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셜리 잭슨상 Shirley Jackson Awards | |
시상 | The Shirley Jackson Awards, Inc. |
첫 시상연도 | 2007년 |
링크 |
1. 개요
셜리 잭슨상은 2007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문학상이다. 심리적 서스펜스, 호러, 다크 판타지 장르의 소설들 중 영어로 된 작품들이 대상이며, 외국어 작품의 경우 영어로 번역되면 후보에 오를 수 있다. 상의 이름은 《힐 하우스의 유령》 등 여러 걸작 호러 소설을 쓴 미국의 작가 셜리 잭슨의 이름을 따왔다. 작가, 편집자, 평론가, 학자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수상자를 결정하며, 수상자는 매년 보스턴에서 개최하는 SF 컨벤션 행사인 리더콘(Readercon)에서 발표한다.2. 수상 목록
2.1. 장편
Novel: 40,000단어 이상의 소설- 제1회 (2007년) 엘리자베스 핸드 《Generation Loss》
- 제2회 (2008년) 제프리 포드 《The Shadow Year》
- 제3회 (2009년) 빅터 라발 《Big Machine》
- 제4회 (2010년) 로버트 잭슨 베넷 《Mr. Shivers》
- 제5회 (2011년) 셰리 홀먼 《Witches on the Road Tonight》
- 제6회 (2012년) 스즈키 코지 《エッジ》
- 제7회 (2013년) 로버트 잭슨 베넷 《American Elsewhere》
- 제8회 (2014년) 제프 밴더미어 《소멸의 땅》
- 제9회 (2015년) 제마 파일스 《Experimental Film》
- 제10회 (2016년) 에마 클라인 《더 걸스》
- 제11회 (2017년) 편혜영 《홀》
- 제12회 (2018년) 카트리오나 워드 《Little Eve》
- 제13회 (2019년) 사라 로즈 에터 《The Book of X》
- 제14회 (2020년) 스티븐 그레이엄 존스 《엘크 머리를 한 여자》
- 제15회 (2021년) 스티븐 그레이엄 존스 《My Heart Is a Chainsaw》
- 제16회 (2022년) 가비노 이글레시아스 《The Devil Takes You Home》 / 소피 화이트 《Where I End》
- 제17회 (2023년) 타나나리브 두에 《The Reformatory》
2.2. 중편
Novella: 17,500단어 이상 39,999단어 이하의 소설- 제1회 (2007년) 루셔스 셰퍼드 〈Vacancy〉
- 제2회 (2008년) 줄리아 레이 《Disquiet》
- 제3회 (2009년) 닉 안토스카 《Midnight Picnic》
- 제4회 (2010년) 레어드 배런 〈Mysterium Tremendum〉
- 제5회 (2011년) 엘리자베스 핸드 〈Near Zennor〉
- 제6회 (2012년) 카론 워렌 〈Sky〉
- 제7회 (2013년) 베로니카 샤노스 《Burning Girls》
- 제8회 (2014년) 다릴 그레고리 《We Are All Completely Fine》
- 제9회 (2015년) 엘리자베스 핸드 《와일딩 홀》
- 제10회 (2016년) 빅터 라발 《블랙 톰의 발라드》
- 제11회 (2017년) 사만타 슈웨블린 《피버 드림》 / 린지 드레거 《The Lost Daughter Collective》
- 제12회 (2018년) 크리스티나 리베라 가르사 《El mal de la taiga》
- 제13회 (2019년) 프리야 샤르마 《Ormeshadow》
- 제14회 (2020년) 스티븐 그레이엄 존스 《Night of the Mannequins》
- 제15회 (2021년) 진 E. 락클린 《Flowers for the Sea》
- 제16회 (2022년) 안젤라 슬래터 《The Bone Lantern》
- 제17회 (2023년) 라토야 조단 《To the Woman in the Pink Hat》
2.3. 중단편
Novelette: 7,500단어 이상 17,499단어 이하의 소설- 제1회 (2007년) 글렌 허그버그 〈The Janus Tree〉
- 제2회 (2008년) 존 케슬 〈Pride and Prometheus〉
- 제3회 (2009년) 스티븐 킹 〈도덕성〉[1]
- 제4회 (2010년) 닐 게이먼 〈진실은 검은 산의 동굴〉[2]
- 제5회 (2011년) 켈리 링크 〈The Summer People〉
- 제6회 (2012년) 캐런 러셀 〈Reeling for the Empire〉
- 제7회 (2013년) 그리어 길먼 《Cry Murder! In a Small Voice》
- 제8회 (2014년) 데일 베일리 〈The End of the End of Everything〉
- 제9회 (2015년) 스티브 더피 〈Even Clean Hands Can Do Damage〉
- 제10회 (2016년) 카밀라 그루도바 〈Waxy〉
- 제11회 (2017년) 차비사 우즈 〈Take the Way Home That Leads Back to Sullivan Street〉
- 제12회 (2018년) 톰 콕스 〈Help the Witch〉
- 제13회 (2019년) 브룩 와라 《Luminous Body》
- 제14회 (2020년) J. 애슐리-스미스 〈The Attic Tragedy〉
- 제15회 (2021년) E. A. 페트리콘 〈We, the Girls Who Did Not Make It〉
- 제16회 (2022년) 응히 보 《What the Dead Know》
- 제17회 (2023년) 유지니아 트리안타필루 〈Six Versions of My Brother Found Under the Bridge〉
2.4. 단편
Short Fiction: 7,499단어 이하의 소설- 제1회 (2007년) 네이선 밸린그루드 〈The Monsters of Heaven〉
- 제2회 (2008년) 마이클 비숍 〈The Pile〉
- 제3회 (2009년) 캐런 조이 파울러 〈The Pelican Bar〉
- 제4회 (2010년) 피터 와츠 〈The Things〉
- 제5회 (2011년) M. 리케르트 〈The Corpse Painter's Masterpiece〉
- 제6회 (2012년) 제프리 포드 〈A Natural History of Autumn〉
- 제7회 (2013년) 샘 J. 밀러 〈57 Reasons for the Slate Quarry Suicides〉
- 제8회 (2014년) 앨리슨 리틀우드 〈The Dogs Home〉
- 제9회 (2015년) 린다 E. 루커 〈The Dying Season〉
- 제10회 (2016년) 캐리 라벤 〈Postcards from Natalie〉
- 제11회 (2017년) 커트 포버 〈The Convexity of Our Youth〉
- 제12회 (2018년) 크리스티나 우드 마르티네즈 〈The Astronaut〉
- 제13회 (2019년) 인드라프라미트 다스 〈칼리_Na〉[3]
- 제14회 (2020년) R. A. 버스비 〈Not the Man I Married〉
- 제15회 (2021년) 이사벨 J. 킴 〈You'll Understand When You're a Mom Someday〉
- 제16회 (2022년) 킴 푸 〈Pre-Simulation Consultation XF007867〉
- 제17회 (2023년) 로라 블랙웰 〈The First Mrs. Edward Rochester Would Like a Word〉
2.5. 컬렉션
Single-Author Collection: 총 40,000단어 이상, 단일 작가의 소설 3개 이상을 수록한 단편집- 제1회 (2007년) 레어드 배런 《The Imago Sequence and Other Stories》
- 제2회 (2008년) 오가와 요코 《The Diving Pool》[4]
- 제3회 (2009년) 케빈 윌슨 《Tunneling to the Center of the Earth》 / 로버트 쉐어맨 《Love Songs for the Shy and Cynical》
- 제4회 (2010년) 레어드 배런 《Occultation》
- 제5회 (2011년) 머린 F. 맥휴 《After the Apocalypse: Stories》
- 제6회 (2012년) 제프리 포드 《Crackpot Palace》
- 제7회 (2013년) 크리스토퍼 바작 《Before and Afterlives》 / 네이선 밸린그루드 《North American Lake Monsters》
- 제8회 (2014년) 헬렌 마샬 《Gifts for the One who Comes After》
- 제9회 (2015년) 스티븐 킹 《악몽을 파는 가게》
- 제10회 (2016년) 제프리 포드 《A Natural History of Hell》
- 제11회 (2017년) 카먼 마리아 마차도 《그녀의 몸과 타인들의 파티》
- 제12회 (2018년) 프리야 샤르마 《All the Fabulous Beasts》
- 제13회 (2019년) 브라이언 에븐슨 《삼켜진 자들을 위한 노래》
- 제14회 (2020년) 캐테 코자 《Velocities: Stories》
- 제15회 (2021년) 키스 로슨 《Folk Songs for Trauma Surgeons: Stories》
- 제16회 (2022년) 폴라 D. 애쉬 《We Are Here to Hurt Each Other》
- 제17회 (2023년) 가브리엘라 다미안 미라베테 《They Will Dream in the Garden》
2.6. 앤솔러지
Edited Anthology: 총 40,000단어 이상, 3명 이상의 작가의 소설 3개 이상을 수록한 단편집- 제1회 (2007년) 엘런 대틀로 《Inferno》
- 제2회 (2008년) 사라 에어, 라 페이지 《The New Uncanny》
- 제3회 (2009년) 엘런 대틀로 《Poe: 19 New Tales Inspired by Edgar Allan Poe》
- 제4회 (2010년) 닐 게이먼, 알 사란토니오 《이야기들》
- 제5회 (2011년) 잭 단, 닉 게버스 《Ghosts by Gaslight》
- 제6회 (2012년) 다넬 올슨 《Exotic Gothic 4: Postscripts #28/29》
- 제7회 (2013년) 조셉 S. 풀버 시니어 《Grimscribe's Puppets》
- 제8회 (2014년) 엘런 대틀로 《Fearful Symmetries》
- 제9회 (2015년) 사이먼 스트런자스 《Aickman's Heirs》
- 제10회 (2016년) 도미니크 파리시엔, 나바 울프 《The Starlit Wood》
- 제11회 (2017년) 마이클 켈리 《Shadows and Tall Trees Vol. 7》
- 제12회 (2018년) 나바 울프, 도미니크 파리시엔 《Robots vs Fairies》
- 제13회 (2019년) 크리스토퍼 골든, 제임스 A. 무어 《The Twisted Book of Shadows》
- 제14회 (2020년) 리 머레이, 제네바 플린 《Black Cranes: Tales of Unquiet Women》
- 제15회 (2021년) 에릭 J. 기냐르 《Professor Charlatan Bardot's Travel Anthology to the Most (Fictional) Haunted Buildings in the Weird, Wild World》 / 데이브 링 《Unfettered Hexes: Queer Tales of Insatiable Darkness》
- 제16회 (2022년) 더그 무라노 《The Hideous Book of Hidden Horrors》
- 제17회 (2023년) 졸리 투마잔 《Aseptic and Faintly Sadistic》
2.7. 특별상
Special Award: 셜리 잭슨의 유산을 널리 알리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에게 수여- 제10회 (2016년) 루스 프랭클린 《Shirley Jackson: A Rather Haunted Life》[6]
- 제17회 (2023년) 엘리자베스 핸드 《A Haunting on the Hill》[8]
[1] 단편집 《악몽을 파는 가게 1》에 수록[2] 단편집 《이야기들》에 수록[3] 단편집 《에스에프널 2021 Vol.2》에 수록[4] 단편집 《임신 캘린더》에서 〈해 질 녘 급식실과 비 내리는 수영장〉을 빼고 원래 다른 단편집 《완벽한 병실》에 있던 〈다이빙 풀〉을 수록한 미국 오리지널 단편집이다.[5] 미국의 고전 문학을 출간하는 비영리 출판사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에서 출판한 셜리 잭슨 전집[6] 셜리 잭슨의 전기[7] 셜리 잭슨 헌정 앤솔러지[8] 셜리 잭슨의 대표작 《힐 하우스의 유령》의 속편으로, 셜리 잭슨 재단의 승인을 받은 공식 후속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