 비버나 LMFAO, 레베카 블랙(레베카는 Top 10 차트 순위 중 제1 위) 등 까가 많은 사람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결국 업로드 이틀 만에 비추천을 2000개 이상(75% 정도)을 먹으면서 이용자들에게 대차게 비난받았다.
지금과 같은 YouTube 메인 페이지는 2011년 12월 2일에 현재와 같이 윤곽이 잡혔다. 홈페이지가 채널 구독 화면으로 바뀌고 미리보기 화면이 커졌으며 카테고리 메뉴의 구성도 완전히 바뀌었다.[27]
그러나 기능상으로 보면 개악. 동영상 썸네일 사이에 쓸데없는 빈 공간이 너무 커져서 한 화면에 볼 수 있는 숫자는 줄고 전에 없던 스크롤이 필요해졌다. 즐겨찾기수, 추천수 등 다양한 형태의 통계에 기반한 인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되었다. 단순한 재생수 기반의 인기 영상을 찾는 것도 몇 단계의 클릭이 필요하며 그나마 전과는 비할 수 없이 표시수가 적다. 대신 거의 모든 카테고리에 내부적인 알고리즘으로 선택된 추천 영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바뀌어 버렸다. 이에 따라 YouTube 그 자체가 가지는 커뮤니티로서의 기능이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자료가 표시되는 위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자료의 선택이 다른 유저의 동향보다는 YouTube가 임의로 제시하는 영상들의 비중이 커져서 광고기능이 강화되었다. 그리고 채널 중심의 메인화면은 유료 콘텐츠 장사에 대비한 것으로 여겨졌다.
2012년 12월 4일에 다시 한번 개편이 이루어졌는데, 아무래도 모바일 환경에 맞추기 위해 대대적으로 웹사이트를 바꾼 것 같다. 이번에도 개악.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검색 결과를 조회수나 최신순으로 정렬하는 것이 공식 지원에서 제외되었다 부활했다.[28]
- 인터페이스 상으로는 썸네일과 쓸데없는 여백은 더 늘어났으며, 정작 텍스트로 된 구체적인 정보는 표시량이 더욱 줄었다. 심지어 글자 크기도 작아졌다.
- 동영상을 퍼갈 때 '이전 소스 코드 사용' 옵션이 사라졌다가 며칠 후에 부활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소스 코드는 아이프레임(iframe) 태그를 사용하는데, 이 태그는 아무 웹페이지나 통째로 다른 페이지에 삽입할 수 있고, 악의적으로 쓰기 쉬워, 보안상 문제로 상당수 사이트에서 차단되어 있는 태그이다.[29] 이런 곳에 iframe 코드 형태로 YouTube 영상을 퍼가려면 애로사항이 꽃피게 된다. 아울러 나무위키의 운영진은 YouTube 영상에 iframe을 허가한 적이 없다. 그런데도 YouTube 영상이 iframe으로 등재되는 것은 일단은 규정 위반이지만, 아무도 신경쓰지 않아서(…) 묵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 댓글에 프로필 사진이 표시된다. 당연히 로딩시간은 늘고 한 화면에 보이는 댓글은 줄었다.
- 배경이 강제로 흰색으로 고정된다. 보는 사람에 따라 눈이 아프고 아몰레드는 번인 걱정이 더 심해졌다.
- 순위나 통계 기능이 사라졌다. 2012년 11월 말 이후로 '최대 조회 동영상'라는 기본적인 것밖에 제공하지 않았으며, 그나마도 직접 접근하기 위한 메뉴가 없어졌다. 2013년 6월 16일 전후로 'Youtube 100'에 오류까지 발생해 이후로는 URL 직접 입력밖에 접근 방법이 없었다. 이후 8월 말경 'Youtube 100'이 부활했지만, 2013년 10월 초, 끝끝내 모든 차트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전체적으로 보면 동영상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동영상 콘텐츠 제공 사이트로 바뀌었다. 기업체가 아닌 일반 유저들도 '콘텐츠 제공자의 하나'로 간주되어 가고 있다. '다른 유저의 동향'에 의한 동영상 접근 기능은 조용히, 모조리 제거되어 YouTube 자체적으로 어떤 영상이 화제를 얻거나 주목받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유저가 어떤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YouTube의 통제가 갈수록 늘어났다.
2013년에는 원클릭으로 조정할 수 있었던 '특수효과', '플레이어 크기', '품질'(해상도) 등이 '설정'이라는 톱니바퀴 모양 아이콘 안으로 숨었다. 그리고 2013년 12월 25일에 4K UHD 영상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 해 11월에는 댓글란을 개편했으나 구글 플러스와 강제로 아이디가 연동되어서 상당한 진통을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문서로. 현재와 같은 YouTube 유저 체계는 이때 탄생하였다.
2014년 10월부로 60FPS 영상 업로드가 정식으로 지원된다. 단, 소스 영상은 최소 720p 이상[30]의 해상도여야 하며 외부로 퍼갈시에는 iframe 태그로 퍼가야만 60FPS 영상을 볼 수 있다. embed 태그로는 미지원. 4K UHD 60FPS은 아직 미지원 상태였다.
2015년 벽두부터 YouTube 탄생 10주년을 맞이하여 대대적인 개편 계획이 발표되었는데, 1월 29일에 HTML5 플레이어 모드가 이제 기본 플레이어로 전환되었고, 2월에 아동 전용 앱인 YouTube Kids를 출시했다. 국가별로 다른 청소년 심의와 17, 19금을 자처하는 영상들로부터 아동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3월에 4K UHD 영상에도 드디어 60FPS을 지원하였으며, 5월에 360도(!) 영상을, 6월에 8K UHD 영상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Internet Explorer를 제외한 Chrome같은 웹 브라우저로 들어가서 WASD나 마우스로 움직일 수 있다. 4K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폰이 하나둘씩 출시되면서 업로드되는 4K 영상은 날이 갈수록 증가 중이고, 360도 영상 역시 뮤직 비디오에 이용되는 등 쓰임새가 많아지고 있다.
2015년 7월 1일, 모바일에서도 60FPS 영상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7월 28일에 YouTube가 구글 플러스와의 결별을 발표했다. #
2015년 8월 4일, HTML5 플레이어 한정으로 YouTube 영상 인터페이스가 버전 3에서 버전 4로 올랐다. 재생바가 있는 창이 투명해졌으며, 플레이어 상의 아이콘과 버튼은 다소 두껍고 진하게 변경됐다. 그런데 전체화면이 안 되는 상황이 상당히 많이 나와서 불편하다는 의견도 있는데 이는 창 설정을 영화관 모드로 하고 브라우저의 확대/축소 수준을 148%로 해서 보면 된다. 10월 28일에 광고가 빠진 유료 구독 서비스인 유튜브 레드(現 유튜브 프리미엄)를 런칭했다.
2016년 5월 경에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에 대한 개편이 있었다. H.264 코덱으로만 방송이 가능하던 상황에서 VP9 코덱으로도 방송이 가능해졌다. VP9 코덱을 통해서 방송 화질의 큰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최대 해상도가 1080p 및 1080p 고속 프레임레이트에서 1440p 및 1440p 고속 프레임레이트로 상향되었다. 이때의 개편으로 360도 카메라 방송도 가능해졌다.
2016년 11월 8일, YouTube가 VP9 코덱의 프로파일2를 도입하여 HDR 영상에 대한 지원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업로드 시에 HDR 영상의 PQ(Perceptual Quantizer; SDR의 범위를 넘어가는 밝기를 저장하기 위한 시각적 양자화 과정) 메타데이터가 존재하면 HDR로 인식이 되어 VP9 프로파일2의 PQ 방식으로 HDR 영상을 처리한다. 현재까지는 크롬캐스트에서만 YouTube의 HDR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이용하고자하는 TV가 HDR을 지원해야한다. PC 환경에서는 YouTube가 이용하고자 하는 PC가 HDR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YouTube HTML5 플레이어가 HDR 영상이 재생가능하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는 HDR 영상을 재생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존의 SDR 영상을 재생한다.
2016년 11월 30일, 360도 비디오 및 표준 비디오 모두 4K 라이브 스트리밍이 가능해졌다.(#) 이제 4K 영상도 큰 무리 없이 빠르게 업로드/스트리밍이 가능한 수준.
2017년 3월 경, 속도조절 목록에 0.75배가 추가되었다.
2017년 8월 29일(미국시각 28일)에 로고가 변경되어 한국 시간 30일 오전 1시 경 적용되었다. 타이포 로고 폰트가 미세하게 달라졌고, 더 이상 타이포 로고에 빨간 네모를 넣지 않고 대신 YouTube 아이콘을 좌측에 붙여 사용한다. 거기에 더해서, 사이트 전체에 걸쳐 기존에 쓰이던 붉은색(#C4302B[31])이 전부 #FF0000[32]으로 바뀌었다. 모니터에서 표시할 수 있는 색상 중 가장 빨간 원색인데, 그래서인지 이걸 두고 눈 아프다는 등의 악평이 자자하다.
2017년 12월에 Windows 7 IE11 환경에서 전체화면 사용이 불가능해져 기존에 IE로 YouTube를 시청하던 사람들은 엄청난 불편을 겪을 것이다. 다만, 크롬 브라우저로 갈아타면 문제는 간단히 해결이 된다. 그래서 그나마 다행이다.
2018년 9월 13일, YouTube는 AV1 코덱을 테스트 중에 있다. # 테스트 중인 영상들에 대한 재생 목록도 있다. 재생 목록.
2019년에 YouTube는 정책을 변경하였다. 이미지 슬라이드 영상들을 대거 제재하기 시작했고, 덕분에 수많은 유튜버들은 재정비시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YouTube의 광고 수익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무한적으로 광고를 클릭하여 광고수익을 내게하는 불법프로그램 사용 데이터가 적발되면 일정기간 해당 채널에 수익 창출 불가 조치를 내린다. 이로 인하여 수십만 유튜버들이 수익정지를 먹게되었다. 본인이 한 일이 아니어도 처벌받기 때문이며 공격 목적으로 사용된 경우를 파악하거나 막을 방안도 없기 때문. 또한 불법프로그램 사용 데이터는 사람이 아닌 기계가 분석하고 있다. YouTube 검색창에 '유튜브 정책 변경' 등을 검색하면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12월 10일에 약관이 개정되는데 그 중에서 "YouTube는 귀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이상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귀하의 액세스나 귀하의 Google 계정의 본 서비스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액세스를 해지할 수 있습니다."라고 추가되어 있다. 때문에 수많은 유튜버들은 상업용 콘텐츠를 제외한 모든 콘텐츠가 삭제될 것이라는 우려와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2020년 3월부터 비디오 화질 설정에서 720p, 720p60 옵션에 빨간색 HD 위첨자 모양이 빠졌다.[3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YouTube의 트래픽이 증가하자 YouTube에서 기본 설정을 720p로 하고 720p의 비트레이트를 감소해서 그렇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상향 평준화 되어서 720p는 더 이상 '고화질'이 아니어서 그렇다는 의견도 있다.
2020년 6월 15일 이후부터 나무위키의 YouTube 문법에서 자동적으로 다음 영상으로 넘어가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나, 정작 사용자 입장에서는 PC, 모바일 모두 해당 기능을 전혀 끌 수 없고, 관련 설정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일일이 취소 버튼을 눌러 다음 영상으로 넘어가지 않게 해야 한다.
2020년 말부터는 HTTP/3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2023년 6월 26일부터 쇼츠에 집중하기 위해서 2017년에 출시된 이래로 구독자 1만명 이상의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서비스했던 스토리 기능을 폐지한다고 한다.
2024년 중 유튜브 로고의 색이 #FF0033[34]로 바뀌었다. 기존의 완전히 빨갰던(#FF0000) 로고보다 약간 카민색에 가까워졌다. #
2025년 2월 14일 개설 및 서비스 개시 20주년을 맞이했다. 또한, 동년 4월 23일, 유튜브 채널에서 20주년 기념 영상이 올라왔다.
4.1. 역대 로고
1세대 로고 | |||
| | | |
2005 ~ 2011 | 2011 ~ 2013 | 2013 ~ 2015 | 2015 ~ 2017 |
2세대 로고 | |
| |
2017 ~ 2024 | 2024 ~ 현재 |
5. 서비스
5.1. 유튜브 프리미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uTube Premium#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uTube Premium#|]]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유튜브 TV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uTube TV#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uTube TV#|]]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유튜브 라이브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공식 페이지 실시간 스트리밍 가이드- 시청 인원의 제한이 없으며, PC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링크로 들어가면 바로 시청이 가능하다. 로그인을 하면 한 번에 200자 이내로 30초당 최대 3개의 댓글을 남길 수 있다. 이외에도 일정 간격으로 1개의 댓글을 남기게 하는 저속 모드 설정이 가능하다.
- 크리에이터는 채팅창에서 블랙리스트를 지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블랙리스트는 메시지도 안 떠서 자기가 차단되었다는 것도 모른다. 특히 차단된 사람 입장에서는 자신의 채팅이 정상적으로 등록되는 거로 보이지만 다른 사람이나 크리에이터의 눈에는 그 채팅이 안 보인다. 즉 차단자가 자신이 차단당한다는 걸 모르는 쉐도우밴 시스템. 단 자신이 스트리밍에서 나갔다 다시 들어오면 자신이 등록한 채팅이 안 보인다.
- Ctrl + F를 통해 채팅창을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고 채팅 다시보기도 가능하다.
- 휴대전화 본인인증한 만 14세이상이면 방송이 가능하고, 수익 자격은 18세이상 조건이 있다. 반면 현재 서비스 종료한 트위치 코리아는 메일만 확인하면 방송이 가능하고, 수익 자격은 13세이상이면 가능했었다.
- 상단 노출은 무료로 누구나 관심 기반으로 노출되며, 화질은 무료로 최대 2160p6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VP9 코덱으로도 방송이 가능하다. 아직까지는 VP9 코덱보다는 화질이 떨어지는 H.264 코덱으로 방송하는 채널이 많지만 VP9 기반 방송 프로그램이 보급화되면 VP9 코덱으로 방송하는 채널들이 많이 늘어날 것이고 화질도 크게 개선될 것이다.
- 실시간 생방송은 그대로 바로 다시보기로 YouTube에 등록된다. 시간 제한은 없으며[35], 크리에이터가 설정한 화질 그대로 저장된다. 유튜버가 추후에 별도로 일부공개/비공개 혹은 삭제하지 않는다면 제한 없이 영구 저장이다. H.264 코덱으로 방송된 다시보기가 VP9 코덱으로도 인코딩될 때가 있는데 이미 H.264 코덱으로 실시간으로 인코딩되어 방송된 영상을 VP9 코덱으로 재인코딩해봤자 화질이 개선되지 않는다.
- 시청자는 방송 보는 도중에 여러 가지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다. 영상이 버퍼링이 심하다 싶으면 화질을 좀 낮게 선택하는게 좋다.
- DVR: 생방송 도중에도 시청자는 언제든지 타임라인을 돌려서 이전 영상을 다시보기 할 수 있다. 다시보기 할 경우 재생 시간을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할 수도 있다. '실시간' 버튼을 눌러서 다시 생방송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시정지 후 잠깐 기다린 뒤 실시간 버튼을 누르거나, 다른 타임라인을 선택한 후 다시 실시간 버튼을 누르는 식으로 '새로고침'과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비활성 상태라면 시청자가 '정지' '재생' 클릭을 반복하면 헬스버퍼를 줄여 딜레이를 더 줄일 수 있다. 생방송 중 이전 영상 다시보기는 생방송 진행시간으로부터 12시간 이전까지의 구간만 가능하다.
- 해당 스트리밍이 빠른배속을 지원할 경우 플레이어 하나에서 1.25 이상의 속도를 선택하면, 지연된 영상을 빠르게 재생하여 스킵하고 가장 실시간의 영상에 도달했을때 빠른배속의 속도가 1이 되며, 이 후 가장 '실시간'스러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 매우 짧은 지연 시간 옵션 추가하여 딜레이 1~2s도 가능하다. 단, 인터넷 안정성에 따라 '기본 지연 시간'으로 자동으로 변경됨에 유의하자. 또 DVR을 끄면 안정성이 높아진다.
- 크리에이터는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는데 채팅창을 화면에 표시하고 배경, 폰트 등을 바꾸고 3D로 회전도 가능하며(#) 채팅 쿨타임을 설정할 수도 있고 생방송 도중에도 중간 광고를 띄울 수도 있다. 자사 사이트 광고의 경우 YouTube가 45%, 유저가 55%로 나눠가진다.
- 슈퍼챗은 대도서관, 윰댕, 밴쯔, 똘킹부터 시작하였다. 슈퍼챗으로 후원할 경우 채팅에 단색의 배경[36]과 함께 5천원 이상 후원했을 경우 채팅창 위에 후원자의 프로필 사진 및 후원액이 최대 5시간 동안 노출된다. 기존 팬 자금지원 대체한 것이다. 2017년 2월 초에 정식 오픈됐다. 단, 아동용이나 19금이 걸린 경우 슈퍼챗은 사용할 수 없다. 미성년자 또한 슈퍼챗은 사용할 수 없으나, 투네이션 등 대체 후원 플랫폼 사용이 가능하다.
- 채널 멤버십을 사용하면 시청자가 매달 반복 결제를 통해 디지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VIP 전용 배지, 맞춤 그림 이모티콘, VIP 전용 채팅 기능이 있다.[37] 유저가 지역 판매세를 공제한 후 멤버십 수익의 70%을 가진다. 쓸모없는 사실이지만 멤버십 가입은 구독을 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 스폰서십 도구를 지원한다. 인터넷 방송/유용한 도구과 거의 대부분 호환된다.
2018년 9월 18일 YouTube에 통합되었다.
휴대기기에서 YouTube 앱을 통한 실시간 스트림을 사용하려면 채널의 구독자가 1,000명 이상이어야 한다.#[38] 다만 구독자 50명을 넘긴 채널 중 따로 경고를 받지 않은 채널의 경우 휴대기기에서 실시간 스트림이 가능하기도 한다. 경우가 경우이다보니 스트림 할때 위험한 모습은 되도록이면 안 담기게 하게 하자.
2020년부터 크리에이터 타운이란 콘텐츠를 진행중인데 매년 200인의 유튜버를 랜덤으로 초청해서 진행한다.
일본에서는 트윗캐스팅, 니코나마와 함께 가장 메이저한 스트리밍 사이트이다. 애칭으로 ようつべ라고 불리는데 로마자 입력으로 youtube를 히라가나로 치면 이렇게 된다.
2024년 트위치 대한민국 사업 철수 사건으로 인해 유력한 엑소더스 대상 중 하나로 꼽히고 있지만, 채팅창 관리의 어려움과 과도한 시청 딜레이 등과 무엇보다 트위치 코리아의 후신인 치지직의 등장으로 킥과 함께 이적 플랫폼 후보에서 빠졌다. 다만 동시송출용으로는 일본 못지않게 입지가 크다.
5.4. 유튜브 뮤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uTube Music#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uTube Musi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5. 크리에이터 아카데미
YouTube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해둔 페이지이다. 공식적으로 YouTube에서 제공하는 정보이므로 시스템 부분에서 더 깊게 알아보고자 할 때 특히 유용하며 카테고리별로 양질의 콘텐츠가 깔끔하게 정렬되어 있다. 자체 기능 말고도 촬영, 녹화하는 방법 등이 세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므로 유튜버를 하고 있거나 할 예정인 사람은 방문을 추천한다.5.6. YouTube for Artists
유튜브 공식 아티스트 채널은 뮤지션이 낸 앨범과 음원을 한데 모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유튜브 뮤직 가입자가 아니더라도 타 음원 사이트처럼 해당 음악인의 곡을 편하게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유튜브의 보안이 허술해 2022년부터 이러한 공식 아티스트 채널이 해킹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선 김광석, 산울림 등 다양한 아티스트 채널이 해킹되었으며, 해외도 저스틴 비버, 트래비스 스콧, 핼리 스타일스, 마이클 잭슨 등 다수의 채널이 해킹되어서 계정명이 바뀌고 도박 사이트 등의 홍보용 영상이 업로드되는 중이다. 일반인의 계정이 해킹되는 것도 문제지만 유튜브 공식 채널이 줄줄이 해킹되고 있는데도 유튜브는 이를 막지 못하고 있다. 뒤늦게라도 해외 아티스트 채널은 차츰 복구되고 있지만 한국 아티스트의 해킹은 사실상 방치 상태이다.- 아티스트들을 위한 YouTube 활용법과 뉴스를 소개해 놓은 페이지이다.
- 공식 아티스트 채널 소개 - 후술할 '공식 아티스트 배지'를 받을 수 있다.
- YouTube의 콘서트 티켓 - 미국 한정 서비스 중이다.
- YouTube 음악 차트
6. 유튜브 채널과 영상
6.1. 채널 이름과 핸들
- 채널 이름: 유튜브 채널 이름은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지 않는 순수 시청자들도 반드시 가져야 하는 이름이다. 유튜브 채널 이름은 중복이 가능하다. 다국어가 지원된다. 채널 이름은 14일 내에 2회 변경할 수 있고 이름을 변경하면 인증 배지가 삭제된다.
- 채널 ID와 맞춤 URL: 아래 핸들이 도입되기 전에는 영상 ID처럼 복잡한 채널 ID가 랜덤으로 부여되었고 극소수만 맞춤 URL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런데 채널 이름과 브랜드 이미지를 배낀 사칭 계정들이 생겨나면서 유튜버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제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났고 결국 핸들이 도입되었다. 이제 핸들로 전부 대체되었으며 기존에 맞춤URL을 가진 사람은 유지할 수 있다.
- 핸들: 2022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제도로, 핸들은 기존 채널이름과 달리 "youtube.com/@핸들"처럼 URL주소도 겸하는 이름으로 반드시 @ 기호로 시작한다. 검색 편의성 및 사칭계정 구분을 위해 반드시 모든 사람이 다른 핸들을 달아야 하며 이미 만들어진 핸들을 중복으로 만들 수 없다. 채널을 개설할 때 채널 이름과 함께 만들어진다. 원래는 영어와 숫자만 지원했지만 한글을 포함한 여러 문자들도 추가되었다.
6.2. 영상
재생 기기에 따라 화질 제한이 있지만 아래 인코딩 문단에 기재된 화질의 영상 업로드를 지원한다.영상 플레이어로서의 기능들을 나열하면
- 일시정지/재생 - 우클릭, 스페이스바, 좌클릭, K키로 활성화 할 수 있다.
- 이전/다음 영상
- 앞뒤 건너뛰기 - PC의 경우 좌우 방향키를 통해 이동 가능하며 기본값은 5초이고, 키보드의 J(앞),L(뒤)는 10초이다. 모바일에서는 화면을 두 번 빠르게 터치해 이동 가능하며 기본값은 10초이다. 길게 누르면 건너뛰는 양이 늘어난다.
- 소리 조절/음소거
- 자막 - 표시되는 자막의 서식을 수정할 수 있고, 언어를 설정할 수 있으며, 등록된 자막이 없을 경우 음성 인식으로 자동 생성한다. 이때 PC에서는 자막을 원하는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번역 알고리즘은 구글 서비스니만큼 당연히 구글번역에 근거하고 있다. 자동 생성 자막의 정확도는 대체로 영어가 가장 높고, 미/영 이외 지역 억양의 영어도 꽤 정확하게 나온다. 2020년 9월 28일부터 커뮤니티 자막 제공 기능이 사라졌다. 또한 영상 자막에 욕설이 들어갈 경우 __ 로 자동으로 검열된다.
- 텍스트 변환 열기
- 자동재생 설정
- 최종 화면 및 특수효과 - 이중 특수효과는 2017년 5월부터 편집이나 추가가 불가능하게 막혔으며, 2019년 1월 15일부로 기존 영상에 남아있던 특수효과 데이터마저 모두 지워져 사실상 유명무실한 기능이다. 관련 문서.
- 재생 속도 설정 -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재생 속도는 0.25, 0.5, 0.75, 1(기본), 1.25, 1.5, 1.75, 2배속까지 있으며, 웹 브라우저로 접속 시 더 넓은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39]
- 미니플레이어 활성화
- 영화관 모드: 영화관처럼 비율이 바뀐다. 버튼을 누르거나 T키를 눌러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영화관 모드로 보면 영상에 맞춰서 레터박스의 색이 바뀌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TV에서 재생
- VR로 보기
- 전체 화면:버튼을 누르거나 F키를 눌러 전체 화면 모드로 바꿀 수 있다.
- 동영상 신고
- 내 재생목록에 저장
- 영상 공유
- 영상 반복 - 비디오를 우클릭하면 나온다. 모바일 앱에서는 2021년 4월 9일에 추가되었다.
6.2.1. 최초 공개
채널 주인이 영상의 공개 시간을 예약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공개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때 영상에는 Premieres(최초 공개) 표시가 뜨며, 예약된 시간이 되어야 영상을 감상하며 실시간 채팅을 칠 수 있게 된다. 'premiere'는 영화의 '시사회'나 음악의 '초연'을 뜻하는 말이다.한국에서 2019년 말~2020년 중순 즈음에 한국 대형 유튜버들 사이에서 잠깐 유행했었다.
기존의 공개시간 예약과의 차이점은 공개 시간 예약만을 할 경우 단순히 영상이 게시되는 시간을 지정할 수 있을 뿐이지만 최초 공개는 실시간 라이브와 같이 영상을 다수의 시청자와 함께 동시적으로 볼 수 있어 업로드 초기 시청자 유입에 효과가 좋다. 또한 슈퍼챗 등 라이브 수익창출 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
최초 공개 영상이 시작되기 전 자동으로 카운트다운 영상이 삽입되는데 소리가 너무 커 악명이 높다.[40] 대기시간 도중 영상을 배속하면 남들보다 5~20초정도 본영상을 빠르게 볼 수 있다. 개발자도 이를 알고 있는지 계속 2배속을 하고 있으면 중간에 끊기며 1배속으로 돌아온다. 이때 다시 2배속을 하면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초공개 기능 사용시 강제로 카운트다운을 기다리게 되므로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최초공개가 좋다고 하는 유저들의 경우, 업로드 시간에 맞춰 함께 채팅치며 감상할 수 있어서 좋다고 하는 의견이많고, 불호 의견의 경우, 강제로 카운트다운을 기다려야 하므로 원래 예정된 업로드 시간에서 카운트다운을 기다리는 시간만큼 늦게 시청해야하는 점과 최초공개 기능을 걸어두고 영상을 올려두면 이미 영상이 업로드가 되어있는 것 처럼 보여지지만 실제로는 최초공개 시간까지 기다려야 해서 바로 시청이 불가능한 점을 불호의 이유로 꼽는다. 이때 댓글에는 누가 최초공개 기능을 알려준 것이냐며 불만을 표하는 댓글이 달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최초 공개에 사용되는 카운트다운 영상의 퀄리티가 상당하다는 것은 대다수가 인정하고 있다. 특히나 Sci-fi는 음악도 상당히 박진감 넘치는 멜로디를 선보이며 happy도 음악이 상당히 중독적인 마성의 BGM으로 불리는 중이다.
6.3. 공유
콘텐츠는 다음과 같이 공유할 수 있다.- 링크를 이용해 공유한다.
- 주소창의 링크를 복사한다.
- '공유' 버튼을 누르고 링크를 복사하거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 HTML의 소스 코드를 붙여넣어 자신의 사이트에 띄운다.
- '공유' 버튼을 누르고 '퍼가기' 버튼을 누른다. 이때 '퍼가기' 버튼은 크리에이터가 '퍼가기'를 허용했을 때만 표시된다. 퍼가기 옵션을 적절히 선택하고 소스 코드를 복사한 후 자신의 사이트에 붙여넣으면 된다.
- 재생 목록을 퍼가려면 YouTube 고객센터에 나온 방법을 참고한다.
댓글 공유는 다음과 같이 공유할 수 있다.
- PC 모드에서 댓글이 달린 시간(5시간 전, 2년 전 등)을 클릭하면 같은 영상의 다른 링크로 이동되는데, 그 링크를 통해 그 영상에 들어가면 PC에선 그 댓글이 '하이라이트 댓글'로 최상단에 노출되도록, 모바일에선 그 댓글이 최상단에 있도록 배치된 댓글창으로 이동된다. 링크를 눌러 댓글창을 봤을 때 이렇게 뜨면 성공이다.
6.4. 동영상 제목 및 설명 직접 번역
2019년 경에 도입한 것으로 추정되며, 업로더 측에서 자신이 업로드하는 영상이 타 언어권 시청자들에게 자동으로 번역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도입 의도는 구글 오피셜에 따르면 이렇다고 한다.
따라서 해외 유저가 영상을 업로드할 때, 해당 유저가 업로드 시 이 옵션을 사용하면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할 시 한국어로 자동번역되어 나오며, 번역 알고리즘은 구글 번역에 근거하고 있다. 다만, 기계번역의 어색함을 원치 않는 유저들을 위한 자동 번역을 끄는 설정 옵션이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일일이 자동번역된 영상을 원치 않는다면 국가나 언어설정을 바꿔야 한다.
6.5. 댓글
댓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 답글 달기 - 물론 답글에도 답글을 달 수도 있으며, 답글을 클릭하면 해당 답글의 주인이 청색으로 언급되며 답할 수 있다. 하나의 댓글에 답글은 500개까지가 한계라고 아는 경우가 많으나, 특정 조건에서는 실제로는 그 이상 무한히 달 수 있다. 답글의 답글도 포함. 참고로 답글을 달 때는 공손하게 존댓말과 선플로 다는 것이 예의이다. 그런데 그런 기본에도 불구하고 반말이나 시비조의 말로 공격적이거나 퉁명스럽거나 저질스런 발언이나 욕설을 대놓고 서슴없이 막 내뱉는 버릇 없는 유저들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42][43] 또한 영상에 댓글이 너무 많으면 자신의 댓글이 앞에 나오기 위해 영상에 댓글 다는 것 대신 일부러 앞에 나온 댓글들 중 하나를 골라서 답글을 다는 경우도 있다. 어떤 사람은 남이 쓴 댓글을 똑같이 혹은 비슷하게 따라하거나 표절하기도 해서 앞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만들기도 한다. 아니면 본인이 쓰려던 댓글을 이미 누가 기재해 놓은 있는 경우도 있다.[44]
- 좋아요 및 싫어요 표시 - 싫어요는 숫자로 보여주지 않는다. 다만 추천순 댓글 정렬에는 영향을 준다.
- 하트 주기 - 채널의 주인이 좋아하거나 인상적이거나 맘에 쏙 드는 댓글에 추가할 수 있게 만든 기능이다.
- 댓글 고정 - 채널의 주인은 해당 댓글을 최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보통 댓글을 통한 공지를 할 때나 재밌거나 유익한 댓글이 있을 때 이용한다. 가끔 채널을 무분별하게 비난하는 댓글을 고정시켜 역으로 욕을 먹이기도 한다. 최근 들어서는 아무 내용도 없이 다짜고짜 댓글을 고정해달라고 요구하거나 무성의한 댓글 하나 덜렁 달아놓고 그걸 고정해달라는 어그로성 댓글이 늘어났다.[45]
- 댓글 수정/삭제 - 댓글을 단 사람은 자신의 댓글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자신의 댓글을 수정한 경우 작성 시간 옆에 (수정됨)이라는 문구가 붙는다. 자신이 단 모든 댓글을 확인하고 싶다면 여기로 가면 된다. 또한 댓글을 삭제할 경우 그 댓글에 달린 답글까지 몽땅 삭제된다.[46] 하트가 달린 댓글을 수정한 경우에는 하트도 자동으로 취소된다. 하트를 받고 나서 악플이나 문제 있는 댓글로 수정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멀쩡하고 문제 없는 댓글인데도 오타를 수정하거나 별 생각 없이 글자만 살짝 고쳤을 뿐인데도 이럴 때도 어김없이 사라져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아무것도 모르다가 하트가 졸지에 사라져버려서 안타까워하는 경우도 있다. 확실히 고쳐야 할 부분.
- 댓글 신고 - 먼저 댓글을 기재한 다른 누리꾼이나 사용자 본인 혹은 채널을 지키는 관리자를 저격하는 악성 댓글이거나 댓글 같지도 않고 유치하고 질떨어지는 댓글이 있을 시 신고하는 기능이다. 신고 사유는 9가지가 있는데, 9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서 신고할 수 있다. 신고된 댓글은 사측에서 신고 대상인지 아닌지를 검토하고 처벌(?)을 내린다. 그런데 일반인들의 눈으로 봐서는 이게 제대로 처리된 것인지 안 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 댓글 공유 - 공유 참고.
- 댓글을 달 때 간단한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서식을 지정할 때 쓰는 텍스트 옆에는 공백이 있어야 하며, 공백이 없다면 일반 문자열로 취급된다.
<rowcolor=#fff> 문법 표시 *굵게*
굵게 [47] _기울임_
기울임 -취소선-
취소선
또한, 크리에이터의 설정에 따라 링크를 달 수 있으며 영상 내에서 시간을 이동하는 시간 링크를 달 수도 있다.
- 시간 링크는
시:분:초
형식으로 달 수 있으며시:
는 생략 가능하지만분:
은 생략하면 링크를 일반 문자열로 취급한다.
- 2019년 5월 19일 기준으로 댓글 부분이 일부 업데이트 된 것으로 보인다. 댓글을 보는 현 시점에서 댓글이 작성된 날짜가 맨 아래로 내려가고 그 채널에서 받은 하트의 개수가 닉네임 옆에 붙어있다. 가장 많이 받은 사용자는 "♥ ##개- 이 채널에서 가장 많은 ♥를 받은 사용자"가 닉네임 옆에 붙는다.
- 2020년 12월 중순부터 #1, #2 유튜브 자동 생성 음원[48]의 댓글이 크리에이터의 개별 설정과는 무관하게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 테러의 여파로 모두 '사용 중지' 상태로 막혀 있었다가 2022년 12월 말 즈음부터 #1, #2 다시 해제되었다. 사용 중지 상태에서는 기존 댓글 열람과 새로운 댓글 작성을 모두 할 수 없었으며, 댓글 영역에 대신 '댓글이 사용 중지 되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라는 메시지만 표출되었다. 유튜브에서 해당 기능을 제한할 때 공식적으로도 '사용 중지' 상태로 취급하였는지[49], 기능이 원복된 이후 막히기 전에 달려있었던 기존 댓글들도 다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아동용 동영상이나 만화의 경우 댓글을 일체 달 수 없게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50] 아동용 동영상의 기준은 아동(키즈 유튜버 등)이나 아동용 게임 캐릭터 및 아동이 주 시청자인 동영상 및 게임이 나오는 경우로, 또 아동 관련 영상은 아니나 아동의 목소리가 어지간히도 많이 들릴 정도로 아동의 비중이 8할 이상인 영상들도 역시 포함된다. 이유로는 아동 범죄를 예방하고 아동 인권이 소중한 서구권 문화 특성상 그러는 걸로 보인다.
- 악성 댓글이 지나치게 많거나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현재 악플이 너무 많은 영상도 더 이상은 댓글을 달 수 없게 처리한다. 예를 들어 범죄자 출신 또는 그에 준하는 개막장 무개념 유튜버들이나 비호감 인물이 나오는 영상 등이 그 예시들이다. 댓글을 달 수 없게 처리하는 경우는 사측에서 이렇게 처리하거나 유튜브 채널 주인이나 어떤 특정 인물이 댓글을 좀 못 달게 처리해 달라고 사측에 연락한다.[51]
- 댓글의 작성 시간을 누르면 그 댓글이 하이라이트 댓글이 되어 맨 위에 보인다.
별 의미 없는 거 같다.
- 댓글 글자 수 제한은 3333자이다. 단, 정상적으로 입력했을 시...
- 댓글에 번역 기능이 생겼다.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의 구글 번역 기준. 따라서 외국어 댓글도 번역 기능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원래는 답글도 번역 가능했지만 갑자기 답글을 누르면 해당 댓글에 번역 기능이 갑자기 영문도 모른 채 사라져버린다. 이후 업데이트로 수정되어 답글도 번역할 수 있게 되었다. 여담으로, 번역기 성능은 상당히 좋은 편인데, 고유명사[52]의 번역은 물론이고 가끔 가다 "존나", "새꺄" 같은 비속어도 한국어로 그대로 번역해주기도 한다. 현재 PC 버전도 번역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개편되었다.
- 유명한 유튜버들이 올린 영상의 댓글들 중에는 욕설이 쓰여 있거나 특정 성인 웹사이트를 노골적으로 홍보하는 질 낮은 댓글들이 종종 보이고 있다. 해당 댓글을 신고하는 경우 영상을 보는 동안만 숨겨지며, 해당 영상의 페이지나 탭, 슬라이드 터치(모바일, 아래로 슬라이드하여 닫기)로 닫은 후 다시 열면 문제의 댓글이 드러난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53] 유튜브 운영진에게 신고가 접수되어 삭제되기 때문에 신고 접수까지의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단점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업로더가 댓글 검토 기능을 활성화했다면 해당 부류의 댓글들 중 일부가 검열된다.
- 2023년 1월 이후 기준으로 유튜브 댓글에서 표시되는 유저의 닉네임이 유저의 핸들명으로 바뀌는 업데이트로 인해 많은 유저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 Family Link를 사용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댓글을 작성할 수 없다.
네이버로 들어가보자. 삼성 폰이라면 삼성 인터넷을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일부 채널은 욕설이나 악플을 기재한 댓글이나 부적절한 댓글은 댓글창에서부터 곧장 걸러내서 그 때문에 등록이 전혀 안 되기도 하는데,[55] 어떤 일부 채널은 욕설이나 비하성 댓글이나 적절하지 않은 댓글을 단 것도 아닌데도 댓글을 초장부터 다짜고짜 스팸처리해버리는 경우가 굉장히 많고 이 현상이 가면 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 일부 채널의 유튜브 댓글수나 대댓글 수가 실제 쓰여져 있는 댓글 숫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바로 그 때문이다. 이게 본인이 로그인한 상태거나 인기순이 아닌 최신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자기 댓글이 보이지만, 로그아웃하거나 최신순이 아닌 인기순으로 정렬했거나 다른 계정으로 보면 전혀 안 보이는 방식이라서 상당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댓글과 그 동안의 행적들이 관리자에 의해 문제성 댓글 및 행적들로 판정되어 스팸처리되어버렸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 뿐이다. 이 때문에 "유튜버가 피드백도 안 하고 가차없이 무시한다", "유튜버가 본인한테 불리한 댓글은 싹 다 지우더라", "유튜버가 본인한테 일방적으로 유리한 쪽으로 댓글조작을 한다", "유튜버가 본인한테 안 좋은 소리를 한 일부 구독자들의 댓글은 내용에 상관없이 무조건 필터링해버린다" 등으로 여기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댓글을 쓴 다음 세 번 이상이나 수정했는데도 불구하고 기어이 스팸처리해버리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복되는 표현을 쓰거나 댓글을 연달아 쓰는 것을 겨우 두 세번만 해도 댓글들은 모조리 스팸처리 된다. 댓글이 스팸처리 되면 당연히 그 아래 달린 대댓글까지 전부 안 보이게 된다. 대댓글의 경우 대화를 주고 받은 다른 사람 댓글까지 전부 사라지거나 일부만 보여서 마치 한 명이 댓글을 지우고 짼 것처럼 보이거나 자문자답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메모장앱 같은 것에 적었던 글이나 홈페이지에서 복사한 글처럼 태그가 붙어 있는 글들도 다 일방적으로 스팸으로 처리된다.
이럴 경우 부적절하거나 악플일 경우 경고를 주면 될 것을 선플조차도 댓글을 다는 족족 스팸으로만 처리돼서 그 댓글러의 댓글들만 절대 등록이 안 돼서 내가 혹시 차단당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혼자만 독고다이 되는 기분일 터이니 좋은 현상은 아니다.
근데 이 기준도 꽤 뒤죽박죽인 경우가 많은데, 관리자나 다른 사용자를 향해 막말을 하는 등 저격성 댓글을 상습적으로 달았을 경우라면 그들의 신경을 거슬려서 차단당할 수도 있지만, 그런 적이 전혀 없고 하트까지 받은 적도 있는데도 관리자가 제멋대로 그 사용자는 스팸으로 처리해버려서 댓글 등록이 몇 시간은 물론 며칠, 몇주, 몇달, 몇년이 지나도 전혀 안 되기도 한다.
영상 덧글이 일시적으로 막혔을 경우 덧글을 쓰는 족족 30초 내로 자동 삭제 당하지만 다행히 커뮤니티 덧글은 안 막히며, 또한 실시간 방송 채팅도 정상적으로 된다. 만약 스팸 처리로 막힌 경우 12 ~ 24시간 이상 어느 영상에서든 새로 쓰는 덧글이 자동으로 삭제되서 날아가기에 알아서 사리고 주의해야 한다. 아니면 계정을 새로 만들거나 해야 한다.
6.6. 메시지 (서비스 종료)
메시지 링크를 상대방에게 공유하여 문자를 주고받을 수 있었고 영상 공유도 겸했다. 하지만 이용자가 저조했는지 2019년 9월 18일 자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6.7. 커뮤니티 게시물
자신의 유튜브 영상을 공지하거나 사례나 사죄하는 글 등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글을 쓰는 기능이다. 게시물에는 투표, 퀴즈 기능이 있다. 이를 넣어 시청자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알고리즘에 뜨게 만들 수 있다.예전에는 구독자가 1만명부터 생기는 기능이었으나 1000명, 다시금 500명으로 바뀌었으며, 현재는 500명 이하인 채널도 이 기능이 생기고 있다. 일부 채널은 계정을 생성하자마자 생기기도 하고, 예전부터 활동한 채널 중 구독자가 50명 이하인 채널들도 많이 생긴 추세이다.[56]
일부 유튜버들이[57] 구독자를 올리는 재미가 없다며 다시 구독자 1000명으로 변경해 달라는 비난 영상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알고리즘 때문에 음란물 커뮤니티, 광고성 커뮤니티, 불펌영상을 홍보하는 커뮤니티 등 부적절한 커뮤니티가 생겨나는 문제로 일부 시청자가 불편을 겪고 있기도 하다. 다행히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는 편이다.
커뮤니티 게시글의 사진은 우선 PC버전에서 F12 또는 '우클릭 -> 새 탭에서 이미지 열기' 등의 방법으로 해당 이미지의 링크를 구한 후 링크에서 's640' 뒤의 부분을 지우고 's640'은 's4000'으로 바꾸면 최고 화질의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다.
모바일에서 유튜브 사이트로 커뮤니티를 스크롤하다보면 어느순간에 렉이 걸려 사이트가 멈춰버리는 버그가 있다. 새로고침을 해도 먹히지 않는 버그여서 나갔다 들어와야 하는 골치아픈 버그이다.
2025년 채널 메인에서 볼 수 있는 메뉴에서의 이름이 '커뮤니티'에서 '게시물'로 바꼈다.
7. 기술
7.1. 구글 글로벌 캐시 (GGC)
이용자가 YouTube 동영상을 감상할 때에 해당 통신사의 GGC에서 미리 캐싱해 둔 동영상이 존재한다면 Google 데이터 센터가 아닌 통신사에서 직접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다. 이때 핑이 한자릿수대가 나오며 스트리밍 속도가 상당히 높게나오는데, 기가 인터넷 사용자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120 ~ 200 Mbps의 스트리밍 속도가 나온다.
통신사의 GGC에 이용자가 보고자 하는 동영상이 캐싱되어 있지 않다면, Google 데이터 센터에서 직접 스트리밍을 받는다. 이때는 해외망을 많이 확보한 통신사의 회선에서 상당히 유리하다. 당장에 해외망의 규모가 열약한 LG U+나 SK그룹 계열사만 하더라도 GGC에 없는 YouTube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가끔씩 버퍼링이 걸리기도 하고 해외망 상태가 메롱인 경우에는 노답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KT의 경우에는 GGC에 없는 동영상도 자사의 막대한 해외망이 뒷받침되기에 버퍼링이 없이 재생이 된다. 그러고 나서 해당 GGC에서는 캐싱되어 있지 않은 동영상을 Google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운받아서 캐싱한다. 다음 이용자는 해당 GGC에서 스트리밍을 받게된다. 한국 이용자들이 덜 찾게되는 영상들은 GGC에 저장되어도 단기간 내에 지워지게 되며, 조회수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나오는 동영상들이 GGC에 계속 남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YouTube 라이브 방송도 GGC를 이용한다. 다만, 방송하는 쪽에서는 해외의 Google 데이터 센터로 영상을 전송하고 이용자들은 GGC가 실시간으로 받아오는 1 ~ 30초 지연된 영상을 보게 된다. YouTube 라이브 방송의 렉이나 버퍼링의 근원이 방송하는 사람 쪽에 있는 경우가 많다. 방송자가 해외망을 통해 영상을 보내야하니 핑이 만만치않게 오르게 되고 핑튐도 생길 수 있으며 이로인해 방송 상태가 엉망인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단 '대시보드 → 스트림 옵션 → 짧은 지연 시간' 변경하면 5초 정도의 딜레이로 안정적 방송이 가능하다. 또 '매우 짧은 지연 시간' 선택시 민감하여 불안정 하지만 2초 이하의 딜레이로 시청 가능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구글 글로벌 캐시|구글 글로벌 캐시]]}}}{{{#!if external != "o"
[[구글 글로벌 캐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구글 글로벌 캐시?uuid=71ee3a9d-23b3-49e5-bc4b-1363f0cba0c8|r4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구글 글로벌 캐시?uuid=71ee3a9d-23b3-49e5-bc4b-1363f0cba0c8#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구글 글로벌 캐시?from=4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구글 글로벌 캐시|구글 글로벌 캐시]]}}}{{{#!if external != "o"
[[구글 글로벌 캐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구글 글로벌 캐시?uuid=71ee3a9d-23b3-49e5-bc4b-1363f0cba0c8|r4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구글 글로벌 캐시?uuid=71ee3a9d-23b3-49e5-bc4b-1363f0cba0c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구글 글로벌 캐시?from=4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7.2. 인코딩
YouTube는 당연히 원본이 아닌 일정 규격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 # 사실, 이건 모든 동영상 사이트에서 해당되는 사실이며, 원본 그대로 올렸다가는 네트워크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모든 동영상 사이트들은 스트리밍에 맞게끔 동영상을 무조건 재인코딩 한다. 사용자 입장에선 다소 아쉬운 경직성[58]이나, 스트리밍이란 게 용량만 맞춘다고 끝이 아니라 어떤 인코더의 어떤 설정으로 인코딩 했느냐에 따라 별의 별 호환성을 다 탈 수 있는데, 그걸 제대로 검사하는 것도 비용이 꽤 들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그러므로 동영상을 만들 때 가능하면 YouTube가 권장하는 비트레이트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제작하자. 어차피 업로드 용량 제한은 무려 128GB나 된다.
단, H.264나 VP9으로 생방송한 내용의 다시보기는 예외인데, 이 경우에도 H.264 코덱으로 방송된 다시보기가 VP9 코덱으로도 제공되는 경우에는 YouTube에서 변환한 것이다. 물론 손실 압축 포맷 특성상 화질은 무조건 원본보다 조금이라도 떨어진다. YouTube가 VP9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대역폭을 절감하여 비용을 아끼기 위한 것이다.[59]
업로드 시 지원하는 포맷 #에서 벗어나면 아예 처리가 안 되므로 주의해야 된다. 라이선스 문제인지 H.265는 꽤 오랫동안 지원하지 않았으나, 대세를 거스르기 힘들었는지 17년도 즈음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비디오/오디오 모두 손실 압축 포맷으로만 제공하기 때문에 가급적 추가 변환을 하지 않아야 품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무언가를 업로드할 때, YouTube에서 무언가를 다운받아서 활용할 때 모두 해당된다.
- 지원하는 화질에서 지나치게 벗어나는 세팅(HD 해상도의 저프레임 동영상인데 수십Mbps라든가)으로 올리면 쓸데없이 업로드 시간만 오래 걸리는 뻘짓이므로 가급적이면 피하도록 하자.
- 해상도별 비트레이트 할당이 다른 것 때문에 일부러 원본을 업스케일해서 올리는 팁#도 있는데, 조금만 잘못 활용해도 오히려 화질이 떨어지는 뻘짓이 되므로 사용할 영상을 짧게 자른 샘플을 이용해서 확인해보고 써먹도록 하자. 다만, 구독자 수가 적을수록 1440P 이상으로 올리는 게 유리한 편이다.#
- 불가피한 이유로 원본을 변환해서 업로드 해야 될 경우, 변환으로 인한 화질 손상, 변환에 걸리는 시간, 업로드에 걸리는 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적절한 세팅을 잡도록 하는 것이 좋다.
- 오디오의 경우, 그냥 무식하게 음질이 좋은 게 좋다. 어차피 YouTube에 업로드 하면 오디오가 열화되기 때문에 무손실 포맷이 이상적이지만 대부분의 동영상 편집기의 경우 무손실 오디오 인코딩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다. 최대한 비트레이트를 올리거나 아니면 YouTube가 추천하는 비트레이트로 올리자.
7.2.1. 비디오
- H.264/AVC
- 컨테이너: mp4 (*.mp4, *.m4v)
- 코덱 상세: H.264 Baseline(360p 이하, 최대 30fps)/Main(480p, 최대 30fps)/High(720p 이상, 최대 60fps) 프로파일, YUV 4:2:0 8비트의 색상과 BT.709 색공간
7.2.2. 오디오
- AAC
- 컨테이너: mp4(*.mp4, *.m4a)
- 코덱 상세: AAC
- 비트레이트
AAC-LC 44.1KHz 16비트 스테레오 128Kbit/s
AAC-LC 44.1KHz 16비트 4채널 256Kbit/s(360° 전용)
AAC-HE 44.1KHz 16비트 5.1채널 192Kbit/s
AAC-LC 44.1KHz 16비트 5.1채널 384Kbit/s
- AC-3
- 컨테이너: mp4(*.mp4, *.m4a)
- 코덱 상세: Dolby Digital
- 비트레이트
AC-3 48KHz 32비트 부동소수점 5.1채널 384Kbit/s
AC-3 48KHz 32비트 부동소수점 7.1채널 384Kbit/s
- EC-3
- 컨테이너: mp4(*.mp4, *.m4a)
- 코덱 상세: Dolby Digital Plus
- 비트레이트
EC-3 48KHz 32비트 부동소수점 5.1채널 384Kbit/s
EC-3 48KHz 32비트 부동소수점 7.1채널 384Kbit/s
7.2.3. 인코딩 추천 설정
YouTube용 영상을 위해서는 최고 화질 값이 아니라 최적 설정 값이 필요한데, 일반적인 경우(SDR, 24~30프레임) 양호한 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으로 설정하면 된다.- 720p: MP4 Level High 4 H264, 5Mbps 이상
- 1080p: MP4 Level High 4.2 H264, 10Mbps 이상
- 1440p: MP4 Level High10 5.1 H264, 16Mbps 이상
- 2160p (4K): MP4 Level High10 5.1 H264, 35Mbps 이상
7.2.4. 과거
- 비디오
- MPEG-4 Visual
- 컨테이너: 3GP(*.3gp)
- 코덱 상세: MPEG-4 Visual Simple@L0(144p)/Simple@L1(240p), YUV 4:2:0 8비트의 색상과 BT.709 색공간, 12fps(144p)/최대 30fps(240p)
- Sorenson(소렌슨) H.263
- 컨테이너: FLV(*.flv)
- 코덱 상세: Sorenson H.263, YUV 4:2:0 8비트의 색상과 BT.709 색공간, 최대 30fps
- VP8
- 컨테이너: webm(*.webm, *.mkv)
- 코덱 상세: VP8, YUV 4:2:0 8비트의 색상과 BT.709 색공간, 최대 30fps
- 오디오
- MP3(2011년 4월까지): 240p 이하 영상에서 MP3 22.05kHz 16비트 64kbps 스테레오
- AAC
- MPEG-4 Visual 비디오 코덱 영상(2018년까지)
144p AAC-LC 22.05KHz 16비트 모노 24Kbit/s 240p AAC-LC 22.05KHz 16비트 모노 38 → 32Kbit/s - H.264 비디오 코덱 영상 출처
AAC-LC 44.1KHz 16비트 스테레오 192Kbit/s (HD 영상, 2012년 7월~2013년 ?월)
AAC-LC 44.1KHz 16비트 스테레오 152Kbit/s (HD 영상, 2011년 5월~2012년 6월) - Vorbis
- 컨테이너: WebM(*.webm, *.mka)
- 코덱 상세: Vorbis
- 비트레이트:
Vorbis 44.1KHz 32비트 부동소수점 스테레오 128Kbit/s
Vorbis 48KHz 32비트 부동소수점 4채널 256Kbit/s(360° 전용)
Vorbis 44.1KHz 32비트 부동소수점 스테레오 192Kbit/s (이전)
7.3. 오디오 노멀라이저
2014년부터 YouTube는 동영상 재생 시에 오디오에 노멀라이저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원본 오디오 소스는 수정되지 않으며, 단순히 플레이어에서 전체적인 사운드를 파악 후 음량이 너무 큰 영상이면 볼륨을 제한시켜서 재생하게 된다. 전문 통계 (Stats for Nerds)에 나와있는 Content Loudness가 0 dB 이하의 마이너스 수치인 경우는 노멀라이저가 적용되지 않고 재생되며 뮤직비디오나 광고 영상처럼 Content Loudness가 0 dB을 넘어가서 플러스 수치를 기록하는 영상은 노멀라이저가 적용되어 낮아진 볼륨으로 재생된다.
싸이의 YouTube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된 'New Face' 뮤직 비디오의 경우, 원본 음원의 음량 (Content Loudness)은 5.9dB으로 노멀라이저가 적용되는 기준인 0dB 이상에 해당되므로 YouTube 플레이어에서는 오디오에 노멀라이저가 적용된 상태로 재생이 된다. 플레이어의 기준 볼륨 (Volume)이 100%일 경우, 실제로 노멀라이징을 거쳐서 출력되는 볼륨 (Normalized)은 51%로 낮아진다.
YouTube가 광고 플랫폼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소리가 지나치게 커서 고막 테러하는 악덕 광고 영상들이 많아져 유저들의 불만이 확산되자 이것이 YouTube가 노멀라이저를 도입한 계기가 된 것이다.
음의 스펙트럼 분포나 클리핑 상태, 영상 코덱에 따라서 노멀라이저는 다르게 적용된다.
유튜브가 제시한 오디오 마스터링 표준은 평균 볼륨 -14 LUFS와 순간 최대 볼륨 -1 dbFS이다.
480p 이하급의 저화질로 영상을 올리면 노멀라이저가 적용되지 않는다.
7.4. HTML5 플레이어
HTML5를 지원하는 브라우저를 이용하고 있다면 YouTube 홈페이지내 플레이어가 HTML5 플레이어로 바뀐다. 720P, 1080P는 물론 60프레임까지 되며, 배속 기능이 있어서 0.25, 0.5, 0.75, 1, 1,25, 1.5, 1.75, 2배속을 지원하지만 브라우저 개발자 콘솔로 0.07배속~16배속까지도 된다.자바스크립트로 된 명령어는 document.querySelector('video').playbackRate = <원하는 속도>이다.[65][66]
최근 크롬과 파이어폭스에서는 H.264가 아닌 VP8, VP9의 WebM 방식으로 재생을 한다. 그런데 WebM으로 재생을 할 경우 오래된 그래픽 카드면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쓰지 못한다. 하드웨어 가속이 없으면 FHD 이상 60프레임의 영상이 끊기는 경우가 일어난다. 이럴 경우 강제로 H.264코덱으로 바꾸면 해결이 되는데 h264ify 라는 브라우저 부가기능이 이를 지원한다. 크롬용 파이어폭스용 설치하면 H.264로 강제 고정이 되기 때문에 고화질 동영상[67]에서 끊김이 사라진다. 하지만 H.264 코덱에 비해 월등히 개선된 VP9 코덱의 화질은 포기해야 할 수밖에 없다.
Microsoft Edge에서는 2016년 8월 2일부로 배포된 Windows 10 1주년 업데이트(레드스톤 1 업데이트; 버전 1607)을 통해서 VP9 코덱을 세계 최초로 DXVA를 통해서 GPU 가속을 지원한다.
하지만 문제는, YouTube의 오진단에 의해 html5를 적게 지원하는 브라우저[68]에서도 html5 플레이어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일부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혹은 모든 동영상, 특히 실시간 방송에서 플레이어 실행시 오류창과 함께 html5 안내 페이지로 가는 링크 뿐만이 제공된다. 그럼에도 플래시 플레이어로 회복하는 법이 제공되지 않아 일부 유저는 불편을 겪고 있다.[69]
7.5. 구독자수 표기 조정
2019년 9월 17일 을 기점으로 구독자수 표기 방식을 변경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구독자수의 왼쪽 세 숫자까지만 표기하고 이 뒤에 숫자는 모두 0으로 표기된다. 123명 까지는 123명으로 표기되지만 1234명은 1.23천 으로 표기되는 식. 12345명은 1.23만이다. 천만이 넘어갈 경우 1234만 명이어도 1230만 명으로 표기된다. 실제 구독자수는 유튜버 본인이 채널 분석을 통해, 외부인이라도 소셜블레이드 등 랭킹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구독자수 표기 정책 변화로 인해 모든 유튜브 랭킹 사이트도 차질을 겪고있다. 맨 처음 세자리까지의 변화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바로 알아채기 어렵다.
8. 유튜버 관련 사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유튜버 관련 사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유튜버 관련 사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오해와 사실
아래의 현상들은 국적을 초월하여 음모론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조회수가 300대에서 멈추는 현상.
YouTube의 조회수 표시는 실시간 표시가 아니다. 우선 300이 되기 전까지는 실시간으로 올라가지만 301에 다다른 이후는 다시 갱신되는 데에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 조작된 조회수를 가려내기 위해서라는 얘기(유튜브 고객센터)가 있다. 이 사이의 시간 동안 댓글이나 추천, 즐겨찾기 수가 301을 넘는 경우가 흔히 있기 때문에 민감한 동영상의 경우 거의 어김없이 조작 얘기가 나오곤 한다. 그러나 조회수만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을 뿐, 그런데 2015년 여름부터 업데이트로 인해 알고리즘이 변경되며 이 현상이 사라졌다.
- 동영상 내의 조회수가 검색했을 때와 다르다.
원래 그렇다. 영상 내의 조회수는 즐겨찾기, 관련 동영상,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숫자와 다르다.
- 조회수가 높은데 인기 동영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특정 동영상이 인기 동영상에 너무 오래 있다.
원래 복불복이다. 예를 들면 지역적으로 인기 동영상으로 표시되는 것들은 조회수가 불과 몇만에 불과한 것들이 많은데, 만약에 단순 조회수가 많은 영상을 인기 동영상으로 표시한다면 지금까지 억단위의 조회수를 가진 인기 동영상들이나 구독자가 많고 대중적이라서 어느 정도 조회수는 기본으로 찍고가는 유튜버의 영상만 거의 항상 표시 될것이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 어떠한 동영상에서 일정 조회수를 찍은 유튜버의 영상은 인기 동영상에 올라갈 수 있는 문턱이 높아진다던가 하는 규칙에 따라 선별된다.
10. 문제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문제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문제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광고 차단
12.1. PC
- Enhancer for youtube
- uBlock Origin
- FreeTube #
12.2. Android
====# NewPipe 설치법 #====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NewPipe|NewPipe]]}}}{{{#!if external != "o"
[[NewPipe]]}}}}}}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NewPipe?uuid=891399a1-d8c5-458a-822a-ea8fefc4d724|r19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NewPipe?uuid=891399a1-d8c5-458a-822a-ea8fefc4d724#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NewPipe?from=19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NewPipe|NewPipe]]}}}{{{#!if external != "o"
[[NewPipe]]}}}}}}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NewPipe?uuid=891399a1-d8c5-458a-822a-ea8fefc4d724|r19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NewPipe?uuid=891399a1-d8c5-458a-822a-ea8fefc4d72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NewPipe?from=19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NewPipe는 유튜브의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는 것이 관련 기능의 제공을 금지하는 플레이 스토어의 정책에 위배되기 때문에 플레이 스토어에는 앱이 없고, 직접 공식 홈페이지나 GitHub 페이지의 Releases에서 APK를 내려받아 설치하거나 F-Droid[70] 앱을 통해 설치해야 한다.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빌드 환경이 갖추어져 있다면 GitHub에서 직접 소스코드를 내려받아 빌드하는 방법도 있다. 제작진은 업데이트를 제때 받으려면 F-Droid를 통해 내려받는 방법이 낫다고 말한다. 선택은 자기 몫이다.[71]
1. 링크를 클릭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2. '내 파일' 어플에 들어간다.
내 파일 My Files |
3. APK 설치 파일 클릭.
4. 어플을 설치한다.
5. NewPipe의 첫 화면이다.
6. 자신이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7. 영상을 재생할 때의 화면이다. 다양한 기능이 있다.
8. 영상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9. NewPipe를 즐긴다.
보다시피 설치하는 과정이 어렵지는 않다.
12.3. iOS
13. 여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튜브/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 관련 문서
- 노래방/유튜브
- 유튜브 크리에이터 어워즈
- 유튜버
- MCN
- restricted mode
- en.savefrom.net
- 유튜브 괴담
- 구글 글로벌 캐시
- YouTube Vanced
- YouTube ReVanced
- NewPipe
- ForTube
- YouTube Sans
1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4px"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tablealign=center> | 유튜브의 CEO | }}} |
{{{#!wiki style="color:#000,#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000> 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 ||||
플렉스티비 | |||||
| |||||
<rowcolor=#000> 해외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 |||||
문서가 존재하는 플랫폼만 서술 A : 대한민국에서 사업 철수 | }}}}}}}}} |
미디어 플랫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유튜브| 유튜브]] | [[Vimeo| 비미오]] | [[dailymotion| 데일리모션]] |
[[네이버TV| 네이버TV]] | [[빌리빌리| 빌리빌리]] | [[니코니코 동화| 니코니코 동화]] |
UCC / AVOD 미디어 플랫폼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운영 중 | ||||
[[유튜브| 유튜브]] | [[Vimeo| 비미오]] | [[니코니코 동화| 니코니코 동화]] | [[빌리빌리| 빌리빌리]] | [[Picarto.TV| Picarto.TV]] | |
[[아프리카TV| 아프리카TV]] | [[후야| 후야]] | [[롱주TV| 룽주TV]] | [[dailymotion| dailymotion]] | ||
서비스 종료 | |||||
[[티비플| 티비플]] | [[크리크루| 크리크루]] | [[판다TV| 판다TV]] | [[튜브플| 튜브플]] | [[판도라TV| 판도라TV]] | }}}}}}}}} |
[1] Alphabet Inc. 설립 Google Inc.에서 Google LLC로 변경됨[2] 소유와 별개로 운영은 설립부터 지금까지 YouTube LLC가 운영한다.[3] 단 영상 업로드가 가능했던 실질적 오픈 시점은 4월 23일.[4] 유튜브 TV와 유튜브 프리미엄을 제외한 광고 매출 기준. 합산 매출은 알파벳 측에서 밝히지 않고 있다.[5] 구글 계정과 연동된다. 다만 좋아요/싫어요 누르기, 구독 및 댓글, 유튜브 크리에이터 활동 등 유튜브의 실질적인 기능들을 하고 싶다면 가입해야 한다.[6] 2024년 12월 이후로 소식이 없다.[7] 그것 때문에 한국어로 TV를 지칭하는 멸칭인 "바보 상자"에 해당하는 영어는 "boob tube"(바보 튜브)이다.[8] TV 프로그램 등에서 YouTube라는 플랫폼 이름 자체를 돌려말할 때 주로 쓴다.[9] 실제로 JTBC 드라마 신성한, 이혼 3화에 아예 유튜브를 패러디한 '너튜브(NerTube)'라는 플랫폼이 등장했다. 로고 또한 유튜브하고는 똑같으나 색깔이 빨간색이 아닌 파란색이다.[10]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이 영국식 영어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11] 이 때문에 DMB방송이 사양길을 걷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12] 다만 이중에서 몇몇 나라, 특히 중국와 이란은 VPN을 이용하여 암암리에 사용하기도 한다.[13] 때문에 당시 한국인들은 유튜브에서 동영상 업로드와 댓글 작성을 하려면 지역을 한국이 아닌 미국, 전세계 등 다른 지역으로 놓아야 했다.[14] 그러나 그 시기에도 튀르키예의 많은 이용자는 VPN 등으로 YouTube를 이용했다.[15] 인스타그램, 로블록스 등. 전자 인스타그램은 이란 테헤란에서 암살당한 이스마일 하니예의 추모 피드 및 댓글의 검열 목적으로 2024년 8월 2일부터 10일까지 8일 동안 접속 차단을 조치했으며, 후자 로블록스는 아동 성착취로 보이는 부적절한 성적 콘텐츠가 보고됐다는 이유로 이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으며, 현재 로블록스의 차단은 지금까지 유효하고 있다.[16] 이쪽은 상술한 것처럼 아예 인터넷 자체가 차단되었으니 논외.[17] 참고로 해당 유튜버는 이 영상 업로드 후 14년간 유튜브 활동을 전혀 하지 않다가 2020년부터 유튜브 활동을 재개, 2025년 현재도 유튜브 활동중이다.[18] 이때 플래시가 환골탈태급의 대규모 업데이트 버전인 플래시 9를 발표하면서 영상 재생이 가능해졌고 하위호환으로 7까지 된다.[19] 전액 구글 주식 지급 방식으로 매각했으며, 채드 헐리 694,087주, 스티브 첸 625,366주, 자베드 카림 137,443주를 수령했다. 당시 구글 주가가 450달러에 육박했으니, 채드와 스티브는 억만장자가 된 셈이다.[20] 유튜브는 구글에 16억 5천만 달러에 매각됐으며 헐리와 첸은 각각 3억 달러를, 창업자지만 회사를 나간 카림은 660만 달러를 받았다. 이는 에릭 슈미트가 경쟁사보다 무려 10억 달러나 높게 제시해 인수 기회를 선점한 것이며 지금에 와서는 그의 선견지명급 판단에 레전드 칭호가 붙는다.[21] 한국어 서비스가 안됐던 시절에는 영어를 잘해야만 유튜브를 할 수 있었다. 또한 그때 당시에는 한국인은 많지 않았던 시절이라 제목도 영어로 썼어야 했다. 물론 그때도 한글로 쓴 사람이 있었긴 했다[22] 수전 워치츠키는 2006년, 자기가 이끌던 'Google 영상' 서비스의 최대 경쟁사였던 YouTube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녀는 유튜브 인수를 제안했고, 당시 에릭 슈미트 Google CEO가 인수를 반대하자 슈미트 CEO를 직접 설득해 결국 인수를 성사시킨 것이다.#[23] 단, 서비스 초기에 바로 등장했던 것은 아니고, 훗날에 HD 화질 업스케일링을 거쳐서 재업로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24]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3840×2160 UHD 해상도가 아닌, 말 그대로 가로 해상도가 4000대인 4096×3072 해상도를 의미한다.[25] 하지만 당시 스트리밍 하기에는 너무 고사양이라는 점과 대중적이지 못 한 점 때문에 2012년에 2K (2048×1536) 해상도로 하향되어 4K 지원이 흐지부지 되었다.[26] 이 다큐멘터리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다.[27] 예전 YouTube의 메인 화면은 이런 느낌이었다.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이야기하는지를 가능한 많이 표시할 수 있도록 했었다. 여기에 과거 이력을 토대로 한 개별적 추천영상 기능도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 게다가 저런 화면 구조들 모두 위치 및 표시유무 등을 개인에 맞게 설정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리스트가 다시 표시되는 데는 1년이란 시간이 걸렸다.[28] 2019년 3월 15일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 테러가 벌어진 후 테러 영상이 유포되자, YouTube 측에서 이를 막기 위해 검색 필터를 일시적으로 중지시켰다. 한국 시각으로 2019년 3월 30일 오후 10시 15분 확인 결과 필터가 다시 적용된다.[29] 인터넷 초기 시절에 iframe 태그를 이용해서,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페이지를 게시물에 심던가, 납치 페이지를 심는 행위가 심해서, 대부분의 사이트들이 iframe을 게시판 글쓰기에서 허용하지 않게 되었다.[30] 세로 방향일 경우 360p 이상[31] RGB(196, 48, 43)[32] RGB(255, 0, 0)[33]
[34] RGB (255, 0, 51)[35] 언젠가부터 스트리밍이 공개상태더라도 12시간을 넘기면 11시간 55분 이내로 자동 편집되어 그 뒤의 장면은 볼 수 없게 됐으며 18시간을 넘기면 아예 '스트림 녹화를 볼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스트리밍 다시보기를 볼 수 없게 해놨다.[36] 후원액에 따라 배경색이 다르다.[37] https://youtube-creators.googleblog.com/2017/09/a-new-way-to-earn-money-with-youtube.html[38] 실시간 살인 등 범죄 진행 촬영으로 인한 조치로 보인다.#[39] ctrl+shift+i 등을 눌러 개발자 도구 창을 연 뒤, console 탭을 선택하고, $('video').playbackRate =배속숫자 를 입력한다. 웹브라우저에 따라 지원하는 배속이 다르다.[40] 현재는 카운트다운 영상 종류를 직접 선택할수 있다.[41] si= 앞에 있는 ?는 시작시간을 설정하는 t= 등 링크 뒤에 오는 다른 요소에도 필요해서 si= 요소 뒤에 &로 연결되는 무언가가 있다면 ?는 지우면 안되며, si=만 있다면 앞의 ?도 지워도 된다. 헷갈리면 ?를 지우지 않아도 되며, 링크 맨 뒤에 ?가 있어도 잘 작동하긴 한다.
아래에서 빨간 부분은 지워도 되는 것이다.
https://youtu.be/TpPwI_Lo0YY?si=Rp3H3fVByBHr8WZ4&t=127
https://youtu.be/QUXKib-jfEM?si=iG_sErK5fVFZ-qyX
https://youtu.be/QUXKib-jfEM?t=127&si=iG_sErK5fVFZ-qyX[42] 다만 반말이더라도 그 유저의 모습에 따라 그 유저의 평소 성격을 알 수 있는데, 올바른 유저들은 반말이더라도 예의를 차려가면서 겸손하게 말하는 반면 개차반인 유저들은 늘상 악담이나 비아냥이나 퍼부으면서 초면에 다짜고짜 반말을 동반한 막말을 해서 상대를 화나게 만드는 경우로 나뉜다. 그렇다고 아는 사이가 아닌 이상 반말로 답글을 다는 게 올바르다는 얘기는 절대로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플이든 악플이든 오히려 다른 유저가 반말로 답글을 달아주면 좋아하지 않고 오히려 상대를 매너 없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43] 간혹 이게 원인이 되면서 키보드 배틀로까지 확대되는 경우도 있다.[44] 이럴 경우 당사자의 기분은 둘 중 하나인데, 다른 사람이 먼저 써 줘서 본인의 수고를 덜어줬다고 고마워하거나, 감히 제멋대로 남의 사업(?)을 방해했다고 불만을 표한다.[45] 대표적인 경우가 '영상 뜨기 전에 고정해주세요'이다.[46] 대부분의 포털사이트는 댓글을 삭제하면 그 댓글에 달린 답글은 삭제되지 않는다. '삭제된 댓글입니다.' 밑에 여러 답글이 그대로 보여진다.[47] 모바일의 경우 글꼴에 따라 안보일 때도 있다.[48] Provided to YouTube by (음원 제공 · 권리자). Auto-generated by YouTube. 라는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음원들[49] YouTube 도움말 - 댓글 설정 알아보기 Q: 댓글을 사용 중지했다가 사용 설정하면 이전 댓글이 다시 표시되나요? / A: 예. 댓글을 사용 중지했다가 다시 사용 설정하면 기존 댓글이 다시 표시됩니다. 댓글을 사용 중지하면 기존 댓글이 보기 페이지나 YouTube 스튜디오에 표시되지 않습니다.[50] 심지어는 요즘 어린이들도 잘 안 보거나 전혀 모르고 생소한 90년대 혹은 2000년대 아동용 영상이나 만화도 포함된다.[51] 코미디언 양원경이 모 교회에서 간증한 장면이 올라온 영상이 바로 그 예시인데, 양원경이 어떤 사람인지를 교회측도 알고 있어서 그 곳에서 댓글을 못 달게 처리하였거나 아니면 양원경 본인이 사측에 댓글을 못 달게 연락하였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참고로 현재 이 영상은 완전히 삭제되었다.[52] 지나치게 마이너한 장르가 아니라면 인터넷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품 등의 원문 표기가 아닌 한국어로 번역한 고유명사를 번역해주기도 한다. 심지어는 포켓몬의 명칭처럼 한국어 명칭이 따로 번역된 고유명사들도 찾아서 번역을 해 주기도 한다.[53] 최소 1일 이상[54] 하지만 댓글을 나갔다 들어오면 유저 핸들명으로 태그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버그인지 새로 업데이트한 기능인지는 지켜봐야 할 듯.[55] 댓글창으로 내려가서 인기순이나 최신순으로 정렬해도 본인의 댓글은 몇초, 몇분, 몇시간이 지나도 아무리 찾아봐도 안 보이고 댓글 수와도 불일치하다면 이렇게 된 것이다.[56] 심지어 구독자 10명 이하 채널이나 유튜브를 하지 않는 채널까지 열리는 경우도 있다[57] 대부분 영국인[58] 애초에 해당 사이트의 스트리밍 성능과 규격에 맞춰서 인코딩해 올려도 무조건 재인코딩 한다.[59] 정확히는 화질 대비 대역폭 효율을 높이면서도 H.265의 복잡한 라이선스 비용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Google 차원에서 오픈 소스 포맷인 VP9을 개발한 것이다.[60] 1080P Premium 옵션에 한해 사용[61] 2025년 6월부터 1080p Premium 화질도 VP9와 동시에 AV1으로도 인코딩되어 제공된다. 태그 번호는 721번. 20년 9월초쯤부터 일부 8K 영상을 시작으로 기본값 도입을 하고 있다. 이와 맞물려서 나온 이슈가 아이유 8K 챌린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해 각종 공연이 취소되고 언택트 콘서트(비대면 스트리밍 콘서트) 트렌드가 이어지는 와중에 국민가수, 삼촌팬 특히 젊은 기덕들에게 인기가 많은 아이유의 데뷔 12주년을 기념하여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대국민 콘서트가 열렸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는데, 무려 8K 화질로 제공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이들이 8K 화질 영상재생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게 된다. 마침 구글이 고화질 고해상도 영상에 AV1을 기본값으로 AV1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시점이어서 일부 영상들은 8K 재생 시 별도의 설정 없이도 무조건 AV1으로만 나오게 된 것이다. 참고로 퀘이사존 링크글 기준으로 처음 2개는 VP9으로만 나오지만, 나머지 AV1으로만 8K를 제공한다. 아직 하드웨어 디코딩이 되는 재생기기들이 보급되지 않은 이 시점에서는 다수의 시청자들에게 CPU가 버벅이는 경험을 안겨주게 되었다. GeForce 30이나 인텔 타이거 레이크 계열 CPU로나 가능하다. 라이젠 시리즈는 GPU가 없고, RX 6000 시리즈는 좀 더 이후인 11월 출시인 데다가 AV1 지원이 8K 30p 한계라 8K 60p인 해당 영상들에는 쓸모가 없다[62] 144p[63] 240p 이상. 다만 2022년 2월 말부터 4월까지 KBS Kpop 채널에 올라온 영상 1000개를 분석한 글에 따르면 평균 0.12Mbps, 최대 0.14Mbps에 불과하다.[64] 프리미엄 유저 전용, 싸이 - 강남스타일 등 일부 뮤직비디오에서만 존재[65] 명령어로 배속 설정을 변경하면 YouTube에서 인식되지 않는다.[66] 예를 들어, 영상 설정에서 2배속으로 설정하고 명령어로 5배속으로 설정하면 영상 설정에는 2배속으로 나온다.[67] 1080p 이상의 해상도와 60fps의 프레임[68] 예시)인터넷 익스플로러 11[69] Steam 게임인 게리 모드에서 미디어플레이어 모드가 있으며 공식 버전으론 재생이 안된다. html 버전 관련 문제로 추정. 이건 크로미늄 베타로 실행하면 해결된다.[70] 안드로이드 앱 중 오픈소스인 것만 취급하는 앱스토어. 등재된 앱은 전부 운영진이 직접 검수, 빌드, 서명한 것들이다.[71] NewPipe 자체에도 업데이트 기능이 있다.
아래에서 빨간 부분은 지워도 되는 것이다.
https://youtu.be/TpPwI_Lo0YY?si=Rp3H3fVByBHr8WZ4&t=127
https://youtu.be/QUXKib-jfEM?si=iG_sErK5fVFZ-qyX
https://youtu.be/QUXKib-jfEM?t=127&si=iG_sErK5fVFZ-qyX[42] 다만 반말이더라도 그 유저의 모습에 따라 그 유저의 평소 성격을 알 수 있는데, 올바른 유저들은 반말이더라도 예의를 차려가면서 겸손하게 말하는 반면 개차반인 유저들은 늘상 악담이나 비아냥이나 퍼부으면서 초면에 다짜고짜 반말을 동반한 막말을 해서 상대를 화나게 만드는 경우로 나뉜다. 그렇다고 아는 사이가 아닌 이상 반말로 답글을 다는 게 올바르다는 얘기는 절대로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플이든 악플이든 오히려 다른 유저가 반말로 답글을 달아주면 좋아하지 않고 오히려 상대를 매너 없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43] 간혹 이게 원인이 되면서 키보드 배틀로까지 확대되는 경우도 있다.[44] 이럴 경우 당사자의 기분은 둘 중 하나인데, 다른 사람이 먼저 써 줘서 본인의 수고를 덜어줬다고 고마워하거나, 감히 제멋대로 남의 사업(?)을 방해했다고 불만을 표한다.[45] 대표적인 경우가 '영상 뜨기 전에 고정해주세요'이다.[46] 대부분의 포털사이트는 댓글을 삭제하면 그 댓글에 달린 답글은 삭제되지 않는다. '삭제된 댓글입니다.' 밑에 여러 답글이 그대로 보여진다.[47] 모바일의 경우 글꼴에 따라 안보일 때도 있다.[48] Provided to YouTube by (음원 제공 · 권리자). Auto-generated by YouTube. 라는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음원들[49] YouTube 도움말 - 댓글 설정 알아보기 Q: 댓글을 사용 중지했다가 사용 설정하면 이전 댓글이 다시 표시되나요? / A: 예. 댓글을 사용 중지했다가 다시 사용 설정하면 기존 댓글이 다시 표시됩니다. 댓글을 사용 중지하면 기존 댓글이 보기 페이지나 YouTube 스튜디오에 표시되지 않습니다.[50] 심지어는 요즘 어린이들도 잘 안 보거나 전혀 모르고 생소한 90년대 혹은 2000년대 아동용 영상이나 만화도 포함된다.[51] 코미디언 양원경이 모 교회에서 간증한 장면이 올라온 영상이 바로 그 예시인데, 양원경이 어떤 사람인지를 교회측도 알고 있어서 그 곳에서 댓글을 못 달게 처리하였거나 아니면 양원경 본인이 사측에 댓글을 못 달게 연락하였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참고로 현재 이 영상은 완전히 삭제되었다.[52] 지나치게 마이너한 장르가 아니라면 인터넷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품 등의 원문 표기가 아닌 한국어로 번역한 고유명사를 번역해주기도 한다. 심지어는 포켓몬의 명칭처럼 한국어 명칭이 따로 번역된 고유명사들도 찾아서 번역을 해 주기도 한다.[53] 최소 1일 이상[54] 하지만 댓글을 나갔다 들어오면 유저 핸들명으로 태그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버그인지 새로 업데이트한 기능인지는 지켜봐야 할 듯.[55] 댓글창으로 내려가서 인기순이나 최신순으로 정렬해도 본인의 댓글은 몇초, 몇분, 몇시간이 지나도 아무리 찾아봐도 안 보이고 댓글 수와도 불일치하다면 이렇게 된 것이다.[56] 심지어 구독자 10명 이하 채널이나 유튜브를 하지 않는 채널까지 열리는 경우도 있다[57] 대부분 영국인[58] 애초에 해당 사이트의 스트리밍 성능과 규격에 맞춰서 인코딩해 올려도 무조건 재인코딩 한다.[59] 정확히는 화질 대비 대역폭 효율을 높이면서도 H.265의 복잡한 라이선스 비용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Google 차원에서 오픈 소스 포맷인 VP9을 개발한 것이다.[60] 1080P Premium 옵션에 한해 사용[61] 2025년 6월부터 1080p Premium 화질도 VP9와 동시에 AV1으로도 인코딩되어 제공된다. 태그 번호는 721번. 20년 9월초쯤부터 일부 8K 영상을 시작으로 기본값 도입을 하고 있다. 이와 맞물려서 나온 이슈가 아이유 8K 챌린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해 각종 공연이 취소되고 언택트 콘서트(비대면 스트리밍 콘서트) 트렌드가 이어지는 와중에 국민가수, 삼촌팬 특히 젊은 기덕들에게 인기가 많은 아이유의 데뷔 12주년을 기념하여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대국민 콘서트가 열렸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는데, 무려 8K 화질로 제공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이들이 8K 화질 영상재생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게 된다. 마침 구글이 고화질 고해상도 영상에 AV1을 기본값으로 AV1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시점이어서 일부 영상들은 8K 재생 시 별도의 설정 없이도 무조건 AV1으로만 나오게 된 것이다. 참고로 퀘이사존 링크글 기준으로 처음 2개는 VP9으로만 나오지만, 나머지 AV1으로만 8K를 제공한다. 아직 하드웨어 디코딩이 되는 재생기기들이 보급되지 않은 이 시점에서는 다수의 시청자들에게 CPU가 버벅이는 경험을 안겨주게 되었다. GeForce 30이나 인텔 타이거 레이크 계열 CPU로나 가능하다. 라이젠 시리즈는 GPU가 없고, RX 6000 시리즈는 좀 더 이후인 11월 출시인 데다가 AV1 지원이 8K 30p 한계라 8K 60p인 해당 영상들에는 쓸모가 없다[62] 144p[63] 240p 이상. 다만 2022년 2월 말부터 4월까지 KBS Kpop 채널에 올라온 영상 1000개를 분석한 글에 따르면 평균 0.12Mbps, 최대 0.14Mbps에 불과하다.[64] 프리미엄 유저 전용, 싸이 - 강남스타일 등 일부 뮤직비디오에서만 존재[65] 명령어로 배속 설정을 변경하면 YouTube에서 인식되지 않는다.[66] 예를 들어, 영상 설정에서 2배속으로 설정하고 명령어로 5배속으로 설정하면 영상 설정에는 2배속으로 나온다.[67] 1080p 이상의 해상도와 60fps의 프레임[68] 예시)인터넷 익스플로러 11[69] Steam 게임인 게리 모드에서 미디어플레이어 모드가 있으며 공식 버전으론 재생이 안된다. html 버전 관련 문제로 추정. 이건 크로미늄 베타로 실행하면 해결된다.[70] 안드로이드 앱 중 오픈소스인 것만 취급하는 앱스토어. 등재된 앱은 전부 운영진이 직접 검수, 빌드, 서명한 것들이다.[71] NewPipe 자체에도 업데이트 기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