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6 15:57:20

인방물


한국의 장르 소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10101,#e5e5e5> 연대 남성향 성향 혼재 여성향
1세대
(~90년대)G
판타지 소설 · 어반 판타지 · 무협(구무협 · 신무협) · SF 소설 · 밀리터리물 · 대체역사물
2·3세대
(00년대)
양판소 · 퓨전 판타지 (차원이동물 · 이고깽 · 환생물 · 이군깽) · 판협지 · 정통 무협 · 영지물 · 기갑물 · 드래곤물 / 게임 판타지 · 라이트 노벨 · 현대 갑질물 팬픽(패러디 · 아이돌) 인소 ·
4세대
(10년대
~현재)
판타지
(이세계)
탑등반물 · 차원유랑물
· 게임빙의물 · 스페이스 오페라
한국식 이세계물 · 일본식 이세계물 (던전물 · 던전운영물) · 정통 판타지 · 판타지 웹소설 (명가물) · 미션물 아카데미물 · 책빙의물(/) 로맨스 판타지 · 여주판 ·
악녀물 ·
판타지
(지구/현대)
무협 웹소설 (퓨전 무협) · 아포칼립스물 · 좀비물 ·
현대 퓨전 판타지 (헌터물 · 히어로물 · 현대 이능력물)
오메가버스 · 사극 로맨스
· 판타지 사극 로맨스
· 무협 로맨스 · 여주 현판
현대물 직업물(전문가물 · 스포츠물 · 인방물 · 연예계물) · 기업물 현대 로맨스
· 여성향 연예계물(남돌물)
소재적
장르
·태그 C
BL · 남주 ·
G : 남, 여성향 기조가 어느정도 존재했으나, 대부분 이후의 젠더 장르처럼 정형화된 모습은 아니었다.
한편 1세대는 PC 통신 판타지를 기준으로 명명된 점 유의. 무협, SF 등 장르문학 자체는 이전부터 꾸준히 생산되고 있었다.
C : 특정한 세계관이나 배경세계를 지니지 않고, 다양한 장르에서 클리셰나 소재로서 기능하는 장르. 일부 장르 태그는 웹소설 용어 참고
고전문학 · 현대문학 · 웹소설 매체 · 웹소설 장르 분류 · 웹소설 관련 용어 }}}}}}}}}

1. 개요2. 특징
2.1. 실제 인터넷 방송, 매체의 반영2.2. 즉각적인 인정욕구2.3. 기타
3. 역사
3.1. 형성3.2. 흥행과 주류 클리셰화
4. 클리셰
4.1. 인방드립
5. 유형
5.1. 직업물과의 결합5.2. 게임 판타지와의 결합5.3. 헌터물과의 결합5.4. TS물과의 결합5.5. 버츄얼 유튜버물과의 결합
6. 비판과 한계7. 해외의 유사 장르
7.1. 일본의 버튜버물7.2. 영미권
8. 작품 목록9. 관련 작품
9.1. 영화9.2. 웹툰9.3. 라이트 노벨9.4. 만화9.5. 게임
10. 관련 문서

1. 개요

Live streaming

인방인터넷 방송 자체를 주제로 삼는 장르.

주인공은 인터넷 방송 스트리머이며, 각종 장르와 결합된 세계관에서 채팅, 트수, 게임 방송과 같은 인터넷 방송 문화 그 자체를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2. 특징

2.1. 실제 인터넷 방송, 매체의 반영

인방물은 인터넷 방송을 소재로 하며, 따라서 현실의 인터넷 방송 그 자체를 반영한다. 여러 인방물들은 인방 포맷을 차용하며, 마찬가지로 채팅과 후원, 트수, 팟수 등 현실의 인방문화 그 자체를 반영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인터넷 방송에 자주 쓰이는 현실 매체를 강하게 반영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 리그 오브 레전드 등 실제하는 게임을 변형하거나, 실존재하는 장소들을 이름만 바꿔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인터넷 방송, 매체의 반영은 인방물을 보는 독자에게 몰입감을 강하게 선사할 수 있다.

2.2. 즉각적인 인정욕구

인방물은 대리만족인정욕구에 특화된 장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인공의 행동에 시청자가 별다른 맥락없이 즉각적으로 응답, 반응, 호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방물은 시청자를 통해 주인공의 행동에 대해 평가, 찬사, 후원등을 즉각 즉각 가할 수 있어 메타적인 대리만족, 인정욕구를 여타의 장르보다 빠르고 강하게 줄 수 있다. 인방물의 유행에 영향을 준 성좌물과도 비슷하지만, 보다 원형적이고 직접적인 형태인 셈이다.

2.3. 기타

3. 역사

3.1. 형성

인방물의 형성은 직접 인터넷 방송을 소재로 도입하거나, 타 장르에 인터넷 방송 요소를 결합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웹소설 최초의 인방물은 2014년 조아라 노블레스에 연재된 현대왕의 표본이다. 현대왕의 표본은 실제 인터넷 방송과 유명 BJ를 모티브로 한 주인공[1]을 작품의 메인소재로 전개함으로써, 인방 그 자체를 사용하는 인방물의 기본적인 포맷을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현대왕의 표본 이후 유튜브 크리에이터, 먹방, 게임 스트리밍인터넷 방송 그 자체를 도입하는 소설이 계속해서 대두되어진다.

한편 타 장르에 인방을 도입하는 사례도 빈번이 이루어져왔다.[2] 예를들면 싱글플레이 게임 판타지인터넷 방송과 결합한 납골당의 어린 왕자나는 아이템이다 등이 있으며, 게임 판타지에서 주로 쓰이던 다크 게이머 클리셰의 대체제로 스트리머 클리셰를 도입한 강화학개론과 같은 사례도 있다. 특히 강화학 개론이 흥행하며 인방 소재의 도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전독시처럼 적극적으로 인터넷 방송을 장르소설과 결합한 사례도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판타지, 헌터물과 결합되어 나온 사례도 나타나곤 하였다.

이처럼 직간접적으로 시도된 인터넷 방송과의 꾸준한 결합은 인방물이라고 불리우며 웹소설에 서서히 안착하게 되었다.

3.2. 흥행과 주류 클리셰화

이러한 상황속에서 18년 4월부터 연재된 <(TS)그래도 살아간다.>, 18년 10월부터 연재된 <BJ대마도사>, 19년 4월부터 연재된 <천재의 게임방송>이 흥행하며 인방물의 본격적인 확장이 이뤄진다.

특히 <천재의 게임방송>문피아 공모전 당시 연재를 시작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이러한 천재의 게임방송이 대상을 수상하고 성공적인 장르사례로 안착함에 따라[3], 다양한 웹소설이 인터넷 방송 그 자체를 사용하는 인방물의 도입에 적극적으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인방물 클리셰도 여러 장르에서 활성화되면서, 인방물은 성좌물 혹은 겜판의 변용에서 나아가 현재 주류 장르와 클리셰로 올라선 상태이다.

4. 클리셰

4.1. 인방드립

인방물의 핵심 설정으로, 스트리머인 주인공이 행동을 하면 즉각적으로 시청자들이 채팅을 통해 반응한다. 이때 채팅엔 일상적인 반응보다는 농담성이 짙은 드립이 자주 사용된다. 다만 아무거나 무분별하게 사용되기 보단, 인터넷 방송에서 주로 사용되는 드립, 밈들이 적용된다.

이러한 인방 드립은 적절하게 사용하면 상당한 몰입감과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혼자 소설을 읽으면서도 여럿이서 즐겁게 보는 느낌이 들기 때문. 또한 현재 사용되는 인터넷 방송을 그대로 도입하면서 강한 실제감과 몰입감을 느끼게 된다.

5. 유형

인방물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지며, 자세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

5.1. 직업물과의 결합

다양한 직업에서의 성공기를 그리는 현대 판타지의 하위 장르인 직업물과 인터넷 방송이 결합된 분류로, 조아라 노블레스 등지에서 나타난 인방물의 초기 형태이다.

보통 게임 방송보다는 인터넷 방송 그 자체를 다루는 경우가 많으며, 게임 방송을 다루더라도 가상현실은 나오지 않고 현실과 마찬가지로 PC나 콘솔 게임 등이 주를 이루는 경우가 많고, 먹방. 혹은 호러 전문 BJ등 보다 다양한 인방 컨텐츠들과 실제로 있을 법한 스트리머나 BJ들의 모습 등을 작품 내에서 묘사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주인공이 음식을 숨김, 현대왕의 표본 등이 있다.

5.2. 게임 판타지와의 결합

2000년대 유행했던 게임 판타지 소설과 게임 방송을 결합한 분류이다.

과거 2000년대 달빛 조각사를 필두로 한때 리즈 시절을 맞았던 게임 판타지는 대여점이 몰락하고 웹소설이 부상한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현실성의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그 인기가 하락세에 접어들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게임 판타지 소설이 찾아낸 돌파구 중 하나가 바로 2010년대에 접어들어서 트위치 등지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게임 방송 요소의 도입이었다.

이러한 인터넷 방송 요소의 도입은 성공적이어서, 그전까지 비현실적이고 지겹다며 비판받던 다크 게이머[4] 클리셰를 스트리머 클리셰가 대체하게 된다. 주인공이 슈퍼 플레이, 막장 플레이, 타임어택 등을 인터넷 방송으로 송출하는 것을 통해 유명세와 부를 동시에 얻는다는 서사는 다크게이머 서사보다 현실적으로 독자들의 공감, 대리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인방 요소를 도입한 게임 판타지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강화학개론, 솔플의 제왕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런 인방 요소를 도입한 게임 판타지들에서 어디까지나 인방은 다크 게이머, 현거래를 대체하는 부가 요소였지 메인 요소는 아니었다.

그러나 위의 인방 요소를 삽입한 게임 판타지들이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자, 이제는 그러한 게임 판타지을 바탕으로 게임이 아닌 게임 방송이 주가 되는 인방물들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품들 중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2019년 문피아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천재의 게임방송이다.

천재의 게임방송은 인방을 부가 요소로 사용했던 이전의 다른 게임 판타지들과는 다르게 인방을 메인으로 내세우면서 한 가지 게임만 하는 보통의 게임 방송과는 다르게 여러 가지 가상현실 게임을 섭렵하면서 게임이 아닌 게임 방송이 주체가 된 인방물을 선보였고, 이러한 천재의 게임방송의 성공적인 성과로 인해 그전까지의 게임 판타지와는 다른 게임 방송이 메인이 되는 인방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가상현실 게임을 기반으로 하는 인방물은 크게 2000년대의 게임 판타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한 가지 게임만 하는 경우와 여러가지 가상현실 게임을 섭렵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의 대표작으로는 BJ대마도사, 후자의 대표작으로는 천재의 게임방송을 들 수 있다.

5.3. 헌터물과의 결합

헌터물과 결합한 케이스로, 주로 던전 공략을 인터넷 방송을 통해 방송한다던가, 몬스터 사냥을 방송하는 부류의 작품군이다.

이러한 헌터물과 결합한 인방물을 최초로 도입한 작품은 2017년 7월부터 연재된 던전 공략 LIVE라는 작품이었지만, 최근 들어 이런 작품군을 본격적으로 유행시킨 건 회귀자의 소소한 꿀팁방송이라는 작품이며, 이 작품 이후 헌터물과 인방을 결합한 작품의 숫자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헌터물은 2010년대 이후 남성향 웹소설의 주류 인기 장르이며, 이러한 주류 장르인 헌터물과 결합한 인방물 역시 그 인기가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5.4. TS물과의 결합

주로 노벨피아에서 보이는 유형으로 TS물과 인방물이 결합된 사례. 2020년 이후 문피아, 카카오페이지, 네이버 시리즈 등 편당결제 플랫폼에서 인방물이 쇠퇴한 이후 인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유형이다. 주로 TS 인방이라는 이름으로 자주 불리며, 노벨피아의 인기 장르 중 하나이다.

TS물의 특성상, 여성으로 변하면서 편하게 이득을 보게 되는 내용들이 전개된다. 앞서 말한 인정 욕구와도 긴밀하게 관련지어지는 셈.

5.5. 버츄얼 유튜버물과의 결합

우사히메 카린, 버튜버가 됩니다!를 기점으로 2022년부터는 일본의 버튜버물이 수입되기도 하였다. 주인공이 버튜버가 되어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는 클리셰.

6. 비판과 한계

7. 해외의 유사 장르

7.1. 일본의 버튜버물

일본에서는 버츄얼 유튜버의 인기가 서브컬쳐에서 높아지면서 버츄얼 유튜버를 주인공으로 삼은 인방물의 일종인 버튜버물소설가가 되자, 카쿠요무, 하멜른 등의 인터넷 소설 투고 사이트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실연해서 Vtuber를 시작했더니 연상의 누나에게 인기 만점이 되었습니다가 있다.

한국의 TS인방처럼 TS물과 결합돼서 미소녀가 된 후 마구 떠받들려서 인생 이지모드로 살고 싶어! 등의 TS버튜버물도 존재한다.

개중에는 VTuber인데 방송 끄는걸 깜빡했더니 전설이 되었다처럼 한국에 정발된 작품도 있다.

7.2. 영미권

헝거 게임 시리즈가 인방물과 유사하기는 하지만,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현대적인 인터넷 방송의 형태는 아니다. 헝거 게임 시리즈는 오히려 미디어를 통한 정치물, 디스토피아물에 가까우며 헝거 게임 시리즈가 유행시킨 장르 역시 디스토피아물이지 인방물이 아니다. 영미권에서는 아직 한국이나 일본처럼 하나의 장르로서 성립되지 않았다.

8. 작품 목록

TS물은 ☆ / 헌터물은 ★ / 게임 방송물은 ◎로 표시

9. 관련 작품

인터넷 방송을 활용한 관련 창작 사례들.

9.1. 영화

9.2. 웹툰

9.3. 라이트 노벨

9.4. 만화

9.5. 게임

10. 관련 문서


[1] PD 대정령을 모티브로 삼았다.[2] 기존 게임판타지에서도 인터넷 방송 자체는 모습을 드러내곤 하였다. 다만 현대적인 인터넷 방송문화가 아닌 말그대로 생중계, 인터넷 영상 업로드, 인터넷 방송 정도로 표현되었다. 00년대~10년대 사이에 유행하였던 장르인만큼, 현대 인방물이 모티브로 하는 인터넷 방송 문화 자체가 없거나 비주류였던 시절인 탓.[3] 일전 BJ대마도사의 흥행도 있긴 했지만, 천재의 게임방송은 인방 채팅, 여러 싱글 게임, 합방, 온라인 게임을 오가는 인방 형식을 강하게 적용시켰다는 차이가 있다. BJ대마도사가 겜판의 변용에 가까웠는데에 반해, 천재의 게임방송은 인방 그 자체를 장르로 사용한 것.[4] 겜판소 초기에는 그럴싸한 가정이었지만, 시간이 지나고 현거래가 정착되면서 게임 재화를 팔아 부자가 된단 건 작업장 수준이 아니고서야 현실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게 널리 알려졌기 때문[5] 예를 들어 천재의 게임방송의 경우, 작중 등장하는 게임 '사무라이 하츠'는 세키로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인데, 이것을 오마주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잠시 논란이 있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