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02:02:32

시귀/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시귀
시귀 (2010)
屍鬼
파일:시귀_애니키비주얼.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군상극, 호러
원작 오노 후유미
만화 후지사키 류
감독 아미노 테츠로[1]
음향 감독
시리즈 구성 스기하라 켄지(杉原研二)
캐릭터 디자인 오치 신지
총 작화감독
미술 감독 타츠다 이치로(立田一郎)
색채 설계 시부야 케이코(澁谷圭子)
마니와 유카(馬庭由佳)
촬영 감독 사사키 마사노리(佐々木正典)
편집 마츠무라 마사히로(松村正宏)
음악 타카나시 야스하루
치프 프로듀서 카츠마타 히데오(勝股英夫)
야마모토 코지(山本幸治)후지 테레비
프로듀서 아베 아이(阿部 愛)
이노우에 타카미츠(井上貴允)
오자키 노리코(尾崎紀子)후지 테레비
이소노 히데오(磯野英夫)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안자이 타케시(安西 武)
니시오카 다이스케(西岡大輔)
애니메이션 제작 도우무
제작 시귀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10. 07. 09. ~ 2010. 12. 3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노이타미나)
(금) 01:15
편당 러닝타임 22분
화수 전22화 + 번외편 2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3. 설정4. 주제가
4.1. OP14.2. ED14.3. OP24.4. ED2
5. 회차 목록6. 해외 공개
6.1. 기타 국가
7. 평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소설 시귀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오노 후유미의 소설을 뼈대로 후지사키 류가 그린 만화를 기반으로 하여 2010년 7월 8일부터 후지 테레비노이타미나 편성으로 총 22화 분량으로 애니메이션화되어 방영되었다. 감독은 아미노 테츠로, 캐릭터 디자인은 오치 신지가 담당했으며, 애니메이션 제작사 도우무의 마지막 원청작이다.[2]

2.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시귀/前 등장인물, 시귀/後 등장인물 문서 참고.
<rowcolor=#373a3c,#dddddd> 등장인물 성우
유우키 나츠노 우치야마 코우키
오자키 토시오 오오카와 토오루
시미즈 메구미 토마츠 하루카
키리시키 스나코 유우키 아오이
타츠미 타카기 와타루
키리시키 세이시로 GACKT

3.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귀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

4.1. OP1

OP1
くちづけ
입맞춤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BUCK-TICK
편곡
작사 사쿠라이 아츠시(櫻井敦司)
작곡 이마이 히사시(今井 寿)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르쳇 니마(オルツェトニマ)[3]
연출
작화감독 오치 신지
}}}}}}}}} ||

4.2. ED1

ED1
walkの約束
walk의 약속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nangi
작사
작곡 SUEMITSU & THE SUEMITH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누마타 세이야
연출
작화 사카이 큐타
}}}}}}}}} ||

4.3. OP2

OP2
カレンデュラ レクイエム
카렌듈라 레퀴엠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KanonXkanon
작사 kanon
작곡
편곡 kanon
와쿠이 케이이치(涌井啓一)
치바 나오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르쳇 니마(オルツェトニマ)
연출
작화감독 하세가와 미치오(長谷川亨雄)
총 작화감독 오치 신지
}}}}}}}}} ||

4.4. ED2

ED2
月下麗人
월하여인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BUCK-TICK
편곡
작사 사쿠라이 아츠시(櫻井敦司)
작곡 이마이 히사시(今井 寿)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마키세 C(牧瀬C)
연출
작화 오치 신지
}}}}}}}}} ||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제목(회차)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rowcolor=#373a3c,#dddddd> TVA
遺血話
제1화
스기하라 켄지
(杉原研二)
이데 야스노리 츠치야 야스오
(土屋康郎)
신고 야스시
(しんごーやすし)
2010.07.09.
第腐堕話
제2화
오자와 카즈히로
(おざわかずひろ)
코바야시 타카시
(小林孝志)
야마모토 켄이치로
(山本健一朗)
오오와다 나오유키
(大和田直之)
키노시타 유미코
(木下由美子)
2010.07.16.
第惨話
제3화
이시카와 아사미
(石川あさみ)
야마자키 타카시
(山崎たかし)
후쿠모토 키요시
(福本 潔)
와타나베 나츠키
(渡辺奈月)
2010.07.23.
第死話
제4화
히라바야시 사와코
(平林佐和子)
이데 야스노리 오카무라 마사히로
(岡村正弘)
코시이시 사토루
(輿石 暁)
2010.07.30.
第偽話
제5화
신타쿠 준이치
(新宅純一)
오자와 카즈히로 테라사와 신스케
(寺澤伸介)
이시카와 마리코
테라사와 신스케
2010.08.06.
第髏苦話
제6화
스기하라 켄지 야마자키 타카시 츠치야 야스오 사카이 사토시 2010.08.13.
第弑魑話
제7화
신타쿠 준이치 코바야시 타카시 와타나베 코지
(渡辺浩二)
2010.08.20.
第夜話
제8화
타카기 노보루
(高木 登)
오자와 카즈히로 후쿠모토 키요시 와타나베 나츠키 2010.08.27.
第柩話
제9화
이시카와 아사미 테라사와 신스케 2010.09.03.
第悼話
제10화
히라바야시 사와코 오자와 카즈히로 오카무라 마사히로 코시이시 사토루
토리야마 후유미
(鳥山冬美)
2010.09.10.
第悼と悲屠話
제11화
신타쿠 준이치 야마자키 타카시 후쿠모토 키요시 와타나베 나츠키 2010.09.17.
第悼と腐汰話
제12화
타카기 노보루 이케하타 타카시 츠치야 야스오 사카이 사토시
하세가와 미치오
(長谷川亨雄)
사토 토시아키
(佐藤敏明)
츠즈쿠 류지
(都竹隆治)
쿠보 사토시
(窪 敏)
2010.10.15.
第悼と惨話
제13화
히라바야시 사와코 오자와 카즈히로 하타 요시토
(秦 義人)
오쿠노 히로유키
(奥野浩行)
2010.10.29.
第悼と死話
제14화
이시카와 아사미 누마타 세이야 요네다 카즈히로 에가미 나츠키
(江上夏樹)
시미즈 카츠유키
(清水勝祐)
2010.11.05.
第悼と偽話
제15화
스기하라 켄지 오자와 카즈히로 후쿠모토 키요시 와타나베 나츠키 2010.11.12.
第悼と髏苦話
제16화
마츠오 코우 오카무라 마사히로 코시이시 사토루
토리야마 후유미
미야자키 슈지
(宮崎修治)
2010.11.19.
第悼と弑魑話
제17화
히라바야시 사와코 오자와 카즈히로 하타 요시토 오쿠노 히로유키 2010.11.26.
第悼と夜話
제18화
스기하라 켄지 테라사와 신스케 사와자키 마코토
(澤崎 誠)
하시다테 카나
(橋立佳奈)
야마다 유코
(山田裕子)
2010.12.03.
第悼と柩話
제19화
오자와 카즈히로 후쿠모토 키요시 와타나베 나츠키 2010.12.10.
第腐汰悼話
제20화
이시카와 아사미 누마타 세이야 사가 사토시
(嵯峨 敏)
키미시마 이쿠토모
(きみしま幾智)
코시이시 사토루
노지 키요시
(能地 清)
2010.12.17.
第腐汰悼と悲屠話
제21화
신타쿠 준이치 테라사와 신스케 츠치야 야스오 하세가와 미치오
사카이 사토시
오노 요코
(小野陽子)
타테자키 히로시
(舘崎 大)
노자키 신이치
(野崎真一)
2010.12.24.
蔡蒐話
제22화
스기하라 켄지 아미노 테츠로 요네다 카즈히로 코이즈미 하츠에
(小泉初栄)
토리야마 후유미
요시다 이쿠오
(吉田伊久雄)
후쿠다 노리유키
(ふくだのりゆき)
미야자키 슈지
키쿠치 마사요시
(菊地政芳)
2010.12.31.
<rowcolor=#373a3c,#dddddd> OVA[4]
第腐汰悼と犯話
제20.5화
타카기 노보루 마츠오 코우 테라사와 신스케 야마다 아유미
키미시마 이쿠토모
토리야마 후유미
와타나베 나츠키
테라사와 신스케
2011.05.25.
[5]
第腐汰悼遺血と犯話
제21.5화
스기하라 켄지 아미노 테츠로 츠치야 야스오 하세가와 미치오
야마다 아유미
키미시마 이쿠토모
토리야마 후유미
2011.06.22.
[6]

6. 해외 공개

한국에서는 2010년 애니박스에서 방영 추첨작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나[7] 끝내 0%를 지키면서 방영되지 않았다.

6.1. 기타 국가

미국에서는 영어더빙되어 방영되었다.

7. 평가

작품성과 완성도에 대한 평가는 높다. 아미노 테츠로 감독이 직접 음향 감독을 담당했기 때문에 주연과 조연 모두 성우들의 열연이 가감없이 담겨 있고, 작화와 연출 퀄리티도 상당한 수준이다. 군상극이라는 작품 특성상 군중씬이 많음에도 작화가 붕괴되는 일 없이 빼어나게 유지되고 있으며 채도를 창백하고 어둡게 하거나 영상 필터 효과를 삽입하는 등 작품 본연의 동양 호러 특색을 잘 살렸다. 특히 마을 사람들이 죽은 후 시귀가 되어 살아있는 사람을 덮치는 장면은 무서움을 넘어 섬뜩함마저 느껴지고, 최후반부에 시귀의 정체를 알게 된 마을 사람들의 시귀 사냥 장면의 연출도 광기어린 면모들을 소름끼치게 해냈다.

그러나 흥행에는 참패했는데, 먼저 캐릭터 디자인을 후지사키 류 만화판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인물들 외모가 시골 사람답지 않게 너무 튀어서 배경과 이질감이 넘친다는 거부반응이 많았다. 도시를 선망하는 시미즈 메구미와 아예 도시에서 이사온 카네마사 인물들은 그렇다치더라도 다른 시골 사람들도 모습이 너무 초현실적인 모습이라 되려 현실감이 없었다는 평.[8] 그 외에도 작품의 분위기가 시종일관 어둡고 음울한데다 이를 환기시킬 만한 개그 에피소드도 거의 없다 보니 질리거나 무서워서 못 보겠다는 반응도 있었으며 구성상 내용 절반 가까이 마을 사람들이 속수무책으로 죽어나가는 원패턴이 이어지기 때문에 지루함을 호소하는 반응도 많았다.

이야기는 처음에는 후지사키 류의 만화판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방영 분량이 만화책의 분량을 거의 따라잡은 탓에 후반부는 원작 소설의 전개에 맞춰 진행되었다. 그 탓에 전개 자체는 자연스럽게 이어졌지만, 초반과 후반 전개의 위화감이 상당하다.

애니메이션화 과정을 거치며 원작의 메인 플롯을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소소한 부분들에 가해진 수정을 몇 군데 찾아볼 수 있다. 허나, 주제의식이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은 주목되어야 할 부분이다.

시귀측의 입을 빌어 시귀와 인간이 다를바 없다는 것을 표현하고, 주민들의 침입자(시귀)에 대한 공동체 의식과 자기방어행동이 공포와 분노에 의해 변질돼 마녀사냥과 이분법적인 군중심리에 물들어가고, 그 군중심리의 부정적 표출에 휩쓸리더니 주민들의 행위가 급기야 광기와 가학적 파괴욕구로 화해 가는 과정을 통해서 그들을 비판한 염세주의와 허무주의가 근간을 이루던 원작의 가치관과 정면으로 충돌을 시도한다.[9][10]

대개 이런 주제의식이 간접적, 내재적이 아니라 직접적, 표면적으로 표출되는 부분이 종반부인 것처럼 등장인물들이 결말을 맞이하는 것 또한 종반부이다 보니 그 결말들이 사망한단 사실은 같되 다소 다르다. 나츠노타츠미가 대표적이고 원작에선 비중이 애니메이션보다 다소 낮았던 시미즈 메구미와 오오카와 토미오(거구의 노인인 술집 주인)또한 그렇다.

원작에서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던 허무주의를 대변하는 등장인물이 타츠미인데,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런 역할이 원작 그대로 주어지지 않았다. 관점에 따라서는 전락했다고도 할 수 있다. 대비적으로 나츠노는 타츠미와의 마지막 대결에서 지키던 침묵을 벗어나 인간을 비판한 작가 오노 후유미, 그리고 시귀의 이념과 논리에 그들의 행위적 정당성과 본질적 올바름에 근거한 역비판을 가하는 인물로 격상되었고 이 부분에서 본 애니메이션은 원작과 만화판이 지니던 염세주의와 허무주의적 색채는 퇴색해버리고 만다.[11]

만화와 원작 모두에서 집단의 배타성을 논하는 문제의식과 맞물려 '광기와 가학적 파괴욕구의 화신으로 변질되어버린 인간'을 표면적이고 직접적으로 상징하는 인물로 그려졌던 오오카와 토미오는 애니메이션에서 역시 대대적인 개수를 거쳤다.
스나코와의 마지막 대면에서 예수상 앞에서 신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며 원망하던 스나코를 더러 삶의 기반인 마을을 유지하기 위한 공동체, 그리고 그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조화와 질서를 직접적으로 설교하고 그 '조화와 질서'의 연장선에서 천륜(생명이 나고 죽는 과정, 인륜이 아니다.)을 거스르고 생명을 마음대로 해치는 시귀의 이념과 행동을 나츠노와 마찬가지로 자연원칙과 도덕적 정당성에 근거하여 비판하였다.[12]

시미즈 메구미의 최후 또한 후지사키 류의 만화와 다르게 변했다. 초반부터 직접적으로 집단 내(內) 부적응자를 상징하는 인물로서 작중 위치에 있던 메구미는 보다 더 비참해진 최후로 더더욱 직접적이고 강렬하게 '공동체가 존재하는데 있어 대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부산물인 <배타성>'에 대해 통렬한 문제의식을 제기한다.[13]

결론적으로 원작의 재현과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작품성 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는 작품으로, 섬찟하고 여운 남는 호러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수작이다라는 호평이 많다.

BD 1권 판매량은 1300여장 정도. 그림체는 나름 모에를 노리긴 했으나 내용이 너무 어두워서인지 잘 팔리질 못했다.

8. 둘러보기

노이타미나 방영작 (2010년 3/4분기)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납치사 고요
모야시몬 Drama해파리 공주
시귀
프랙탈
방랑소년


[1] 감독은 アミノテツロ, 음향 감독은 網野哲郎 명의.[2] 이후 도우무는 5년 정도 하청 업체로 활동하다 활동 중단했고 제작 인력은 WIT STUDIO가 흡수했다.[3] 감독 이름의 알파벳 철자를 거꾸로 뒤집은 이름. 정확히는 アミノテツロ→aminotetsuro→orustetonima→オルツェトニマ가 된다.[4] BD 특전 수록[5] BD/DVD 8권 발매일[6] BD/DVD 9권 발매일[7] 애니박스 연의 하늘 사건 참고. 21번이 시귀였다.[8] 후지사키 류도 이를 의식했는지, 타나카 카오리 같은 시골 사람들은 비교적 수수한 톤으로 그리려고 노력 했지만 그조차도 화려함을 억제하지 못해서 내용이 요구하는 질박함하고 거리가 멀었다.[9] 오노 후유미의 원작이 단일한 주제의식을 가지던 것과 차별화되어 주제의식을 이루는 과정에서 대두되는 문제의식들에 대칭되는 문제의식을 임의적으로 내세워 각 의식을 상징하는 인물들을 통한 가치관의 대립이 작중에서 보다 두드러진다.[10] 좋은 방향으로 해석하면 균형잡히게 변했고 좋지 않은 부작용이라면 원작의 명확하던 주제의식이 산란되어 훼손되었다.[11] 원작에서 나츠노는 초반에는 비중 있게 나오다가 결국 사망하면서 급속도로 잊혀졌고, 만화판에선 타츠미가 나츠노와의 최후의 대결 끝에 쓰러뜨리지만 실성한 나츠노의 부친에 의해 샷건을 맞고는 주의가 흐트러지고 이어 나츠노가 그를 붙들고 절벽에서 뛰어내려 동반자살한다.[12] 원작 소설에선 공동체의 군기반장 역할을 하며 시귀화한 아들을 죽이고도 웃는 인물로 그려졌다. 게다가 세이신이 절로 도주하자 전후사정 살피지 않고 주민들을 데리고 절의 인간들도 한패라며 죽인다. 또한 결말에서 스나코에게는 그저 네가 원흉적 가해자이니 우리의 폭력은 정당하다고 합리화하며 즐겁게 한번에 죽이지 않고 괴롭힌다. 세이신에 의해 베여 죽는건 동일하다.[13] 원작상에선 마을에 대해 원망과 분노를 폭발시키며 비판하는 연출이 없고 그저 도망치다 죽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