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06:06:05

인터넷 방송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TV 셋톱박스 기반의 VOD 서비스에 대한 내용은 IPTV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셋톱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VOD 플랫폼에 대한 내용은 OTT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역사
2.1. 관련 기술 및 서비스2.2. 대한민국2.3. 미국2.4. 일본
3. 종류
3.1. 방송국의 규모
4. 한계5. 유용한 도구6. 인터넷 방송인7. 통계8. 플랫폼
8.1. 개인 방송
8.1.1. 대한민국8.1.2. 해외
8.1.2.1. 일본8.1.2.2. 중화권
8.2. 기업 방송
8.2.1. 한국8.2.2. 일본8.2.3. 중국
9.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10. 관련 문서/사이트11. 여담12. 둘러보기

1. 개요

Live streaming, Internet broadcasting

말 그대로 지상파케이블이 아닌 인터넷으로 송출하는 방송. '1인 방송', '개인 방송'이라고도 하고, 줄여서 '인방', '갠방'이라고도 한다.

2. 역사

2.1. 관련 기술 및 서비스

1990년대 후반 초창기엔 ADSL같은 네트워크 환경이나 컴퓨터 환경이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

Windows 98 시절, 리얼 플레이어를 통한 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했었다. Windows Me 시절, Microsoft Media Player 7.0 버전(기능강화)을 통해 영상 스트리밍을 할 수 있었다. Windows XP 시절, WMV8이 보급되며 화질 좋은 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해졌다.

2002년, 한국에 보다 빠른 인터넷 VDSL(10Mbps)이 보급되었지만 버퍼링의 시대였기에 스트리밍보다는 웹하드, P2P가 선호되었다.

2003년, 웹2.0이 유행했고, 몇년 뒤 AJAX가 구현되면서 "문서로서의 웹"에서 더 나아가 "무언가를 조작할 수 있는 웹"으로 변화한다.[1][2]

2005년, 한국에 FTTH가 상용화되어 100Mbps 광케이블이 보급되었다. UCC 열풍의 시작이었던 아프리카TV의 전신인 W플레이어를 시작으로, 다음 tv팟(현 카카오TV), ustream 등 부담 없이 비디오와 오디오를 스트리밍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들이 생겨났다. 또 캠코더를 이용한 현장 중계 등 인터넷 방송을 위한 다양한 장비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DivX-Xvid 코덱이 보급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다만, 국내업체들은 망 사용료 부담에 그리드 컴퓨팅을 도입했다. #

2006년, 유튜브가 구글에 인수되어 화제가 된다. 이 시기 국내 UCC 사이트들도 우후죽순으로 생겨났고,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가 널리 확산되었다.[3]

2007년, H.264 코덱이 슬슬 보급되기 시작하고[4] Microsoft Silverlight가 플래시와 경쟁하기 위해 출시되었다.

2009년, 인터넷 실명제/저작권법 삼진아웃제 등이 국내업체만 적용받았다. 이때부터 한국업체들의 급속한 몰락이 시작되었다. 기사1 기사2 기사3

2012년 5월, 구글 ChromeInternet Explorer의 점유율을 제쳤다.(전세계 기준) 이는 ActiveX를 통한 그리드 컴퓨팅의 쇠퇴를 의미하고, 영상재생에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Microsoft Silverlight) 설치 등의 진입장벽이 완화됨을 의미한다.

2014년, HTML5가 표준화되며 브라우저만으로 영상을 보기 적합한 환경이 구축/개선되었다.

2015년, Windows 10이 출시되고, 우리나라도 Internet ExplorerActiveX에 치우쳐져 있었던 인터넷 환경이 조금씩 변해가기 시작했다.

2.2. 대한민국

1990년대 후반 초창기엔 Winamp 등을 이용한 인터넷 라디오 방송이 유행했다.[5] 이 중 현재의 인터넷 방송과 가장 비슷한 진행 방식[6]의 라디오 방송은 신해철고스트스테이션[7]이 있었다.

해외에 알려진 최초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은 2007년에 출시된 라이브스트림(Livestream)이다. # 그러나 아프리카TV가 2005년이라는 그보다 더 앞선 때에 출시되었다.

2000년경, 인터넷 방송국들이 개국했지만 문제는 이 방송국들은 BJ가 성적인 행위를 하는 '성인 방송'들이었다. 그래서 당시에는 BJ라고 안 하고 PJ(포르노자키)라고 불렸다. 처음에는 '바나나TV' 등의 방송국에서 에로 배우나 무명 모델을 기용하여 유방 노출, 섹시 댄스, 자위행위 흉내 등의 방송을 했으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결국 포르노 수준의 방송으로 진화하고 말았다. 'live 10 TV', 'live 69 TV', '조또TV' 등의 방송국들은 한국 법을 피하기 위해 캐나다 등 해외로 한국 에로 배우나 업계 여성들을 데리고 가서[8] 방송을 제작해 송출하고 있었으나 결국 속인주의인 한국 법에 걸려 PJ들이 강제 송환, 구속되며 성인 방송국들도 문을 닫고, 한동안 인터넷 방송은 성인물이라는 나쁜 이미지를 뒤집어쓰고 잠잠해졌었다. 이 시기 방송한 유명 인물 중에서 앞서 언급한 성인 방송과 관계없는 사람이라면 김구라를 꼽을 수 있겠다. 정확히는 김구라 혼자 활동한 게 아니라 구봉숙 트리오의 멤버로서 다른 멤버들과 함께 유명했던 것이지만, 결과적으로는 김구라만 지상파에 나올 정도가 되었다.

인터넷 등지에서는 대체로 200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를 인방 1세대~1.5세대로 보는 듯하다. 당시는 아프리카TV에서 우왁굳TV, 놀이터 클럽 등의 크루 방송이 흥하기 시작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2010년 이후에는 성인 방송이 몰락하고 아프리카TV를 필두로 게임 방송이 유행하면서 인터넷 방송 시장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2012~2013년에 강남스타일을 기점으로 유튜브 열풍이 불기 시작하였고, 2014년 이후 본격적으로 저연령층 및 젊은 세대에서 선풍적인 유튜버, 셀카봉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9] 또한 2015년에 마이 리틀 텔레비전 열풍을 거쳐가면서 개인 인터넷 방송의 영향력이 증명되게 되었다. 관련 기사 #2 #3 #4

2.3. 미국

미국 쪽에서 1998년에 시작된 shoutcast! 기반의 윈앰프 인터넷 방송이 시기상으로는 최초.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개 생방송보다는 녹화 방송 파일을 배포하는 쪽을 주력으로 하는 느낌이 더 강했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생방송 주력에 녹화 파일 배포가 덤인 개인 인터넷 방송들을 시초로 보는 견해도 있다.

2.4. 일본

일본에서는 2007년 12월에 니코니코 동화가 일본 최초의 인터넷 라이브 방송 플랫폼으로 등장했다. 아프리카TV별풍선 시스템의 발명으로 시청자들의 후원을 목표로 전문적으로 방송을 하며 돈을 버는 1인 인터넷 방송인이라는 개념이 자리잡힌 한국과 달리, 일본에서의 인터넷 방송은 개인의 취미를 공유하거나 시청자들과 얼굴을 까고 잡담을 하는 수준 정도로 머물렀다. 이후 후원 시스템과 인터넷 방송 생태계의 발전으로 전문적인 인터넷 방송인들과 관련 콘텐츠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특히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홍보를 위해 필수적인 도구로 쓰인다.[10]

이외에 상업적인 목적의 홍보와는 상관없이 특정 콘셉트를 잡고 일반 라디오 방송처럼 청취자의 사연을 받아서 진행하는 유명인(성우, 가수, 게이머 등)들의 라디오 방송도 많은데, 그들의 사생활이나 여러가지 뒷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고정 팬층이 두텁다.[11] 특히 애니나 게임의 홍보를 위한 방송은 단기로 끝나지만, 이런 유명인 방송은 방송 횟수가 몇백회를 넘어가도록 장수하는데, 예를 들어 타카하시 미카코가 진행하는 미카코 파요파요(美佳子@ぱよぱよ)라는 방송은 2001년부터 시작하여 2015년 2월 12일 기준으로 700회를 맞이했다. 참고로 데뷔 후 변변한 레귤러급 배역을 못 맡고 고생하는 성우들 중 몇몇은 웹 라디오에서 괜찮은 입담이나 콘셉트으로 인기몰이를 하는 경우가 있다. 여하튼 이쪽 시장이 제법 큰 관계로 일본에선 아예 이러한 홍보용 인터넷 방송을 전문적으로 스트리밍하는 회사들만 대략 십여 군데 정도가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3. 종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방송/종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방송국의 규모

4. 한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방송/한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유용한 도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방송/유용한 도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인터넷 방송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방송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통계

현재 개인 인터넷 방송[12]의 절반 가량은 게임 방송이고 나머지는 잡담 방송이나 음악 방송, 먹방 등이다.

아프리카TV BJ 교육자료에 따르면 현재 활동 중인 인터넷 방송인은 약 40,000명 가량 된다고 한다.

2016년 4월 PD수첩에서 전국 중고등학생 316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92.3%가 인터넷 방송을 알고 있다고 답변했을 정도로 청소년층에게 영향력이 큰 걸 알 수 있다. 이들은 주로 게임 방송과 먹방을 본다고 답했다.(각각 64.7%와 60%. 복수 응답) 또한 같은 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발표된 2016 미디어 사용조사에 따르면 10~20대 4명중 1명은 인터넷 방송 주요 시청자라고 한다. 2018년 교복사 엘리트의 조사에서 10대들의 92.1%가 인터넷 개인 방송을 안다고 밝혔다. #

엘리트의 조사에 따르면 10대가 선호하는 1인 방송 콘텐츠로는 '뷰티(31.6%)', '먹방/쿡방(22.6%)', '게임(17.4%)', '토크/캠방(9.9%)', '기타(7.5%)'순이었다. 남학생은 '게임(65.7%)' 방송 시청이 1위였으며, '먹방(15.3%)', '토크/캠방(8.9%)'이 뒤를 이었다. 여학생은 '뷰티(31.8%)', '먹방(22.1%)', '게임(15.3%)' 순으로 응답했다. #

8. 플랫폼

아프리카TV는 대한민국의 시초격 인터넷 방송 플랫폼으로, 전신인 W플레이어 시절까지 계산한다면 2005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유서 깊은 국내산 플랫폼이다. 아프리카TV는 온라인 방송 외에도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곧 이용자 수 1위 플랫폼이 되었고, 그 외 다음 tv팟, 카카오TV 등 여러 다른 플랫폼이 후발주자로 나섰으나 아프리카TV와의 경쟁에서 밀려 곧 사라졌다.

트위치는 2011년에 설립된 인터넷 방송 플랫폼으로, 본사는 미국 샌프란스시코에 있다. 글로벌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넓히던 트위치는 2015년에 한국 서비스를 처음 시작했다.

2016년, 아프리카TV 운영자와의 마찰로 여러 스트리머들이 대거 트위치로 이적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한국 트위치는 이용자 수가 급격히 늘어났다.

2019년 기준, 한국에서는 여전히 아프리카TV가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트위치[13]가 이용자 수 2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코로나 특수를 등에 업고 폭발적인 성장을 하던 트위치와 아프리카TV는 2021년 경 이용자 수가 비슷해졌고, 곧 트위치가 앞지르게 되었다. 이후 아프리카TV는 E스포츠와 스포츠 경기에 계속된 투자를 하면서 2022 카타르 월드컵 중계권도 따냈고, 초대형 프로게임단 T1과 방송 계약을 맺으면서 시청자를 끌어오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2022년 말 경, 트위치 본사가 한국에서의 사업이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기존에 제공하던 1080p 화질을 720p으로 낮추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고화질 송출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트위치의 여러 게임 스트리머가 아프리카TV로 이적하는 일이 벌어졌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여전히 트위치가 이용자 수 1위 플랫폼이었고, 아프리카TV가 그 뒤를 쫓고 있었다.

그리고 2023년 12월, 트위치 본사로부터 한국 사업 철수 통보가 날아와 한국 스트리머는 트위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없게 되었다. 이후 네이버에서 신규 스트리밍 플랫폼인 치지직을 출시했고, 플랫폼을 잃은 기존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아프리카TV와 치지직으로 본인의 기호에 맞는 플랫폼을 선택해 나뉘어지게 되었다.

이후 트위치로부터 신규 스트리머를 많이 보충한 아프리카TV는 다시금 이용자 수 1위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2등인 치지직과도 큰 격차를 벌렸다. 2024년 아프리카TV는 글로벌 서비스를 출시하고 대대적으로 리브랜딩하면서 사명을 SOOP으로 변경하였다.

2024년 말, 이용자 수 집계 방식을 새롭게 바꾼 치지직이 다시 SOOP과의 격차를 많이 좁혔다. 그리고 2025년, 여전히 SOOP이 이용자 수 1위 플랫폼이지만 2위인 치지직과 그다지 큰 격차가 나지 않는 균형적인 상황이 되었다.

대부분의 인터넷 방송인은 유튜버를 병행하고 있으며, 유튜브 내에서 라이브를 진행하는 방송인도 소수 존재한다.

한편 개인이 방송할 수 없는 인터넷 방송 플랫폼도 있는데, 곰TV 라이브와 네이버 V앱이 대표적이다. 곰TV는 이미 2006년 4월부터 인터넷 TV 서비스를 시작해 각종 E스포츠 대회, 실시간 TV 서비스를 중계해왔다. 네이버 V앱은 2015년 8월에 생긴 스타들 전문 방송 플랫폼으로써, 젊은 배우들부터 유명 아이돌 그룹까지 많은 연예인들이 주로 이 플랫폼을 사용하게 되었다. 실제로 V앱의 탄생을 기점으로 이전에는 보기 드물었던 스타들과 팬들의 실시간 소통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8.1. 개인 방송

8.1.1. 대한민국

8.1.2. 해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성인 인터넷 방송국에 대한 내용은 틀:성인 사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1.2.1. 일본
8.1.2.2. 중화권

8.2. 기업 방송

8.2.1. 한국

8.2.2. 일본

8.2.3. 중국

9.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각종 애니메이션/게임 홍보용 인터넷 라디오 방송에 대한 내용은 WEB 라디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관련 문서/사이트

10.1. 커뮤니티

10.2. 동영상 사이트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운영 중
[[유튜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Vimeo|
파일:Vimeo 아이콘.svg

비미오]]
[[니코니코 동화|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니코니코 동화]]
[[dailymotion|
파일:데일리모션 아이콘.svg

데일리모션]]
[[빌리빌리|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빌리빌리]]
[[네이버TV|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네이버TV]]
서비스 종료
[[tv팟|
다음 tv팟]]
[[판도라TV|
파일:판도라TV 아이콘.svg

판도라TV]]
[[NOW.|
파일:네이버 나우 아이콘.svg

네이버 Now]]
}}}}}}}}}

생방송은 아니라 해도 UCC 등 영상을 올리고 댓글 등으로 소통하는 것도 넓게 보면 비슷하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 사이트 참조.

11. 여담

12.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 고유종
과학기지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헌법 · 10차 개헌(내각제 담론)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무역
지표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중진국 함정 · 선진국 담론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한국인 · 외국계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JUSCANZ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장르문학 (장르 판타지 ·웹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지상파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파일:MBC 로고.svg | 파일:EBS 로고.svg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KNN 로고.sv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CJB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JIBS 로고.sv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경인TV 로고.png (독립)
종합편성채널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파일:MBN 로고.svg | 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보도전문채널
파일:YTN 로고.svg파일:YTN 로고.svg
|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복수채널사업자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일반채널사업자
<colbgcolor=#fff,#1c1d1f>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플랫폼
IPTV
파일:KT GENIE TV.png | 파일:U+tv 로고.svg | 파일:B tv 로고.svg
위성방송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케이블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헬로tv) |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 파일:HCN 로고.svg |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 파일:CMB 로고.svg
케이블 개별 SO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경기) |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 (인천) |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대구) |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울산) |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경남) |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충북) |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전북) |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광주) |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제주)
제도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 직접사용채널(케이블 지역방송)
기관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분류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주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동양)
파일:BIGO LIVE 심볼.svg
BIGO LIVE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양)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성인)
파일:플렉스티비 아이콘.svg
플렉스​티비
파일:19금 아이콘.svg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파일:인라이브 로고.svg
인​라이브
서비스 중이거나 예정인 플랫폼을 표기
성인용 플랫폼이거나 성인 방송의 비중이 높은 경우 파일:19금 아이콘.svg 표기
}}}}}}}}}


[1] 일례로 페이스북 웹 메신저 같은 기능이 가능해졌다. 이 말인 즉슨 기술공개와 상용화까진 시간차가 꽤 존재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기술이 좀 더 다듬어질 시간도 필요했고(...) 일단, 영상 관련해서는 순수 브라우저로 영상을 보려면 재생 전에 영상을 모두 다운로드 해야 했던 상황에서, HLS 프로토콜처럼 영상 조각조각 일부만 다운로드한 뒤 짜깁기해서 볼 수 있게 되어 영상 건너뛰기 등에서 효율성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짚어볼 수 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도움을 받는데, 이는 후술.[2] 이 시기에 '블로그RSS팟캐스트'의 진화도 일어났다. 소위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알림설정"의 뼈대가 잡히던 시기였다. 인터넷 방송 자체보다는 VOD와 관계가 깊은 기술이지만, 인터넷 방송인들에게는 돈줄 중요한 기술이기도 하다.[3] 2003년 플레이어 개선, 2005년 신 코덱 도입, 2007년 H.264 도입 등 발빠르게 움직였다.[4] 본격적인 보급은 Windows 7, iPhone 4와 함께 이루어진다.[5] 주요 콘텐츠는 음악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은 연구소가 아니면 사실상 불가능한 시절이다.[6] 정해진 틀 없이 방송인이 하고 싶은대로 콘텐츠를 제작하여 방송하는 방식[7] 주로 SBSMBC에서 진행한 라디오 프로그램이긴 했지만 시작은 1999년에 튜브 뮤직이라는 사이트(유튜브 뮤직과는 다른 사이트이다.)에서 시작한 인터넷 방송이었고, 그 후로도 2003년, 2007~08년에는 인터넷에서 방송하였다.[8] 당시 유명한 PJ로 딸기, 홍수빈 등이 있었다.[9] 구글의 에릭 슈밋 회장이 컨퍼런스에서 직접 언급하였다. 참고로 그 직전인 2013년엔 '올해의 단어'가 셀카였고, iPhone 5s·LG G2 등은 카메라의 성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디카 판매량이 반토막나기 시작한 시점이기도 하다. 또한 2014~2015년에는 중국(DJI 등)에서 (싼) 멀티콥터 산업이 성장하였고, 관련 기술로 (싼) 짐벌이 파생되어, 개인용 영상을 촬영하는데 좋은 악세서리로 보급되게 되었다.[10] 대부분은 해당 작품에 출연한 성우들이 진행을 맡는 편. 출연은 안했더라도 평소에 그 작품의 팬으로 유명하거나, 진행을 잘하는 성우를 섭외하기도 한다.[11] 일본 성우들의 각종 사생활 이야기의 출처 대부분이 이쪽.[12] 기존 지상파/케이블TV 제휴 방송은 제외. 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나 예능 중계, 뉴스 중계 등은 개인 방송이 아니므로 제외.[13] 국내 한정. 글로벌에서는 이용자 수 1위의 방송 플랫폼으로, 아마존닷컴 산하에 있다.[14] 그림 작업 과정에서 음부나 생식기를 묘사하면 제재가 들어온다.[15] Douyu에서 활동하다가 2019년에 이적했다.[16] 가령, 해당 방송인이 주장하는 터무니없는 경력이나 학력, 이력을 곧이곧대로 믿고 아무런 비판적 검증없이 위키에 기재하거나 구독자 수가 턱없이 적어 등재 기준만 간신히 턱걸이하는 수준의 일명 하꼬방 방송인을 해당 분야에서 영향력이 자자하여 공적인 화제를 일으키는 큰 손이라도 되는 양 왜곡하여 서술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개중에서도 유독 팔로워 1만명 이상 / 누적 조회수 100만회 이상인 방송인만 등재 가능이라는 규정이 생기기 이전에 개설된 문서들이나 그림 유튜버 문서들이 전반적으로 심각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