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21:42:13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다다미 넉 장 반 타임머신 블루스/애니메이션
,
,
,
,
,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애니메이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 밀림의 왕자 레오 요술공주 샐리 마하 GoGoGo 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 비밀의 아코짱 타이거 마스크 사자에상 내일의 죠
루팡 3세 데빌맨 과학닌자대 갓챠맨 마징가 Z 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 마법소녀 메구짱 우주전함 야마토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감바의 모험
타임보칸 잇큐씨 엄마찾아 삼만리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캔디캔디
얏타맨 미래소년 코난 은하철도 999 보물섬 빨강머리 앤
도라에몽 기동전사 건담 베르사이유의 장미 전설거신 이데온 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 시끌별 녀석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미래경찰 우라시맨 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캡틴 츠바사 북두의 권 터치 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 시티헌터 키테레츠 대백과 날아라 호빵맨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 닌자보이 란타로 슬램덩크 슬레이어즈 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 용자왕 가오가이가 포켓몬스터 소녀혁명 우테나 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 오자루마루 꼬마마법사 레미 ∀건담 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가방가 햄토리 갤럭시 엔젤 테니스의 왕자 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나루토 기동전사 건담 SEED 강철의 연금술사 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 블리치 AIR 허니와 클로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은혼 제로의 사역마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 전뇌 코일 기동전사 건담 00 트루 티어즈 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 이나즈마 일레븐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케이온!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골판지 전기 TIGER & BUNNY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파일: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로고.svg
애니메이션 대상
제13회
(2009년)
제14회
(2010년)
제15회
(2011년)
썸머워즈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2010)
四畳半神話大系
파일:24da5c4c-d5a6-4ca1-a484-9e1d93a5b4c8.pn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SF
원작 모리미 토미히코
캐릭터 원안 나카무라 유스케
감독 유아사 마사아키
시리즈 구성 우에다 마코토(上田 誠)
캐릭터 디자인 이토 노부타케
총 작화감독
미술 컨셉 디자인 코노 료(河野 羚)
미술 감독 우에하라 신이치(上原伸一)
색채 설계 츠지타 쿠니오(辻田邦夫)
촬영 감독 이시즈카 케이코(石塚恵子)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음향 감독 키무라 에리코(木村絵理子)
음악 오오시마 미치루
치프 프로듀서 야마모토 코지(山本幸治)후지 테레비
프로듀서 타케우치 후미에(竹内文恵)
오자키 노리코(尾崎紀子)후지 테레비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지오 츠토무(藤尾 勉)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넉 장 반 주의자 모임(四畳半主義者の会)
방영 기간 2010. 04. 23. ~ 2010. 07. 0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노이타미나) / (금) 00:45
편당 러닝타임 22분
화수 11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3. 줄거리
3.1. 발단3.2. 전개/위기 - '나'가 든 동아리들
3.2.1. 제01화3.2.2. 제02화3.2.3. 제03화
3.2.3.1. 버드맨 동아리
3.2.4. 제04화3.2.5. 제05화3.2.6. 3개의 동아리를 고른 경우
3.2.6.1. 제06화3.2.6.2. 제07화3.2.6.3. 제08화
3.2.7. 제09화
3.3. 절정3.4. 결말
4. 등장인물5. 주제가
5.1. OP5.2. ED5.3. 2017년 재방송 ED
6. 회차 목록7. 평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소설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매드하우스이며, 감독은 케모노즈메카이바, 핑퐁 THE ANIMATION으로 유명한 유아사 마사아키. 캐릭터 디자인은 록밴드 ASIAN KUNG-FU GENERATION 전속 커버 일러스트레이터로 유명한 나카무라 유스케가 담당했으며, 이 연으로 인해 오프닝을 ASIAN KUNG-FU GENERATION이 맡게 되었다.

2017년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극장판 애니메이션화를 기념하여 재방송한다. 오프닝과 엔딩에 기존과 다른 곡과 영상이 사용됐다. 오프닝은 일본의 밴드 시나리오 아트가 기존의 오프닝이였던 길 잃은 개와 비의 비트를 커버[1]하였으며, 엔딩곡은 '러브마게돈(ラブマゲドン)'[2] 이라는 신곡이다. 오프닝의 경우 2010년 판의 영상을 리메이크 하였지만 엔딩의 경우 완전히 새로운 영상이며, 2017년 4월 개봉하는 극장판 애니메이션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의 등장인물들이 대거 출연한다. #

2022년 2분기에 다다미 넉 장 반 타임머신 블루스극장판 개봉을 맞이하여 재방송되고 있다. 오프닝과 엔딩은 기존의 것(2010년판)을 그대로 사용하며, OVA로 공개되었던 특별편까지 합쳐져 총 12부작으로 방송되었다.

2. 공개 정보

2.1. PV

PV

3.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발단

'나'는 올 봄에 막 대학교 3학년이 된 학생이며, 재수 생활을 거치고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꿈꾸며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동아리를 잘못 골라 온갖 험한 일이란 험한 일은 다 겪은데다 엮이고 싶지 않은데 자꾸만 엮이게 되는 징글맞은 친구 오즈와 함께 지내는 동안 지난 2년간을 무의미하게 보냈다. 그 와중에 '나'는 자신의 이상형인 후배, 아카시와 사귈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었지만 간발의 차이로 기회[3]를 놓치곤 했다[4]고 푸념한다. '나'는 만약 입학식 때 다른 동아리를 골랐다면 오즈와 만날 일도 없을 것이고, 그렇게도 꿈꾸던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후회한다.

'나'가 이 말을 한 이후 시계가 되돌아가는 연출이 나오며 한 화가 끝나고, 바로 다음 화에 '나'가 다른 동아리를 고른 상황이 이어진다. '나'는 여전히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꿈꾸며 동아리에 가입하지만 그럼에도 들어간 동아리는 정상이 아닌데다 여전히 오즈와 엮이고 있었고, 간발의 차이로 아카시와 잘 될 수 있을 뻔했던 기회를 놓쳐 버리고, 그로 인해 2년을 무의미하게 보냈다고 후회하게 된다.

이 와중에 9화[5]에서 '나'의 스승을 자처하는 히구치 씨는 '나'에게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 따윈 존재하지 않는다. 세상은 장밋빛이 아니라 잡다한 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는 말을 해 주기도 한다. 하지만 '나'는 여전히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동경한다.

동아리별로 '나'가 겪는 일들은 아래와 같다.

3.2. 전개/위기 - '나'가 든 동아리들

3.2.1. 제01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다. 평범한 테니스 동아리다. '나'는 교토대학에 입학해 검은 머리 여대생과의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꿈꾸며 테니스 서클에 입부하나 사회성 부족으로 인해 실패한다. 그와 반대로 서클 내에서 연애 사건이 워낙 많이 일어나 이를 눈꼴시게 본 오즈와 '나'는 흑화해 커플들을 이간질해 깨지게 만드는 커플 브레이커로 악명을 떨쳤다. 커플브레이커로서 불모한 악명을 떨치던 중, 꽁냥대는 커플들이 그렇게도 질투났는지 강 건너의 커플들에게 불꽃을 직사로 쏴버리는 만행을 저지르고 만다. 이후 네코라멘 포차에서 자신을 남녀의 연을 맺는 신이라 자칭하는 히구치와 만나 후배 아카시와 인연을 맺어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고민하다 제안을 받아들여 고잔 불꽃축제[6]에 아카시를 만나러 가게 된다. 인연을 맺어주겠다고 했지만 신적인 능력은 당연히 아니고 정공법으로 고백하라는 히구치의 말에 반발하는 '나'였으나 쫄보였으므로 당연히 실패한다. 이 와중 오즈는 무슨 잘못을 저질렀는지 되도않는 여장을 한 채로 사람들에게 쫒기고 있었고 급기야 떨어지겠다고 협박까지 한다. '나'는 어이없는 사태에 질색하나 어느새 떠밀려 오즈와 같이 강으로 떨어지게 된다. '나'는 테니스 서클에 들어간게 잘못이었으며,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손에 넣었을 것이라는 나레이션이 흐르고 시계가 되돌아간다.

3.2.2. 제02화

조가사키가 창설하고 부장으로 있는 동아리. 일단은 영화 동아리이긴 한데, 실은 조가사키 망상 실현부나 다름없다. 조가사키가 감독·각본·주연·제작하면서 만드는 영화들은 자신의 나르시시즘을 열심히 후빨하는 내용들로 가득하다. 게다가 영화 내엔 여성의 노출 따윈 없으면서 오디션엔 여성 수영복과 가슴 심사를 넣는 말도 안되는 기행도 저지른다. 그런데 다들 받아들이고 오오 조가사키 님거린다. 후일 등장하는 복묘반점이나 홍와카에 비해선 덜하지만 부원들의 광신 수준이 만만치 않은 편. 그래도 폭로 다큐가 상영될 때 반응을 보면 아직 상식인 수준인 듯.

'나'는 그에 대항해 나름대로 자기만의 영화를 만들었으나, '나'는 고다르가 아니였기 때문에 오히려 조가사키의 인기만 올라가는 역효과를 낳았다. 그래도 마지막엔 폭로 다큐멘터리로 한 방 먹이긴 했다. 오즈는 여기서 녹음 담당을, 아카시는 3D 이펙트/스크립터 담당을 맡고 있었다.

특이하게 작중 시공간이 현대지만 필름으로 작업하고 있는데(실제 영화 동아리나 영화 학교 작업 장비들은 디지털로 교체된지 오래다), 이는 시대 착오적인 느낌을 위해서 일부러 선택한 듯하다. 실제로 그 의도를 언급하는 유아사 감독의 인터뷰가 있다.

원작 소설에서의 동아리 이름은 미소기(みそぎ),[7] 한국어 번역판에는 '계'로 번역되었다.

3.2.3. 제03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다. 동호회…는 개뿔이고 사실은 프로 사이클 선수 양성소나 다름없다. 당연히 '나'는 낙오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지만 알바로 모으고 모은 돈을 자전거에 현질로 질러모아 부족한 체력을 커버하려고 하였으나, 자전거 관리 감독소에게 빼앗긴다. 그래도 어찌 완주는 다 했다. 오즈 역시 잉여부원으로 대활약 중.

다만 같이 소속되어 있던 아카시는 전국 대회 종합 우승까지 이뤄내는 엄청난 쾌거를 기록했다.
3.2.3.1. 버드맨 동아리
아카시가 있는 동아리. 버드맨(일종의 행글라이더)을 만들어서 대회에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카시가 솔레이유에 든 이유도 버드맨 파일럿을 찾기 위해서.

참고로 이 버드맨은 꽤 수난을 많이 겪는다. 자전거 관리 감독소에서 버드맨을 몰수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대사를 보면, 왠지 그 버드맨을 사려고 하는 곳이 북쪽의 어느 나라인 듯한 뉘앙스.

3.2.4. 제04화

정식 동아리는 아니고 히구치 선배가 개인적으로 제자를 구한다는 내용의 전단지를 뿌린 것을 '나'가 받은 경우이다. 히구치 스승은 입학 동기인 조가사키를 상대로 학교 선배들 사이에서 대대로 전해 내려오고 있는 '대리 전쟁'이라는 시시껄렁한 장난을 치고 있었다. '나'는 후계자로 임명되고 조가사키의 후계자가 된 오즈를 상대로 별 의미없는 장난짓을 하면서 대학 생활 2년을 허송세월하게 되었다.

3.2.5. 제05화

'나'가 연애질이라도 해볼까 들어가 봤던 동아리지만... 실상은 소프트볼은 뒷전인 신흥종교 풍 건강식품회사 판매 촉진용 동아리. 다들 상긋상긋 웃고 바른말만 골라서 하지만 모두 가식. 이는 연수회에서 모조리 까발려진다. 더 무서운 건 그 까발림을 통해 신앙을 더욱 굳게 만든다는 것.

작중 등장하는 부원들의 광신 수준은 최강이며, 본색을 드러내는 후반부는 거의 호러 영화 수준이다. 대학교 동아리 맞아?를 절로 외치게 만드는 집단.

참고로 판매 방식은 다단계인 듯 하다[8] 이 세계에서 오즈는 홍와카의 비행선을 탈취하고자 입부한 듯 하다[9]. 하지만 역시 그 성격은 어디 가지 않아서 '나'와 죽이 잘 맞게 된다.

여담으로 '홍와카'는 '편안해져 기분이 좋은 모양'을 뜻하는 속어이다. 그래서 정발판에서는 '포그니'라는 이름으로 의역되었다.

3.2.6. 3개의 동아리를 고른 경우

입학하고 신입생일 때 1개의 동아리만 고를 경우 발생할 리스크를 분산시키고자 3개의 동아리를 골랐다. 애니메이션에서 6화, 7화, 8화는 3개의 동아리 활동을 하는 타임라인에서 일어난 사건들이다.
3.2.6.1. 제06화
하누키가 있는 동아리. 원작에서는 그냥 영어회화학원이라고 한다. 평범한 원어민 영어회화부인듯 하다. '나'는 여기에서 오즈와의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며 서클에 적응한다. 그 에피소드라는 것은, 사실상 오즈를 까는 내용.
3.2.6.2. 제07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다. 모치구마(번역명 찰떡곰)를 가지고 히어로 쇼를 하고 있으며, 이 세계에서는 회장에서 불량배에게 시달리던 아카시를 모치구만(국내명 찰떡곰맨) 복장을 하고 있던 '나'가 구해주면서 알게 되었다.

영화 동아리하고는 교우 관계가 있는 듯하며, 출연을 계기로 '나'는 조가사키에게 카오리 보디가드 일을 받게 된다.
3.2.6.3. 제08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다. 독서부라는데, 그냥 독서실 그 자체다. 그거 외엔 별거 없다. 다만 화 전체를 보면, 망상력이 증대하는데는 효과가 있는 듯하다.

3.2.7. 제09화

비공인 서클인데, 그 영향력은 공인인 학생회보다 쎈 킹왕짱 비밀결사단. 아이지마가 소속되어 있다. 도서관 경찰, 인쇄소, 자전거 관리 감독소로 하부 부서가 나눠져 있다.

도서관 경찰은 체납 도서 독촉과 도서관 관리 등이 주 업무처럼 보이나 사실은 무시무시한 정보기관. 연체자에게서 도서를 되찾기 위해 연체자의 정보를 모은 것이 시초다. 작중 오즈의 무시무시한 정보력의 원천이다.

인쇄소는 우수한 학생들을 다수 확보하여 위조 레포트를 발급하는 곳으로, 급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사하고 있다. 물론 불법. 아마 여기서 나오는 자산을 바탕으로 군림하는 듯 하다.

자전거 관리 감독소는 미등록 자전거를 몰수하는 곳이며, 3화에서 도난당한 '나'의 자전거도 이들이 몰수한 것. 아카시의 버드맨도 3화에선 오즈의 공작으로 강탈을, 9화에선 후일 새로 부임한 '나'의 공작으로 파괴당한다. 자전거 몰수 과정에선 주인이 옆에 있어도 강탈하거나 아예 몰래 훔쳐가는 경우도 있다. 몰수한 자전거를 팔아치워서 중요한 자금원으로 쓰기 때문. 어째 부원들이 인간이 아니고 고릴라처럼 생긴 괴물들이다. 작 중 부원들의 광신도도 홍와카와 맞먹을 정도지만, 홍와카와 달리 단결력은 부족해서 두 번씩이나(물론 거기엔 오즈의 농간이 개입되어 있긴 하지만) 하극상이 일어난다.

특전영상 2화에서는 원작자 모리미 토미히코의 또 다른 소설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에 나오는 이백 옹의 이야기가 나온다[10]. 바람이 잘 통하는 하반신 나체(남자 한정)세계를 만들겠다고 한다. 하지만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에 나오는 또 다른 인물인 '빤쓰총반장'의 거의 1년 묵은 빤쓰를 빼앗는 바람에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드러누워 실패. 어떤 의미로는 다행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빤쓰총반장은 사랑하는 스마 씨와 만났다. 만든 잠수함은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에 나오는 집단 '규방조사단(에로동아리)'이 만들어 교토 내의 남자들의 하의를 모두 훔치고 아카시를 스토킹하다가 결국 목욕탕에서 걸려 감전당한다.

3.3. 절정

그러다 10화에서 '나' 가 지금까지의 루프와는 다르게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 따위는 꿈일 뿐이라면서 그 어떤 동아리도 가입하지 않은 채 그냥 학교와 다다미 넉 장 반짜리 하숙방을 반복하는 일상을 보내기로 한 상황[11]이 나온다. '나'는 오즈와 만날 때와 별 반 차이 없이 무의미하게 2년을 보내지만, 자신의 다다미 넉 장 반 짜리 하숙방을 편하게 여길 뿐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나'는 하숙방 문을 열자 문 앞에 복도가 아닌 또 다른 다다미 넉 장 반 짜리 방이 나오는 상황을 맞이한다.[12] 방 건너에 나온 방 문을 열어도 똑같은 방이 나오고, 심지어 벽을 뚫어 보아도 벽 너머에 자기 방과 똑같이 생긴 방이 나오는 상황. '나'는 꼼짝없이 다다미 넉 장 반이 무한히 반복되는 세상에 갇혀 버린다.

'나'는 처음에는 방만 반복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고민하다가, 방 안에서 카스텔라[13]와 어육 완자[14]를 발견하여 방 하나하나에 하나씩 있는 카스텔라와 어육 완자로 끼니를 때우고[15], 방 안에서 지폐를 발견해서 방 여러 군데에 있는 돈을 주워서[16] 부자가 될 꿈에 부풀기도 하고, 방 안에 있는 책으로 공부를 하거나, 홀로 운동을 하는 등 자신이 홀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 하지만 얼마 안 가 '나'는 맨 처음 출발했던 방으로 돌아오게 되고, 다다미 넉 장 반만 반복되는 방에서 혼자 있을 뿐인 자신의 신세와 자신이 다다미 넉 장 반짜리 방에 틀어박혀 있을 수 있던 이유는 언제든지 그 방에서 나갈 수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외로움을 느끼기 시작한다.[17]

그러던 와중, '나'는 똑같아 보이던 방 하나하나가 어떤 방에는 영화 필름이 있는데 어떤 방에는 영화 필름 대신 다른 것이 있는 식으로 사실은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나'는 방 하나하나가 각각 다른 이유는 자신이 어떤 동아리에 들었을 경우 달라진 삶의 모습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이런 동아리 활동이 비록 입학할 때 꿈꾸었던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는 아니었지만 다다미 방 안에 틀어박혀 무미건조하게 사는 삶보다는 훨씬 즐겁고 나았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을 불행으로 몰아간 웬수라고 생각했던 오즈도 실은 '나'의 유일한 친구였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런 중에 '나'는 한 방에서 오즈의 스마트폰을 발견하고 위기가 닥친 오즈에게 경고하기 위해 연락을 해 보려 하지만, 배터리가 나가 버린다.[18]

그리고 '나'는 매번 놓쳤던 기회인 아카시가 두고 간 찰떡곰 인형을 발견한다. '나'는 지금이야말로 기회를 잡아야겠다고 마음먹고, 천장에 매달린 찰떡곰 인형을 꽉 잡는다. 그러자, 수많은 방에 걸려 있던 찰떡곰 인형[19]이 흔들리고, 그와 동시에 수많은 방 안에 있던 나방들이 떼를 지어 밖으로 튀어나온다.[20] 그리고 나방 떼가 모두 사라지자, '나'는 드디어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에서 벗어나 밖으로 나오게 된다.

3.4. 결말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에서 나온 '나'는 동아리에서 저지른 악행에 화가 난 사람들에게 떠밀려 카모가와 강가에 빠진 오즈를 구해 준 뒤 오즈가 자신의 친구임을 인정하고 놓쳐 버린 아카시와의 기회를 잡아 아카시와 연애를 시작하는 데 성공한다. 그리고 '나' 는 다다미 넉 장 반짜리 하숙집을 벗어나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간다. 그 이후로도 '나'는 여전히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에서 빠져나오기 전과 같은 무의미한 삶을 보내게 되지만, 이번에는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자신의 삶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나'는 아카시와 함께 강에 빠져 다리를 다치는 바람에 병원에 입원한 오즈를 찾아간다. 대체 왜 이렇게까지 자기랑 엮이냐는 오즈의 말에 '나'는 지금까지 왜 자꾸 오즈가 자기랑 엮이냐고 할 때마다 오즈가 했던 말을 흉내내서 '내 나름의 사랑이야(俺なりの愛だ)[21]'라고 오즈에게 돌려주고, 오즈는 '나' 가 그 말을 듣고 나서 한 말인 '그런 징그러운 거 필요 없어요(そんな汚いもん、いりません)' 라는 말을 한다.

4. 등장인물

파일:external/www.anizines.com/yojyohanshinwatai.jpg
왼쪽부터 하누키, 히구치, 아카시, 나, 오즈, 죠가사키, 카오리, 아이지마.












5. 주제가

5.1. OP

OP
迷子犬と雨のビート
길 잃은 개와 비의 비트
TV ver.[49]
2017년 재방송 TV ver.
Full ver.
<colbgcolor=#ffe5cc,#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SIAN KUNG-FU GENERATION
시나리오 아트2017년 재방송
편곡
작사 고토 마사후미(後藤正文)
작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e5cc,#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유아사 마사아키
연출
영상 연출 카토 미치야(加藤道哉)
촬영
편집
}}}}}}}}} ||
경쾌한 멜로디 그리고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함축한 가사가 특징이다. 작사/작곡을 담당한 고토 마사후미는 개인 블로그에 '이 곡을 과거의 자신에게 들려준다면 상당히 감격할 것'이라며 걸작이라고 자찬하기도 했다.

5.2. ED

ED
神様のいうとおり
신께서 말씀하신 대로
TV ver.
Full ver.
<colbgcolor=#ffe5cc,#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이시와타리 준지(いしわたり淳治)&스나하라 요시노리(砂原良徳)
+야쿠시마루 에츠코
작사 이시와타리 준지(いしわたり淳治)
작곡 스나하라 요시노리(砂原良徳)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e5cc,#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애니메이션 카와무라 신지(川村真司)+호소카네 타쿠오(細金卓矢)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엔딩이 몬드리안 작품 생각난다는 평이 있다. 색색의 다다미가 서로 붙어있는 채로 나오는 장면이 많아서인듯.

5.3. 2017년 재방송 ED

2017년 재방송 ED
ラブマゲドン
러브마게돈
TV ver.
Full ver.
<colbgcolor=#ffe5cc,#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시나리오 아트
작곡
작사 하야시 코스케(ハヤシコウスケ)
편곡 CHRYSANTHEMUM BRIDG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링크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テニスサークル「キューピット」
테니스 서클 「큐피트」
유아사 마사아키 이토 노부타케 2010.04.23.
제2화 映画サークル「みそぎ」
영화 서클 「미소기」[50]
요코야마 아키토시 니시가키 쇼코
(西垣庄子)
2010.04.30.
제3화 サイクリング同好会「ソレイユ」
사이클 동호회 「솔레이유」
마키하라 료타로 마키하라 료타로
아사노 나오유키
2010.05.07.
제4화 弟子求ム
제자 구함
요코야마 아키토시 이토 노부타케 2010.05.14.
제5화 ソフトボールサークル「ほんわか」
소프트볼 서클 「홍와카」[51]
하마사키 히로시 타카하시 토모야
(高橋知也)
이시하마 마사시 2010.05.21.
제6화 英会話サークル「ジョイングリッシュ」
영어회화 서클 「죠잉글리쉬」[52]
나츠메 신고 니시가키 쇼코
아사노 나오유키
2010.05.28.
제7화 サークル「ヒーローショー同好会」
서클 「히어로쇼(특전대 연극) 동호회」
미하라 미치오 2010.06.04.
제8화 読書サークル「SEA」
독서 서클 「SEA」
시미즈 히로시
(清水 洋)
후지세 준이치
(藤瀬順一)
이토 노부타케 2010.06.11.
제9화 秘密機関「福猫飯店」
비밀기관 「복묘반점」
요코야마 아키토시 마키하라 료타로 2010.06.18.
제10화 四畳半主義者
넉 장 반 주의자
최은영 이토 노부타케
이시하마 마사시
2010.06.25.
제11화 四畳半紀の終わり
넉 장 반기의 끝[53]
유아사 마사아키 이토 노부타케 2010.07.02.

7.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8.1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9.3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1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
평점 8.57 / 10.0
기준: / ()


모에 그림과 거리가 있고 소재도 대학생의 청춘 판타지라 오타쿠에게 어필하는 작품은 아니지만 본 사람들에게는 명작 소리를 듣는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소설과 조금 다른 구성을 보이는데 오리지널 에피소드도 존재하지만 소설 못지않게 어레인지를 잘 해낸 편이다.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소설의 에피소드 소재를 여럿으로 갈라서 그걸 각각의 한 편으로 만들었다. 각 화의 마지막에서 시계탑의 시계를 되감는 모습 때문에 분기물이라기보다 루프물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이는 아마도 시간을 되돌려 다른 선택을 한 '나'를 본다는 의미로 해석도 가능하다. '나'의 대사나 실패한 분기에 대한 언급도 살짝 나오기 때문에 루프물이라 볼 수도 있고 분기물로 볼 수도 있다. 마지막화의 다다미 지옥의 묘사는 루프한 각 분기들이 모여 얽혀있는 평행세계. 결정적인 차이점은 분기들의 결말이다. 애니판에선 마지막 분기를 제외한 모든 분기의 결말에서 '나'의 대학생활이 막장으로 치닫아 버리지만 소설판은 모든 단편의 결말이 단 한 부분[54]을 제외하고 똑같은 해피엔딩이다.

감독이 이 작품을 애니화하기로 결정했을 때 각본가가 '미쳤냐'는 반응이었다고 한다. 라이트 노벨 원작이 대세인 애니메이션계에 왜 대사량도 적은 일반 소설을 애니화하냐는 것이 이유[55][56]. 대사가 적은 편인 일반 소설을 가져다 쓴 결과는 '나'의 (내면을 이야기하는)속사포 랩.

'나'의 압도적인 대사량으로 보는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숨도 참아가며 쏟아내는 속사포 독백[57]에 시청자들 중에는 '자막 만드는 사람들 고생 꽤나 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듯. 현지 일본인들조차 그냥 넋놓고 보면 깜빡 놓칠 정도. 이 대사량이 작품의 독특한 분위기를 만드는 역할도 하고 있다. 10화는 다른 등장인물 없이 '나'만 나왔다. 출연 성우도 아사누마 신타로 한명. 비화에 따르면 원래 감독은 2배속을 원했지만, 진행 중 담당 성우인 아사누마 신타로가 뻗는 바람에 속도를 약간 낮췄다고 한다. 2017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GV 시간에 유아사 감독이 한 말에 의하면 성우가 녹음을 하다가 혀가 마비될 지경이었다고 한다. 또한 감독 본인은 '크게 어려운 건 없지 않을까'하는 심정이었으나 음향감독과 성우가 불만을 표했다.

8화에서 오즈가 '나'에게 건네주는 책은 같은 작가가 쓴 책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오즈는 이를 '바보 같은 청춘소설'이라고 말한다. 은근한 간접광고.

2010년 12월.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대상을 수상했고 2011년 2월에는 도쿄 국제 아니메 페어에서 TV 애니메이션 부분 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DVD와 블루레이도 생각보다 잘 팔려서[58] 그동안 안 팔리는 감독으로 유명했던 유아사 감독의 첫 히트작이 되었다. 2014년 6월에 BD-BOX가 발매되었다.

8. 둘러보기

노이타미나 방영작 (2010년 2분기)
노다메 칸타빌레 피날레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납치사 고요
모야시몬 Drama
시귀
노이타미나 방영작 (2022년 2분기)
임금님 랭킹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철야의 노래


[1] 아시안 쿵푸 제너레이션의 첫 트리뷰트 앨범인 AKG TRIBUTE에 수록됐다.[2] Love+Armagedon의 합성어. 인디시절에 만들었던 곡을 재녹음했다. 시나리오 아트 정규 2집 Faction World에 수록.[3] '나'가 아카시가 잃어버린 인형 중 하나를 어쩌다가(예를들면 코인 빨래방에 맡겨 두었던 사각팬티 대신에 인형이 있더라는 것) 갖고있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진행된다. 또한 아카시는 나방을 싫어하고 나방과 접촉하면 모치구마(찰떡 곰) 인형을 꾹꾹이를 해 정화한다. 이 두 가지 사실은 마지막 에피소드의 복선이 된다.[4] '나'가 자신이 기회를 놓쳤다는 사실을 깨닫기 전에 길을 가다 우연히 만난 점쟁이 노파가 '나'에게 기회는 눈 앞에 어른거리고 있고, 그 기회를 잡으라는 말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5] 원작 소설에서는 2화[6] 교토에서 실제 진행되는 축제.[7] 미소기란 단어의 뜻은 '(죄∙부정을 씻기 위해) 냇물이나 강물로 몸을 씻는 것; (비유적으로) 과오∙실책 등을 없던 일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정작 이 편에서 '나' 와 '오즈' 는 조가사키의 모든 과오를 폭로해버리고 이는 조가사키의 대망신과 몰락으로 이어진다.[8] 실제로도 사이비 종교와 다단계 업체에서 광신도 혹은 열성판매원들을 양산하는 방법도 작중에서 쓰는 방법과 비슷하다고 한다.[9] 탈취하려는 이유는 9화에 나온다.[10] 이 아저씨는 특전영상 1화에서 문어 요괴화한 오즈를 물리칠때 쓴 빙수 제조기를 판다.[11] 원작에서는 '나'가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에 갇히는 4화에서 복묘반점에 가입하기 때문에 '나' 가 아무 동아리에도 들지 않는 상황은 나오지 않는다.[12] 실제로 작중에서 '이런 내용의 SF 영화가 있던 것 같은데' 라는 대사가 나온다.[13] 오즈가 준 것이다. 오즈는 이 세계관에선 '나'의 악우가 아닌 그냥 같은 하숙집에 사는 사람이었고, 히구치 씨와 무언가를 하다가 민폐를 끼쳐서 죄송하다고 '나'에게 카스텔라를 주었다.[14] 굽는 장면이 잠깐 나오는데 이를 보면 영락 없이 스팸이다.[15] 80일 동안 이것만 먹어대서 질렸던지 밖으로 나간다면 당장 다른 음식을 먹고 싶다는 대사가 나오고, 각 에피소드에서 가끔 나오곤 했던 '고양이 라면'을 먹고 싶다는 대사도 나온다.[16] 원작에서는 이렇게 모은 돈으로 더 넓은 방으로 이사를 가지만 애니판에서는 '나'가 돈을 모으다 자기 혼자뿐인 세상에서 돈을 모으는 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처럼 느껴져 도중에 그만두고 모아뒀던 돈을 한 방에 두고 나가는데, '나'가 히구치 씨의 부탁으로 거북 수세미를 사려고 할 때 방 안에서 돈이 가득 든 가방을 발견하는 장면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 가방이 '나'가 두고 갔던 돈가방인 것으로 보인다.[17] 이 때 독백으로 만일 누가 이런 꼴을 보았다면 이게 무슨 짓이냐고 했을 거라는 말을 하는데, 이게 딱 오즈의 말투다.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나' 역을 맡은 성우가 오즈 목소리를 흉내내기도 한다.[18] 원작에서는 이 장면이 없다.[19] '나'가 어떤 동아리에 들든 오즈와 엮이는 것처럼 아카시와의 기회도 놓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모든 방에 찰떡곰 인형이 걸려 있는 상태였다.[20] 지금까지 각 에피소드 말미에는 나방 떼가 카모가와 강을 뒤덮는 장면이 나온 뒤 '나방 떼 출몰은 지역 신문에도 실릴 정도의 대사건이였지만 그 나방 떼가 어디서 왔는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나'의 독백이 이어지는데, 이 장면에 대한 복선이였다. 실제로 마지막 화에서 나방 떼가 나온 뒤에는 해당 독백 뒤에 '하지만 여기까지 봐 온 독자 여러분(애니메이션에서는 시청자 여러분)이라면 무슨 일인지 알 것이다' 라는 내용이 추가된다.[21] 주인공과 오즈는 같은 학년이지만, 주인공은 재수를 하고 입학해서 오즈에게 반말을 하고 오즈는 주인공에게 존대말을 한다. 또한 이 때까지 대부분 요괴같은 얼굴로 나온 오즈가 이 장면에서는 멀쩡한 얼굴로 나오고, '나'가 이 대사를 할 때 오즈처럼 요괴같은 얼굴이 된다.[22] '나'가 작품 초반에 장밋빛 캠퍼스 라이프를 꿈꾸며 시작한 대학 생활이 엉망이 되었다고 푸념하며 하는 독백. 그런데 따져 보면 그 책임자는 '나' 본인인 경우가 많다. 2년간 무의미하게 허송세월한 대학생활은 인생의 메타포로, 즉 이제까지 살아 온 인생을 망쳤다고 생각했는데 그 원인과 책임은 결국 바로 나의 선택이었다는 이 작품의 테마를 암시하는 문장이다.[23] 작가의 전공과 같다.[24] 스텝롤에서도 '나레이션'이라고 나온다.[25] '나'가 오즈에게 왜 자꾸 엮이냐고 물을 때마다 오즈가 하는 말. 이 말은 마지막 화에서 '나'가 오즈에게 그대로 돌려주게 된다. 이때의 '나'가 보이는 표정은 오즈와 동일.[26] '나'가 평하길 전기전자공학 전공이면서 전기도 전자도 공학도 싫어한다.[27] 잘못 적은게 아니다. 이미 인간으로 보이지 않는 범주에 들어섰다.[28] 그런 오즈도 도움이 된 적이 있긴 하다. 특히 크게 도움이 되었던건 원작과 애니 공통으로 '홍와카' 편. '나' 가 소프트볼 동아리인 줄 알고 들어간 사실상의 다단계 그룹 홍와카 본진에 갖힐 뻔 했을 때 구해준게 오즈였다.[29]
파일:attachment/oz1.png
사실 이 멀쩡한 얼굴, 8화에서 오즈가 조가사키에게 '나'가 카오리를 들고 도망갔다고 전화로 일러바칠 때 살짝 나온다.
[30] '나'에게 당하는 포지션이 되어버린다. 그때 '나'가 짓는 요괴 같은 표정과 오즈가 진절머리내며 경악하는 모습이 감상 포인트. 결국 이 장면은 '나'와 오즈가 결국은 동류의 인간이라는 뜻인지도 모른다.운명의 검은 실인가![31] 아카시가 '나'의 뻘짓을 볼 때마다 하는 말.[32] 여자를 밝히는 죠가사키와 나름 그녀에게 관심있던 아이지마 모두 아카시에겐 손도 못 대고 끝났다. 특히 아이지마는 자기가 아카시와 가까워지려고 '나' 를 이용하려 했다. 하지만 '나' 와 아카시가 아카시가 지닌 찰떡곰 인형 때문에 오히려 대화를 잘 나누는 모습을 보이자 분통을 터뜨린다.[33] 다만 주변에 선을 딱딱 긋는 구석이 있고 별로 사교적이진 않아 아싸 + 쿨뷰티에 가깝게 연출된다.[34] 그래서 애니메이션 11화에서 커다란 곤욕을 치르게 된다. 한 마리만으로도 그렇게 망가졌는데, 나방 때를 조우하고 만다. 당사자 입장에서는 트라우마가 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었을 듯하다.[35] 이 잃어버린 한마리는 모든 화에서 '나'의 손에 들어와 있으며 '나'가 마지막 화 전까지 내딛지 못한 '호기를 잡기 위한 내딛는 한 걸음'을 상징한다.[36] 담당 성우인 사카모토 마아야의 나방에게 방법당할 때 내는 “꾸에에에에엑” 연기가 일품으로 갭모에를 제대로 느낄 수 있다.[37] 2017년에 개봉 예정인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카이 카즈야로 변경되었다. 후지와라 케이지의 건강 상 문제로 캐스팅이 변경된 듯 하다. 후지와라 케이지 사후에 제작된 다다미 넉장반 타임머신 블루스에서도 나카이 카즈야로 유지됐다.[38] 소설에서는 오즈와 짜고 '나'를 아카시와 맺어주게 하려고 일부러 그랬다는 언급이 있다. 애니메이션 1화 고양이 라멘 포장마차에서 신인척 하며 주인공에게 접근해서 아카시와 오즈 아니면 주인공을 맺여줄려고 한다고 한 것은 오즈와 짜고 벌인 연극이다[39] 소설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에서도 시모가모유스이장 2층에 살고 있다.[40] 조가사키의 평소 행동을 볼 때 프로이트의 구순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가 성욕이 변태적으로 발한 듯하다.[41] 애니메이션에서는 세 사람이 동기생이라는 언급이 나온다. 참고로 고양이 라면 포장마차 주인도 동기라는 듯 하다.[42] 소설에서는 '나'가 홍와카를 관두고 나서 한가해진 시간을 때우기 위해 영어학원을 다니다가 하누키와 만나게 된다[43] 참고로 '나' 는 있어보이기 위해 편지로 온갖 허세랑 구라를 다 떨어댔다.[44] 사실 이 장면 전에 하누키가 '나' 와 대화를 하다가 오즈가 사는 아파트가 설탕과자처럼 귀여운 아파트라고 언급했다. 그런데 '나' 가 케이코의 주소라고 알고 간 그 아파트가 하누키가 말한 오즈네 아파트의 묘사와 일치했다. 거기에 오즈네 아파트의 주소까지...[45] 오즈는 중간에 흥미가 떨어져서 먼저 빠졌다. 하지만 아카시는 그만두기는 뭣해서 일단 가짜 연애편지 대필을 계속 하게 되었다.[46] 이 때 죠니가 호기 타령을 해대지만 이미 물 건너 갔다.[47] 애니에선 홍와카 활동을 열심히 하고 상품을 많이 사서 상위 회원이 되면 그녀를 만날 수 있다는 소문이 돈다. 그리고 회원들의 본사 참관 때 교주가 정말 짧게 그녀를 소개했지만 바로 사라져버린다. 이걸 볼 때 나름의 미끼 상품 역할도 겸하는듯.[48] 당연히 이 호기는 다다미방 전등줄에 매달려서 매 화 '나'의 눈에 보이는 아카시의 곰인형이다. 그리고 마지막 화에서 노파의 조언대로 '나'는 이 호기를 잡는다.[49] 한국인 스태프 말에 따르면 오프닝 영상에 등장하는 방은 유아사 감독의 방이라고 한다.[50] 죄나 부정을 씻기 위해 냇물이나 강물로 몸을 씻는 행위.[51] 일본어로 따뜻하고 평온한 모양을 나타내는 말.[52] 'Joy + English'[53] 11화 초반에 '나'가 선사 시대의 분류인 이첩기, 삼첩기를 다다미 넉 장 반에 빗대 '넉 장 반기' 라고 부르는 나레이션이 나온다.[54] '나'와 오즈의 관계.[55] 그도 그럴 것이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를 방영하기 전에 일반 소설이 원작인 공중그네가 흥행에서 실패했기 때문이다.[56] 하지만 판매량에서 호조를 보였기 때문인지 또 다른 일반 소설 원작인 NO.6가 노이타미나 시간대에서 애니메이션화 되기로 결정되었다.[57] 대학 부에서 만든 행글라이더 비슷한 걸 타서 정신이 없을 때도 말한다. 말 그대로 쉬지 않고 계속 말한다.[58] 권당 6,000장 정도. 심야 애니메이션 기준에서는 '2기를 기대할 만한 판매량'에 속한다. 게다가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는 예산을 많이 들인 편이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