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5 01:19:23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colcolor=#FFFFFF,#DDDDDD>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文化庁メディア芸術祭 | JAPAN MEDIA ARTS FESTIVAL
파일: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로고.svg
<colbgcolor=#E50012,#010101>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주최 문화청
개최 연도 1997년~2022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대 수상작 일람
2.1. 아트 부문2.2. 엔터테인먼트 부문2.3. 만화 부문
2.3.1. 1997년2.3.2. 1998년2.3.3. 1999년2.3.4. 2000년2.3.5. 2001년2.3.6. 2002년2.3.7. 2003년2.3.8. 2004년2.3.9. 2005년2.3.10. 2006년2.3.11. 2007년2.3.12. 2008년2.3.13. 2009년2.3.14. 2010년2.3.15. 2011년2.3.16. 2012년2.3.17. 2013년2.3.18. 2014년2.3.19. 2015년2.3.20. 2017년2.3.21. 2018년2.3.22. 2019년2.3.23. 2020년2.3.24. 2021년2.3.25. 2022년
2.4. 애니메이션 부문
2.4.1. 1997년2.4.2. 1998년2.4.3. 1999년2.4.4. 2000년2.4.5. 2001년2.4.6. 2002년2.4.7. 2003년2.4.8. 2004년2.4.9. 2005년2.4.10. 2006년2.4.11. 2007년2.4.12. 2008년2.4.13. 2009년2.4.14. 2010년2.4.15. 2011년2.4.16. 2012년2.4.17. 2013년2.4.18. 2014년2.4.19. 2015년2.4.20. 2017년2.4.21. 2018년2.4.22. 2019년2.4.23. 2020년2.4.24. 2021년2.4.25. 2022년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대중문화 예술상.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실행위원회(문화청, 국립신미술관)가 주최하며 아트/엔터테인먼트/애니메이션/만화의 4개 부문에서 대상과 우수상을 선정, 표창하고 있다.[1] 1997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수상작을 모아 수상작품전을 매년 개최한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선정되어 심사위원을 담당한다. 심사위원은 2~4년 주기로 바뀌며 2012년 기준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다.

정부에서 주는 상이다 보니 수상작은 작가주의적이고 진중한 작품 쪽에 훨씬 비중이 실린다. 그래서 나무위키에 등록된 작품이 별로 없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작가주의적인 단편 수상작이 많다. 때문에 2011년 애니메이션 부문 대상작을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가 받자 상당한 이슈가 되기도 했다.

후보였지만 상을 못 받은 작품들을 모아 따로 '심사위원추천작'으로 분류해 놓고 있는데 그쪽은 대중적인 작품이 훨씬 많다.

2006년 10주년을 기념해서 역대 수상자와 전문가들을 심사위원으로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을 선정, 발표했다.

2022년, 제25회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에서 문준용의 예술 작품이 아트 부문 우수상을 받아 잠시 화제가 됐다.

'역사적인 역할을 다 했다'며 2023년부터 더 이상 시상하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예술선장(芸術選奨)에서 만화, 애니메이션도 예술로 인정하고 시상할 것이라고 한다. 이는 문화청의 정책이 '국내에서의 작품 감상 기회 제공'에서 '기록물 보관(아카이빙)'과 '해외 진출'로 변경된 것이 원인.

그러나 막상 예술선장의 미디어예술상은 대신(장관)상과 신인상밖에 없는데다, 그마저도 각각 한 명의 작가(작품)만 선정하고, 만화나 애니뿐만 아니라 음악이나 게임 등 다른 분야의 인물도 선정하기에 결국 수상작의 수가 대폭 줄어버린 셈이 되고 말았다. 또한 선정되는 인물도 대신상의 경우 코지마 히데오신카이 마코토, 유아사 마사아키 등의 거장급, 신인상의 경우 노다 사토루, 고토게 코요하루 등 이미 잘 알려진, 신인이라고 할 수 없는 소위 '안정적'인 픽들뿐인지라, 일본 내에서도 공모전 방식을 통한 신인들의 등용문이 사라졌다며 비판이 거세다.

2. 역대 수상작 일람[2]

2.1. 아트 부문

2.2. 엔터테인먼트 부문

2.3. 만화 부문

2.3.1. 1997년

2.3.2. 1998년

2.3.3. 1999년

2.3.4. 2000년

2.3.5. 2001년

2.3.6. 2002년

2.3.7. 2003년

2.3.8. 2004년

2.3.9. 2005년

2.3.10. 2006년

2.3.11. 2007년

2.3.12. 2008년

2.3.13. 2009년

2.3.14. 2010년

2.3.15. 2011년

2.3.16. 2012년

2.3.17. 2013년

2.3.18. 2014년

2.3.19. 2015년[4]

2.3.20. 2017년[6]

2.3.21. 2018년[7]

2.3.22. 2019년[8]

2.3.23. 2020년

2.3.24. 2021년

2.3.25. 2022년

2.4. 애니메이션 부문

2.4.1. 1997년

2.4.2. 1998년

2.4.3. 1999년

2.4.4. 2000년

2.4.5. 2001년

2.4.6. 2002년

2.4.7. 2003년

2.4.8. 2004년

2.4.9. 2005년

2.4.10. 2006년

2.4.11. 2007년

2.4.12. 2008년

2.4.13. 2009년

2.4.14. 2010년

2.4.15. 2011년

2.4.16. 2012년

2.4.17. 2013년

2.4.18. 2014년

2.4.19. 2015년[15]

2.4.20. 2017년[17]

2.4.21. 2018년[20]

2.4.22. 2019년[22]

2.4.23. 2020년

2.4.24. 2021년

2.4.25. 2022년



[1] 1997년부터 2002년까지는 디지털 아트(비 상호작용)/디지털 아트(상호작용)/애니메이션/만화의 4개 부문이었다.[2] 만화/애니메이션 부문만 기재[3] 리틀 포레스트의 작가[4] 15년도 11월 27일 발표.[5] 앞서 13년도에 애니메이션 부문 대상을 수상했던 '피부색=꿀색'의 원작 만화도 선정되었다![6] 17년도 3월 16일 발표. (20회차를 기점으로 개최일이 한해 건너 상반기로 이동함)[7] 18년도 3월 16일 발표.[8] 19년도 3월 1일 발표.[9] 자주제작만화[10] 벨기에에 입양된 한국계 작가의 원작을 애니메이션화 했다. 한국 개봉도 되었다.[11] 예전 버전에서 동명의 라이트노벨이 링크됐었지만 그것과 별개의 단편 애니메이션이다.[12] 9분짜리 러시아 애니메이션으로, 원제는 Obida이지만 해외에서는 The Wound로 소개되었다.[13] 전국 대합전에 이은 두 번째 크레용 신짱 극장판 수상이다.[14] 우리나라의 정다희 감독이 수상하였다.[15] 15년도 11월 27일 발표.[16] 2004년에 만들어진 동명 감독의 실사영화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프리퀄 형식의 작품이다.[17] 17년도 3월 16일 발표.[18] 88회 아카데미상 장편 애니메이션 부문에서 인사이드 아웃과 같이 유력 수상후보로까지 거론된 작품이다. 근데 브라질 본국에선 2013년에 개봉됐다?[19] 14년도에 신인상을 받은 정다희 감독의 단편 애니메이션이 다시 선정되었다.[20] 18년도 3월 16일 발표.[21] 공동 대상[22] 19년도 3월 16일 발표.[23] 21년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에서 개막작이었던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