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22:22:03

호러물

1. 개요2. 장르의 특징
2.1. 서스펜스 중심2.2. 개연성이 중요하지 않다?2.3. 징그럽다?
3. 세부 장르와 연관 장르
3.1. 전개 방식3.2.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소재3.3. 표현법, 분위기
4. 관련 작품5. 관련 문서

1. 개요

Horror

의도적으로 공포심을 건드려[1]심지어 코미디이다) 장르에서는 호러로 분류된다.] 쾌감을 유도하는 장르. 전근대에도 각종 괴담의 형태로 호러 문학의 성격을 띈 이야기가 존재하긴 했으나, 현대의 호러물은 근대 빅토리아 시기 유럽에서 유행하던 고딕 소설을 기반으로 발전한 장르라고 볼 수 있다.

2. 장르의 특징

인간이 느끼는 가장 강력하고 오래된 감정은 공포이다. 또한 인간이 느끼는 가장 강력하고 오래된 공포는, 미지의 것에 대한 공포이다.
H.P. 러브크래프트가 저술한 에세이, 《문학에 나타난 초자연적 공포》에서

2.1. 서스펜스 중심

호러물에선 자신이 살인마의 표적이 된 줄 모르는 인간과 그 사람에게 점차 다가가는 살인마의 구도를 보여주며 서스펜스를 일으킨다. 그 어떤 호러물 창작물이라도 소재만 달라질 뿐 이 서스펜스는 변하지 않는다. 서스펜스는 공포심을 가장 잘 부추기는 연출법이기 때문.

2.2. 개연성이 중요하지 않다?

호러물에서 개연성은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서술이 나무위키 문서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호러물에서도 개연성은 당연히 중요하다. 애초에 공포라는 감정이 개연성을 파괴하는 데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당장 호러 문학의 거두라고 할 수 있는 스티븐 킹체호프의 총을 변형하여 "3막에서 총을 쏠 것이라면 반드시 그 총을 1막에서 제시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는 개연성과 복선 회수, 명료한 단서 제시의 중요성에 대해 설파하는 것이다. 호러물은 개연성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에게 전하는 정보를 의도적으로 오염시킴으로써 오히려 개연성을 '성립'시켜야 한다. 열린 결말을 독자에게 납득하게 전개시키는 것이 바로 개연성이고, 그 개연성이 성립하지 않으면서 열린 결말이랍시고 소설을 마무리짓는다면 그건 망작이다.

떡밥 회수복선이 드러나는 것, 개연성이 맞는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한국 서브컬쳐 팬던 전반의 경향이 아니라, 서사 문학이라는 장르가 문화사에 등장한 이후부터 꾸준히 작품 평가의 기준이었다. 당장 데우스 엑스 마키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개연성이 부족한 고대 그리스의 연극을 비판한 게 기원전 사람인 아리스토텔레스다... 문화사의 어느 시기를 골라도 그 중에서 서사 장르의 개연성을 중요시하지 않은 적은 없으며, 유이한 예외는 어처구니 없는 웃음을 유발하는 코미디 장르와 실제 있었던 사건에 기반한 역사물 뿐이다. 심지어 실제 사건에서 지나치게 개연성이 부족하거나 신파 요소를 자극하는 경우 의도적으로 이를 삭제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최근 트랜드다.

2.3. 징그럽다?

한국에선 이 장르가 상당히 마이너한 것이 "호러 = 귀신이나 징그러운 게 나오는 공포물"로 인지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호러의 거장이라 불리는 스티븐 킹의 작품을 보면 딱히 그런 게 나오지 않는 작품도 있다. 대표적으로 인간이 감히 대적하거나 또 거부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공포 및 우주 전체의 관점에서 인간의 무가치함을 기본 전제로 하는 공포를 코즈믹 호러라고 한다. 찜찜하거나 소름끼치는 느낌을 유도하는 장르이기 때문에, 당연히 공포심을 건드리는 것이 가장 간단하기는 하지만, 만약 어떤 천재적인 작가가 공포를 유발하지 않고도 소름이 끼치게 할 수 있다면 그건 공포물이 아니라도 호러다.

3. 세부 장르와 연관 장르

소재와 연출 기법에 따라 다른 장르들과 연관된다.

3.1. 전개 방식

3.2.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소재

호러물에는 공포의 소재에 따라 다양한 서브 장르로 나뉜다.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소재로 사용되는 것은 대략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공포 영화 문서에서 가지고 온 것이긴 하지만 해당 소재는 영화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3.3. 표현법, 분위기


4. 관련 작품

4.1. 설정

가나다 순으로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4.2. 호러 소설

문서가 있는 작품들을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4.2.1. 한국

4.2.2. 일본

4.2.3. 서구권

4.3. 괴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괴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호러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포 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호러 드라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러 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호러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러 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7. 호러 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러 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 호러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러 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



[1] 완전히 공포로부터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쟈니 익스프레스는 순수한 공포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2] 패컬티, 슬리더, 더 씽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 (이전 역사)
문서의 r6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