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19:34:24

전설거신 이데온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 밀림의 왕자 레오 요술공주 샐리 마하 GoGoGo 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 비밀의 아코짱 타이거 마스크 사자에상 내일의 죠
루팡 3세 데빌맨 과학닌자대 갓챠맨 마징가 Z 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 마법소녀 메구짱 우주전함 야마토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감바의 모험
타임보칸 잇큐씨 엄마찾아 삼만리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캔디캔디
얏타맨 미래소년 코난 은하철도 999 보물섬 빨강머리 앤
도라에몽 기동전사 건담 베르사이유의 장미 전설거신 이데온 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 시끌별 녀석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미래경찰 우라시맨 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캡틴 츠바사 북두의 권 터치 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 시티헌터 키테레츠 대백과 날아라 호빵맨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 닌자보이 란타로 슬램덩크 슬레이어즈 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 용자왕 가오가이가 포켓몬스터 소녀혁명 우테나 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 오자루마루 꼬마마법사 레미 ∀건담 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가방가 햄토리 갤럭시 엔젤 테니스의 왕자 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나루토 기동전사 건담 SEED 강철의 연금술사 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 블리치 AIR 허니와 클로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은혼 제로의 사역마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 전뇌 코일 기동전사 건담 00 트루 티어즈 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 이나즈마 일레븐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케이온!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골판지 전기 TIGER & BUNNY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
전설거신 이데온 (1980~1981)
伝説巨神イデオン
Space Runaway Ideon
파일:이데온포스터2.pn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거대로봇물
기획 도큐 에이전시
일본 선라이즈
원작 야타테 하지메
토미노 요시유키
총감독 토미노 요시유키
캐릭터 디자인 코가와 토모노리
애니메이션 디렉터
메카니컬 디자인 서브마린(サブマリン)[1]
미술 감독 나카무라 미츠키(中村光毅)[2]
음향 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음악 스기야마 코이치
피아니스트 하네다 켄타로(羽田健太郎)
프로듀서 하세가와 토오루(長谷川 徹)
이시카와 히로시(石川 博)
마츠시마 타다시(松島 忠)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
제작 도쿄 12 채널
도큐 에이전시
선라이즈
방영 기간 1980. 05. 08. ~ 1981. 01. 3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12 채널 / (목) 18:45 → (금) 19: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9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특징3. 제작 비화4. 2부작 극장판
4.1. 발동편 스태프
5. 결말 해석6. 등장인물
6.1. 솔로쉽 일행6.2. 버프 클랜6.3. 등장 기체6.4. 관련 용어
7. 음악8. 회차 목록9. 기타10. 밝은 이데온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전설거신이데온_TVA.jpg

일본의 애니메이션. 1980년 5월 8일 ~ 1981년 1월 31일 방영. 총 39화 완결.

"기동전사 건담" 이후 방영된 작품으로 토미노 요시유키가 감독한 TV 시리즈. 캐릭터 디자이너 겸 총작화감독은 코가와 토모노리가 맡았다.

2. 특징

기동전사 건담의 세계관을 넘어서 우주에서의 인과와 수수께끼의 힘을 추구한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의 야심작. 토미노가 자신의 모든 작품 중 가장 만족하는 작품으로 유명하며 인터뷰에서 토미노 감독 자신이 말하길 건담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작품, 지금 보면 자신이 이런 것을 어떻게 만들 수 있었나 할 정도로 신기한 작품, 그래도 살아서 이데온을 만들었으니 죽을 때 후회는 하지 않을 듯하다. 등의 찬사를 보냈다. 호소다 마모루와의 대담에서는 "내가 이데온을 만들지 않았다면 당신에게 열등감을 가졌겠지만 난 이데온을 만들었기 때문에 당신과 동일한 입장에서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다." 라는 식으로 말하기도 했다. #[3] 단지 이후 인터뷰 등을 보면 결국 현실의 한계 때문에 결말을 엉망으로 내버린 작품으로 뽑기도 한다. 다만 그래도 좋다고 한다. #

만화 건담 창세에 따르면 TV판 완결 당시에는 "이건 실패작이야" 라는 말까지 했었던 것 같다. 즉 야심작으로 시작하다가 일이 안 풀려서 대충 만들고 후회했는데 나중에 정신차리고 다시보니 명작이었더라 같은 느낌. 또한 각본 담당이 여럿 있었으며 그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공유하거나 순서대로 돌아가며 시나리오를 쓰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각본 담당들이 하나같이 자기주장이 강한 성격이라 매일 서로 싸워댔다고 한다. 그 덕에 토미노 자신도 예측하지 못한 흥미로운 전개가 가능했다고 한다.[4] 그리고 이런 이유로 엄밀히는 자신의 작품이라 할 수 없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시나리오의 중심축을 책임진 각본가로는 기동전사 건담에도 참여했던 마츠자키 켄이치가 있는데 토미노한테 대체 이데가 뭐냐고 물어봐도 "안 가르쳐줄 테니까 알아서 해" 라고 했다고. 자신도 써놓고도 이데가 뭔지는 잘 모른다고 한다. 이데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의 공포가 이 작품의 중심이라 할 수도 있으며 이런 제작환경이 극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할 수 있다.[5]

토미노의 말에 따르면 완구 회사가 준 이데온의 디자인이 너무나도 멋이 없어서 한숨이 나올 정도였고 이걸 어떻게 설정하고 연출하면 멋지고 대단한 로봇으로 보이게 할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다고 한다. 때문에 초기 디자인을 최대한 육중하게 리파인하는가 하면, 스폰서에서 제시한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탈 것들이 스스로 움직이고 합체해서 인명구조를 한다어?는 초기 기획은 제6 문명인의 유산으로 탈바꿈시키는 노력을 들였고, 이러한 시도는 성공해서 작품을 직접 시청한 사람들은 이데온이란 존재에 공포마저 느끼게 되었다.

이후 소노라마 문고의 애니메이션 노벨라이즈로, <기동전사 건담> 소설판 3권 이후로 <전설거신 이데온> 소설판 3부작이 전작으로 나왔다. 이후 카도카와로 재출간하면서, 캐릭터 디자인이나 이데온의 디자인이 다른 일러스트레이터를 통해 리뉴얼되었다. (표지도 바뀌었다.) 기본적으로는 <기동전사 건담>의 소설판과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 기획과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썼기에, 소설판 만의 특이한 전개는 많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심리묘사가 대폭 늘어났고 문명론, 사회구조 등 SF적인 묘사가 많이 들어가있다.
먼 미래, 다른 성계에까지 개발·이주의 영역을 넓힌 인류가 살고 있던 솔로 성의 제6 문명인 유적에서 발굴된 수수께끼의 거신, 이데온이 발견되고 인류는 거신전설을 따라 이데온을 찾던 이성인, 버프 클랜과 접촉하게 된다. 버프 클랜은 거신전설의 경고대로 이데온을 탈취하기 위해 솔로성을 공격하고 솔로성에 살고 있던 인류는 이데온과 함께 발견된 솔로쉽을 타고 도망다니는데...

건담 직후에 나온 작품이라 그런지 초기 전개는 기동전사 건담과 상당히 흡사하다. 외딴 식민지에서 극이 시작된다는 설정에서부터 전함과 초강력 기체의 탈출극, 등장인물들도 브라이트, 아무로 등의 포지션과 상당히 겹친다. 하지만 이 만화의 진정한 정체는 바로 본격 꿈도 희망도 없는 만화. 기동전사 건담에서 주인공들이 탑승한 배인 화이트 베이스는 고생 끝에 지구에 당도해 나름 환영을 받았지만, 이데온의 모함인 솔로십은 지구에 겨우 도착하자 재앙을 끌고왔다며 쫓겨난다. 이 작품의 골수팬들조차도 ‘너무나 암울한 전개’가 감점 요인이라고 평하며 ‘주인공들의 모든 노력과 고생이 결국 보답받지 못하는 보람 없는 이야기’인지라 남에게 선뜻 권하기 어려운 작품이라 말한다. 극장판 마지막 장면이 나름 해피엔딩 아니냐고 반문하는 이들도 있지만 ’죽어서 천국 갔으니 됐지 않냐는 식이라면 플랜더스의 개도 해피 엔딩이다‘는 답변이 돌아온다. 특히 TV판은 본격 트라우마 유발 작품이며 우주전사 발디오스와 함께 정주행하면 책임 못 지는 작품이다. 실제로 발디오스 최종화 방영 4일 후 이데온 최종화가 방영되었기 때문에 당시 시청자들은 충격과 공포를 느꼈다고 한다(...). 로봇 애니메이션 팬 사이에선 마가 낀 시즌이라고 평하기도 한다.

그러나 1980년엔 어른들이 로봇 애니를 지금처럼 많이 시청하지 않았고, 어린이들은 스토리가 난해하여 이해를 못하니 흥행에 실패한 것. 그렇다고 로봇이 멋지냐? 하면 주역 메카가 짐(MS)이 전고 100M 정도로 커진 정도[6]인데다가[7]적인 중기동 메카는 완전 서구 SF식 외계인 메카였다.[8] 게다가 하나같이 충격적인 묘사들이 넘쳐난다.

작중 초반 묘사로는 버프클랜과 지구 측의 문명레벨은 대등하다고 한다.[9] 그렇다면 슈퍼오버테크놀로지의 산물인 이데를 사용할 수 있는 솔로쉽과 이데온을 사용하는 지구인측이 유리해야 하나, 문제는 버프클랜의 규모와 지원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점이다. 이들의 경우 거의 매 화마다 새로운 메카가 등장한다. 설상가상으로 솔로쉽팀은 성간전쟁 발발의 원인제공자로 낙인 찍혀 지구측으로부터도 증오와 원망의 대상이 되고, 버프클랜에게 이들을 이데온과 함께 넘겨버리려는 시도도 종종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데온의 등장인물들이 할 수 있던 것은 버프 클랜의 공격을 피해 계속 도망다니는 것뿐이었다. 그나마도 추적기로 인해 늘 습격을 받았고, 추적기를 제거했음에도 이데 게이지가 높아져 은하 반대편에서도 탐색이 가능해져 버렸다. 이후 '버프 클랜 본성을 치자!' 라는 발언도 버프 클랜의 추격을 더 이상 피할 수 없게 되었기에 자포자기 식으로 벌인 짓. 오프닝 곡의 가사대로 스페이스 런 어웨이. 그 사이에 휘말리는 타인들이 죽어나가고(캬랄, 아지안 등의 지구인 식민성이 전멸했다), 자신들의 모성에게도 버려지는 등 잔혹한 스토리 일색이다. 게다가 작중 주연이나 조연들도 무진장 죽어나간다. 막바지에는 어린애들마저도 처참하게 죽어나간다.

사실 심의기관의 역할은 소비자가 문화컨텐츠를 올바르게 접하기 위해 탄생된 기관이지 문화컨텐츠 검열을 위해서가 아니기 때문에, 어린이가 살해되는 장면의 경우 납득할 수 있는 사유가 있는 경우[10]에 한해 어느 정도 허용하고 있다.[11] 그리고 오해하면 안 되는 게 초등학생 정도의 어린이가 죽는 장면은 있으나 그렇게 잔혹한 거에 집중해서 묘사하지도 않고 영유아는 거의 안 죽는다. 사실 건담에서도 소년병들이 마구 죽어나가는데 그걸 까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지나치게 전멸 엔딩에 입각해서 과장 왜곡된 이미지로 알려져있음을 잘 알 수 있다. 토미노 작품은 이런 문제에 민감한 대부분의 서구권 국가에서도 큰 비판을 받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극의 흐름과 주제 전달을 위한 죽음을 묘사하며 단순히 자극적인 걸 추구하는 의미로 사람을 죽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경우도 '이런 전쟁이 계속되면 어린이들도 죽을 수 있습니다'라는 걸 보여줌으로서 경각심을 전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절대 의미도 없이 단순히 자극적인 전개를 위해 죽이는 게 아니다. 오히려 그런 점에서 논란이 되는 감독으로는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이 있다.

실제로 이데의 탐색을 위해 버프클랜이 민간인 학살, 이에 분노한 지구측이 이데온 등으로 반격[12], 반격으로 인해 버프클랜의 재공습, 이데온의 재반격, 이제는 본성이 위험하다 판단한 버프 클랜의 전력전... 처럼 극악의 루프를 타게 된다. 실제로 이들이 이데온을 포기하려 한 적도 있었지만 우주정복이 목표인 버프클랜에게 이데를 줄 수도 없는 노릇인지라.

이후 건담이 인기를 끌게 되면서 제작된 극장판 건담이 성공을 거두자, 토미노 감독은 이데온의 극장판 역시 제작하여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다만 TV판, 극장판 2연속으로 이어지는 엄청난 결말은 당시의 극초기 오타쿠들에게 프로토 컬쳐!!!급의 컬쳐 쇼크를 주었고 이후 토미노 감독은 몰살의 토미노라는 별명을 선사받았다.

그 강렬함은 후대의 오타쿠 출신 감독들의 작품들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단적인 예가 바로 안노 히데아키로, 안노는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의 구성에서 그 결말에 이르기까지 거의 이데온을 노골적으로 오마쥬한다는 느낌을 강하게 드러냈다. 때문에 몇몇 에반게리온 덕후들은 이데온이 에반게리온 베꼈다고 난리치다가 비웃음을 사기도...#[13] 반면 에반게리온 팬들은 자신들을 표절 애니로 취급한다는 이유로 이데온이나 이데온 팬을 싫어하기도 한다. 다만 여기서 알아둬야 할 것은 에바가 이데온에서 따온 것은 결말부의 내용과 연출이라는 것으로 그 외에는 데빌맨이나 돌아온 울트라맨, 영드 UFO 등의 영향도 강하게 받은 작품으로 이데온만 온전히 베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에반게리온과 이데온은 결정적인 차이가 있는데 에반게리온은 등장인물이 자신의 속 마음을 너무 얘기를 안 해서 갈등이 생기는 작품이고, 이데온은 등장인물이 감정을 너무 과격하게 표현해서 갈등이 생기는 작품이다. 일부 오마주를 한 것이지 그대로 베꼈다고 보는 것은 잘못 되었다.

엔딩의 충격성만 잘 알려져있지만 그것만으로 평가할만한 작품은 아니다. 코가와 토모노리, 사카모토 사부로, 타니구치 모리야스, 히라노 토시키, 이나노 요시노부 등 지금은 전설이 된 수많은 애니메이터들이 참여한데다 연출의 달인 토미노의 연출까지 합쳐져 작품 내내 당시로선 획기적이라 할만한 화려한 연출이 펼쳐진다. 애니메이터 이타노 이치로이타노 서커스가 최초로 선보여진 작품이기도 하며 초시공요새 마크로스보다 이쪽의 이타노 서커스가 더 화려하단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래서 대충 디자인 한거 같은 이데온이 실제로 작품을 보면 의외로 멋져보이기까지 한다. 음악도 상당히 신경을 써서 스기야마 코이치가 작곡한 OST들은 지금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괜히 지금도 팬들이 있으며 토미노 본인이 자신의 최고 걸작이라고 자화자찬까지 하는 것이 아니다. 토미노 자신도 이걸 어떻게 자신이 만들었는지 모르겠다고 하니.

3. 제작 비화

전설거신 이데온의 기획은 토미과학모험대 탠서 5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시작하였다. 탠서 5의 완구가 기동전사 건담보다 많이 팔린 것을 본 프로듀서 야마우라 에이지는 탠서 5의 디자이너 히구치 유이치(樋口雄一)를 기용하고 "탠서 5에 나오는 것 같은 메카가 합체하는 로봇을 만들어 달라." [14]라고 했다고 한다. 이때는 현대적인 탈 것이 합체하는 용자 시리즈와 비슷한 컨셉이었다. 이 디자인으로 스폰서에게 허락을 받았고, 당시 기동전사 건담의 극장판 제작과 병행하면서 본격적인 제작 기획이 시작되었다.

토미노 감독은 처음 감상한 이데온의 디자인을 보고 너무나도 이상해서 한숨을 내쉬웠다고 하며 히구치에게 디자인을 고쳐달라 요청해 세부 디자인과 머리는 바꿨으나 몸통의 구조는 합체 구조까지 고쳐야 돼서 못 고쳤다고 한다. 기획도 '멸망한 제6문명인(거인족)의 혼이 서린 유적'이란 설정으로 변경시킨다. 이 상황에 대해 토미노는 "제작자나 스폰서에 반항하는 마음으로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토미노는 크라이시스난장판, 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해 작품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토미노는 긴 고민 끝에 크라이시스를 선택했으며 이미 건담을 만드느라 힘들고 지쳐있었기 때문이었기라고 한다. 토미노는 건담에서 시도해 보지 않은, 자신의 방향성의 막다른 골목으로 들어가 보지 않으면 희작자(戯作者)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고 건담과는 다른 노선으로 이야기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8년에 뉴타입에서 밝히길 건담에서 했었던 여러 가지 것들을 의도적으로 부수는 것에 열중했다고 한다.

여러 번이나 회의를 거듭하면서 저연령층뿐만 아닌 청소년 팬층도 목표 대상으로 결정지어져, 아니메쥬 등의 애니메이션 잡지에 많은 홍보 광고를 게재하였다. 당시 이데온을 본 일부 시청자에겐 호평을 받기도 했으나, 시청자 중에선 이런 전개를 쉽사리 이해하지 못한 사람이 많았고, 방영 진행 중에 여러 시민단체로부터 항의를 받기도 했었다고 한다.

이윽고 해결책으로 방송 시간대를 변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완구 판매 또한 부진을 거듭하면서 결국 예정보다 방영횟수를 단축시키게 된다. 이를 애니메이션 잡지 중에선 일부 애니메이션 팬들이 이데온을 포스트(post) 건담으로 주목하고 있었던(그러니깐 건담과 너무 비교되었던) 점도 흥행 부진의 요인이 되었다고 평가한 잡지도 있었다고 한다.

본래 TV판의 충격적인 결말에도 비화가 있다. 39화의 각본은 결말이 아닌, 평범하게 쓰여졌는데 조기종영 확정이 난 뒤에 각본가에게 토미노 감독이 전화를 해서 39화 마지막 몇분만 바꿔도 돼? 라고 말하고는 원래 예정된 마지막편의 결말을 갑작스럽게 집어 넣은 것이라고 한다.[15] 토미노 말로는 39화가 두 세력의 본격 대립이 시작되는 내용이었기 때문에 여기서 이데가 인류에 실망해서 일이 터진다고 해도 이상이 없겠다고 판단해서 저질렀다고 한다.

이데온 라이너 노트에 따르면 기획 단계에서 당시 임신을 한 토미노의 아내가 조언을 해준 덕분에 이런 작품이 완성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카라라 아지바라는 임신한 여성이 중요인물로 등장한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지능을 가진 에너지 생명체가 나오고 이를 두려워하는 기본적인 세계관은 영화 '금지된 세계 (금지된 행성)'를 오마주 했다. [16] 디자인이나 SF 컨셉에 있어서는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 스타트렉, 스타 워즈, 우주전쟁, UFO[17]를 많이 참고했다고 한다. 토미노의 작품 중에서도 서양 SF색이 강한 작품이다.

토미노는 음악 카르미나 부라나를 틀어놓고 이 작품을 구상했으며 이런 음악을 원한다고 했더니 스기야마 코이치가 "뭘 원하는지 알았다. 로봇 애니로 이런 걸 하고 싶으신 거구나." 라고 하고는 딱 맞는 음악을 가져왔다고 한다. 모든 곡이 작품에 어울렸으며 그 한마디로 자신이 원하는 걸 전부 이해했다며 스기야마는 대단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가 없었다면 이 애니메이션은 명작이 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한다. #

작화감독 코가와 토모노리는 이 작품을 자신의 최고의 작품으로 만들겠단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직원들에게도 이 작품의 그림은 장당 단가로 인건비를 주는 게 아니고 급료제로 지불하였으며 이로 인해 생긴 적자는 자신이 일러스트를 그려 번 사비로 매꿀 정도로 열정을 보였다고 한다. (코가와의 제자 오오모리 히데토시 증언 #)

4. 2부작 극장판

파일:이데온포스터.jpg
총감독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 타키자와 토시후미. 작화감독 코가와 토모노리. 음악 스기야마 코이치.

TV판 종영 이후 토미노와 스텝들은 조기종영으로 급작스럽게 난 결말을 보충하기 위해 극장판을 기획한다. 원래는 건담 극장판 처럼 3부작 정도로 다루려고 했으나 이 작품의 인기가 건담만하지 않아서 흥행 실패의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중간에 끊어지지 않게 1번에 끝을 내기로 했다고 한다. 그렇게 해서 나온 것이 "접촉편", "발동편" 2작품인데 개봉 당시엔 동시상영이므로 실질 1작품인 것이다.

토미노가 당시 기동전사 건담 극장판, 전투메카 자붕글 등의 제작으로 바빴으므로 TV판에서 토미노 다음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신인 연출가 타키자와 토시후미를 감독으로 기용했다. 타키자와는 이데온이 좋아서 먼저 하겠다고 나섰다고 한다. 토미노에 따르면 콘티는 자신이 작성, 수정했으나 콘티 이외의 작화 체크나 현장 관리 같은 작업은 타키자와에게 대부분 맡겼다고 한다. 그래서 빛을 많이 활용하는 타키자와 토시후미 작품의 연출색도 강하게 나타난다. 토미노는 광원 처리, 작화 관리 등 여러 부분에서 결과물이 자신이 생각한 것 이상으로 뛰어났으며 자신이 했다면 이런 것이 나오지 않았을 거라고 타키자와를 호평했다. 그래서 조감독으로 크레딧을 하려고 했으나 감독으로 올려서 크레딧을 해줬다고 한다. [18]
접촉편은 TV판의 스토리 대부분을 압축한 극장판으로 기억을 상기시켜주는 의미로 제작되었다. 짧은 시간에 TV판을 통으로 압축하는 건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었으므로 평가가 대단히 안 좋다. 토미노는 이를두고 "기승전결에서 승부분이 통으로 날아갔다. 극작으로서 빵점" 이라고 평가했으며 나중에도 "발동편은 죽기 전에 다시 볼 거지만 접촉편은 보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신작화가 있어서 볼 가치가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건담 극장판과 다르게 변경된 내용도 거의 없기 때문에 시간이 부족하면 건너뛰어도 무관하다. TV판은 이데온의 미사일은 지구에서 만든 미사일을 넣은 것이지만 접촉편은 발동편의 무한 미사일 난사 연출에 설득력을 부여하려고 하는 것인지 원래부터 이데온 안에 들어있던 걸로 설정을 바꾸었다. 안에서 무한 생성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접촉편은 블루레이로 보면 TV판을 재탕한 부분은 화질이 낮은 16mm 필름이고 신 작화는 화질이 좋은 35mm 필름이라 장면마다 화질이 오락가락하는 걸 볼 수 있다. 발동편은 전부 35mm 필름이다.

발동편은 TV판 최종화 부분을 길게 늘여놓은 진정한 최종화로 팬이나 토미노가 명작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이쪽을 말한다. 전투 연출이 너무 뛰어나서 스토리 이해 안 되도 만족감이 들 정도이다.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기동전사 건담 F91과 함께 토미노 애니 중 작화가 가장 뛰어난 애니로 거론되는 작품이다.

작화도 거의 다 새로 그려서 극장판에 걸맞는 훌륭한 작화를 보여준다. 연출 콘티 그린 사람이 토미노와 타키자와 토시후미코가와 토모노리와 그의 제자들, 타니구치 모리야스와 제자들에다 이타노 이치로까지 총출동했다. 전투신 원화타니구치 모리야스와 그의 제자들이 소속된 스튜디오 애니메 알에서 그리고 작화 수정 및 동화와 뒷처리 작업은 코가와 토모노리의 제자들이 소속된 스튜디오 비보에서 했다. 일본 작화계 역사에 남을 양대 스튜디오가 합작한 전무후무한 작품이다. 애니메 알의 애니메이터 모리 카즈아키 말로는 애니메 알도 작화를 많이 했는데 코가와가 굉장히 많이 수정해서 원형이 별로 남지 않았다고 하며 이 작품의 작화는 대부분 코가와의 작품으로 봐야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팬 사이에서도 접촉편은 건너뛰고 TV판을 보다가 마지막화 대신 발동편을 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4.1. 발동편 스태프

5. 결말 해석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TV판과 극장판의 결말이 다르다고 알려져있지만 사실 결말은 한가지로 이데 발동직전까지 버프클랜과 지구인의 입장과 이데 발동까지의 사건들이 더 추가된 것이다. 이것은 TV판 조기종영에 의해 일어난 것이니 토미노는 낚시를 걸 생각도, 관객을 우롱할 마음도 없었다. 다만 TV판은 조기종영이고 극장판이 제대로된 결말이라고 해서 설마 또 몰살은 아니겠지하고 기대를 한 사람들은 당시 두 번 당하면서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19]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극장판인 End of Evangelion이 TV판의 뒷이야기를 다루지만 TV판의 마지막 장면과 극장판의 첫장면의 시간적 연결점이 없는 것처럼 이해하면 된다.

TV판 1화부터 일어난 크고 작은 사건들의 공통된 주제는 타자를 온전히 이해하는 일이 불가능 하다는 것이다. 인류가 기술의 발전을 통해 더이상 지구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새로운 개척지에서 독립적인 삶을 누릴 수 있는 수준이 되었으나, 여전히 사람의 속내를 타인에게 이해시키기 어렵고 [20] 타인의 속내를 알아도 이걸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행위는 오히려 오해를 낳을 뿐이라는 한계는 여전했다. 이 문제는 인류와 다르면서도 비슷한 기술과 문화를 가진 버프클랜도 마찬가지. 이런 지성인이 가진 소통의 한계를 넘으려고 하는 것이 이데온의 가장 큰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마크로스 시리즈에선 대부분 노래라는 매개체가 이 문제를 해결해주지만 여기서는 그런 매개체가 없다. 당연히 이데온이 현실적인 접근이고 이데온이 우월하다는 게 아니다. 이 전설거신 이데온이란 작품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영웅서사시를 그리고 있는 게 아니라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인물들간의 이야기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재밌는 부분은 이데 발동 직전까지 모든 등장인물이 가진 이데에 대한 해석이 제각각이란 점이다. 전지적 시점으로 보는 시청자들에겐 어느것이 정답에 가까운 것인지 어느정도 구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도의 포인트는 따로있다. 예를 들어 신세기 에반게리온에 나오는 인류보완계획은 제레와 겐도, 네르프 그리고 주인공의 순으로 정보를 가진 사람과 정보가 주어지지 않은 사람의 편차가 굉장히 심하다. 소위 말하는 '떡밥'이라는 걸 거의 알려주지 않고 극장판까지 오게되자 세컨드 임팩트 발현 이유와 목적, 그리고 인류의 정체를 미사토가 신지(시청자)에게 술술 말해버리는 상황도 벌어진다. 철저히 신지의 시선에 집중했기에 신지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이 되었지만 보는 사람들의 궁금증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낳았다. 이건 에반게리온 신극장판에서도 이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데온은 이데의 의지가 어떤 목적을 갖고 있는지 아무도 모르고, 그저 모두가 제각각 판단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덕분에 이데에 대한 인식과 해석만큼은 주인공이고 승무원이고 적 병사, 적 간부 모두 일정한 비중을 차지해버린다. 이런 개체간의 독립된 사고방식이 갈등과 오해, 싸움 크게는 전쟁이 되기도 하지만 이 작품은 그것이 문제라는 식의 표현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그 의지를 가졌다는 이데조차 인간과 같은 생명체를 이해시키고 설득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무한의 힘을 가진 이데의 의지조차 소통의 한계를 끝내 해결하지 못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표현이 이데온이 최초이거나 한 것은 아니다. 다만 무한의 힘(권력)이 결코 만능이 아니라는 경고를 가장 강렬하고 극단적으로 보여주었고 악을 규정하는 방식이 얼마나 폭력적인 태도인가를 토미노 감독은 기동전사 건담에 이어서 이데온에도 표현한 것이다.[21]

아무리 이데온이 무한의 힘을 가졌다고 해도, 스토리 정황상 존재하는 '이데의 의지'는 인류(버프클랜 포함)의 심판자같은 초월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고 있다. 아기 의 울음소리로 보호막을 생성하거나 자동으로 이데온 합체를 하듯이, 이데의 의지는 이데온을 수동적이고 보호본능을 앞세우는 어머니의 역할[22]로 활용하고 있다. 토미노 감독은 자신의 작품에 샤아 아즈나블같이 이상적인 어머니상을 갈망하는 존재를 집어넣거나 어머니같은 역할을 요구받는 소녀, 젊은 여성을 그리곤 하는데 이데의 의지도 그러한 맥락에서 탄생된 존재로 볼 수 있다. 하나의 생명체(메시아)로 하여금 모두의 정신을 통합해 지금까지의 갈등을 지운 뒤, 인류를 재시작할 수 있게 지구와 비슷한 별로 인도하는 것은 이데의 의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중재에 가깝지 심판자의 태도로 보기 힘들다. 이데의 발동이 언제든지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간도 로와의 공격으로 이데온이 산화하는 순간에 이루어진 것은 이데온이 심판자보다 보호자의 역할[23]이란 걸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일출과 바다, 파도 등 희망적인 메시지를 갖는 요소까지 차례로 보여주면서 이데온의 극장판은 끝이 난다. 모두가 죽은 것이 사실임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절대 "꿈도 희망도 없다는 부정적인 엔딩이 아닌 오히려 다시 한번 잘해보자!"라는 도전의식에 가까운 마무리라고 할 수 있다. 만약 결말이 이데의 의지에 의한 대학살(massacre)로 표현된 것이라고 한다면 나체로 눈을 뜬(영혼 상태) 인류와 버프클랜이 메시아를 따라 우주를 떠도는 장면이 나올 필요는 전혀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렇게 영혼처럼 묘사되는 인류와 버프클랜이 서로간의 갈등이 이미 해결된 것처럼 뒤섞여 하나가 되었다는 점이 이데의 발동 목적은 심판이나 학살이 아니라 정신적, 영적인 방법을 통한 갈등해결, 소통의 한계를 극복하는 장면으로 해석할 여지를 만든다.[24] 따라서 이데의 발동은 심판이나 아포칼립스로 해석되기 힘들다. 거기에 메시아에게 불러주는 생일축가는 인류의 재탄생을 축하하는 의미에 가깝다. 보통 갓 태어난 아기에게 생일축하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토미노도 결말에 대해서는 새로운 인류의 시작. 즉. 환생이라고 설명하였다. 토미노는 "누군가를 증오하면 그것은 증오가 되어서 자신에게 돌아오기 때문에 사람은 모두를 사랑해야 한다. 하지만 이 작품의 캐릭터들은 그러지 않았기 때문에 멸망한 것이다."라고 얘기하였다. # 즉. "더 이상 이렇게 살지 맙시다!"라는 이야기. 토미노 요시유키는 마지막 장면은 현실로 이어지는 연출이라고 한다. 이데온이라는 픽션이라는 세계에 사는 사람들이 다시 태어난 곳은 우리가 사는 세계 (현실)이고 그들이 우리의 조상일지도 모른다는 암시를 넣어 픽션과 현실의 경계를 없애는 연출을 구상했는데 연출이 모호해서 이렇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반성했다고 한다. # 그래서 그런지 극장판 마지막에 나온 바다는 작화가 아니라 실사 영상이었다.

6. 등장인물

6.1. 솔로쉽 일행

6.2. 버프 클랜

6.3. 등장 기체

6.4. 관련 용어

7. 음악

풀 버전.
부활의 이데온 라이브 Ver. 2013년 영상.












8.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復活のイデオン
부활의 이데온
야마우라 히로야스
(山浦弘靖)
요키타니 미노루
(斧谷 稔)
미우라 마사노리
(三浦将則)
코가와 토모노리 1980.05.08.
제2화 ニューロピア炎上
뉴로피아 불타다
토미타 스케히로 타키자와 토시후미 1980.05.15.
제3화 激震の大地
격진의 대지
마츠자키 켄이치 요시다 히로시
(吉田 浩)
이시자키 스스무
(石崎すすむ)
1980.05.22.
제4화 ソロ星脱出せよ
솔로성 탈출하라
와타나베 유지
(渡辺由自)
요키타니 미노루 세키타 오사무 1980.05.29.
제5화 [ruby(無限力, ruby=むげんちから)]・イデ伝説
무한력 이데전설
사다미츠 신야 사카모토 사부로 1980.06.05.
제6화 裏切りの白い旗
배신의 백기
토미타 스케히로 요시다 히로시 미우라 마사노리 코가와 토모노리 1980.06.12.
제7화 亜空間脱走
아공간 탈주
후지와라 료지
(藤原良二)
타키자와 토시후미 우에무라 에이지
(上村栄司)
1980.06.19.
제8화 対決・大砂塵
대결 대사진
야마우라 히로야스 이시자키 스스무 타니구치 모리야스 1980.06.26.
제9화 燃える亜空間
불타는 아공간
코가 아라타
(古賀あらた)
요키타니 미노루 세키타 오사무 스즈키 에이지
(鈴木英二)
1980.07.03.
제10화 奇襲・バジン作戦
기습 버진 작전
마츠자키 켄이치 타키자와 토시후미 스즈키 에이지
코가와 토모노리[감수]
1980.07.10.
제11화 追撃・遺跡の星
추격 유적의 별
와타나베 유지 요키타니 미노루 미우라 마사노리 코가와 토모노리 1980.07.17.
제12화 白刃の敵中突破
백도의 적중돌파
이시자키 스스무 사카모토 사부로 1980.07.24.
제13화 異星人を撃て
이성인을 쏴라
토미타 스케히로 요키타니 미노루 세키타 오사무 타니구치 모리야스
코가와 토모노리[감수]
1980.07.31.
제14화 撃破・ドク戦法
격파 도크 전법
타키자와 토시후미 진구 사토시
(神宮 彗)
코가와 토모노리[감수]
1980.08.07.
제15화 イデオン奪回作戦
이데온 탈환작전
미우라 마사노리 코가와 토모노리 1980.08.14.
제16화 必殺のダミド戦法
필살의 다미드 전법
와타나베 유지 이시자키 스스무 사카모토 사부로 1980.08.21.
제17화 激闘・猿人の星
격투, 원인의 별
요키타니 미노루 세키타 오사무 코가와 토모노리 1980.08.28.
제18화 アジアンの裏切り
아시안의 배신
마츠자키 켄이치 타키자와 토시후미 1980.09.04.
제19화 ギャムス特攻指令
갸무스 특공지령
코가 아라타 미우라 마사노리 사카모토 사부로 1980.09.11.
제20화 迫撃・双子の悪魔
추격 쌍둥이 악마
이시자키 스스무 키쿠치 조지
(菊池城二)
1980.09.18.
제21화 敵戦艦を撃沈せよ
적전함을 격침시켜라
토미타 스케히로 세키타 오사무 코가와 토모노리 1980.09.25.
제22화 甦える伝説 (総集編)
되살아나는 전설 (총집편)
코가 아라타
토미타 스케히로
마츠자키 켄이치
와타나베 유지
미우라 마사노리
이시자키 스스무
타키자와 토시후미
세키타 오사무
사다미츠 신야
사카모토 사부로
코가와 토모노리[감수]
1980.10.03.
제23화 戦慄・囮の星
전율 미끼의 별
마츠자키 켄이치 후지와라 료지 야타베 카츠요시 코가와 토모노리 1980.10.10.
제24화 潜入 ゲリラを叩け
잠입 게릴라를 물리쳐라
코가 아라타 요키타니 미노루 미우라 마사노리 사카모토 사부로 1980.10.17.
제25화 逆襲のイデオン
역습의 이데온
와타나베 유지 이시자키 스스무 타니구치 모리야스
코가와 토모노리[감수]
1980.10.24.
제26화 死闘・ゲルの恐怖
사투 게르의 공포
키쿠치 카즈히토
(菊池一仁)
세키타 오사무 니노미야 츠네오 1980.10.31.
제27화 緊迫の月基地潜行
긴박한 달 기지 잠행
토미타 스케히로 타키자와 토시후미 코가와 토모노리 1980.11.07.
제28화 波導ガンの怒り
파도 간의 분노
코가 아라타 키쿠치 카즈히토 미우라 마사노리 1980.11.14.
제29화[36] 閃光の剣
섬광의 검
마츠자키 켄이치 요키타니 미노루 야타베 카츠요시 1980.11.21.
제30화 捨て身の狙撃者
버려진 몸의 저격자
토미타 스케히로 세키타 오사무 사카모토 사부로 1980.11.28.
제31화 [ruby(故郷, ruby=ふるさと)]は燃えて
고향은 불타오르고
와타나베 유지 키쿠치 카즈히토 타키자와 토시후미 토마리 신노스케
(昆 進ノ介)
1980.12.05.
제32화 運命の炎のなかで
운명의 불꽃 속에서
야스무라 마사카즈[37]
(康村正一)
미우라 마사노리 코가와 토모노리 1980.12.12.
제33화 ワフト空域の賭け
와프트 공역에 걸어라
토미타 스케히로 이시자키 스스무 타니구치 모리야스 1980.12.19.
제34화 流星おちる果て
유성 떨어지는 그 끝에
키쿠치 카즈히토 세키타 오사무 코가와 토모노리 1980.12.26.
제35화 暗黒からの浮上
암흑에서 부상
와타나베 유지 타키자와 토시후미 우에무라 에이지 1980.12.29.
제36화 さらばソロシップ
작별이다 솔로 쉽
요키타니 미노루 야타베 카츠요시 사카모토 사부로 1981.01.09.
제37화 憎しみの植民星
증오의 식민별
마츠자키 켄이치 이시자키 스스무 스즈키 에이지 1981.01.16.
제38화 宇宙の逃亡者
우주의 도망자
토미타 스케히로 요키타니 미노루 세키타 오사무 코가와 토모노리 1981.01.23.
제39화 コスモスに君と
코스모스에 너와
마츠자키 켄이치 타키자와 토시후미 사카모토 사부로 1981.01.30.

9. 기타

10. 밝은 이데온

극장판이 상영될 무렵 홍보용으로 방송되는 티비 프로그램을 위해 만들어진 일종의 개그 콩트 영상 시리즈. 팬들에게서 아이디어를 공모받아 선라이즈에서 직접약을 한 사발 들이키고만든 패러디 영상들이다.


아지바 3 - 딸 때문에 미쳐버린 어느 아버지의 폭주


게타선이데와 건담이 만나면.


78성운에서 이데온이 온다면. 우갸갸갸걍!! 듀왓! 슈슈슈슉 듀왓!


공익광고.

11. 관련 문서



[1] 메카 디자이너 히구치 유이치(樋口雄一)가 있던 회사. 이데온은 히구치가 직접했고 적 로봇은 동료들이 했다고 한다.[2] TV판은 四条徹也라는 가명을 썼다. 닐스의 모험과 동시에 작업하는 걸 숨기고자 가명을 썼다고 한다. 극장판은 본명을 쓴다.[3] 후배들을 격려하고 응원하는 경우는 많지만 평가는 매우 짜게 하기로 유명한 토미노지만 호소다 마모루 작품 평은 상당히 좋게 해준다.[4] 토미노가 혼자 다 짊어지려는 작가주의 성향이 있어서 그렇지 원래 대부분의 애니는 이런 식으로 제작한다. 애초에 토미노 작품 2/3는 이런 식.[5] 울트라맨 가이아에서 코나카 치아키가 비슷한 작법을 다른 각본가들에게 강요하기도 했다.[6] 그래서 아무로가 머리를 볶고, 빨간 색으로 칠한 초대형 짐에 타면 그게 이데온이라는 식의 농담이 돌았다.사이코 짐?[7] 그러고보면 이데온은 짐과 메카닉이 상당히 닮은 디자인을 하고 있다. 둘 다 고글 아이에다. 머리가 하얀색이고 얼굴도 거의 똑같다. 차이라면 뿔정도[8] 실제로 디자인 모티프가 우주전쟁에 등장하는 트라이포드다.[9] 그런데 문명레벨은 둘째 치고 전력으로는 지구가 훨씬 딸리는 느낌. 지구 역시 전차에 빔포를 달 수 있는 엄청난 과학기술력을 가졌으나, 중기동메카와 같은 병기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은 없어 보인다.(작 내에서 등장하지 않으니까.) 전함은 폭죽이고.. 결정적으로 버프클랜은 지구군의 본성 지구에 도달하여 위협하나, 지구군은 그렇지 못하다.[10] 막장 부모, 기타 죄질이 무거운 악당 등 가해자의 만행이나 전쟁, 테러, 국가 막장 테크 등의 암울한 상황 때문에 희생이 불가피한 경우 작중 현실성의 구현을 위해.[11] 물론 이 경우, 청불 먹을 확률까지 커지겠지만...[12] 이지만 버프클랜에 심각한 타격을 주지 못한다. 버프클랜 공격에 제대로 성공하는 건 언제나 이데온.[13] 이데온은 1980년작, 에반게리온은 1995년작이다.[14] 탠서 5는 자동차와 비행기가 변신 합체해서 거대한 비행기가 되는 애니메이션이었다.[15] BS 아니메 야화 이데온편 출처 http://v.youku.com/v_show/id_XMTQxNDAxMzI0.html?x 일본어 주의[16] 단순 억측이 아니고 토미노가 실제로 했던 말이다.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는 과거 토미노의 발언을 기초로 이데온과 금지된 세계를 해설하는 칼럼을 썼다가 "당신의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지 않는가." 라고 지적하는 사람이 있어 황당했었다고 한다. #[17] 안노 히데아키가 에반게리온에서 지독하게도 참고하고 스탭롤에도 올린 그 영국 SF 드라마다. 70년대 말 일본에서 인기작이었다.[18] 토미노 작품에서 감독 크레딧을 받은 사람은 많지 않다.[19] 이후 자붕글 극장판에서 등장인물들이 다 죽지 않는다는 마케팅을 했을 정도로 관객들이 적잖은 충격을 먹은 것은 사실이다.[20] 심지어, 버프클랜은 거의 완벽에 가까운 통역기로 인류의 대화를 무리없이 해독할 수 있을 정도다.[21] 이런 메세지는 무적초인 점보트3의 몇몇 에피소드에서 퍼스트 건담보다 3년 정도 먼저 표현한 적이 있다. 로봇/메카물이 가질 수 있는 전쟁미화에 대한 경각심을 토미노는 가지고 있는 셈이다.[22] 이데온이 최초이자 최후로 괴성을 지르며 폭주하듯이 코스모의 감정을 공유한 적이 있는데 바로 코스모에게 어머니같은 태도를 취한 카뮤라-란반의 사망이다.[23] 이후 이러한 태도를 극단으로 보여준 예로 에반게리온 초호기가 있다. 토미노 작품으로만 보면 브레인파워드가 있긴 하나 이쪽은 이데온의 연장선으로 보기는 어렵고 에반게리온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브레인파워드가 방영되었을 시기에 일본이나 한국이나 토미노 감독이 에반게리온에 상당히 동요한 것 같다는 공통된 비평도 있었다. 진실은 토미노 감독만이 알겠지만.[24] 참고로 이런 부분이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이 이데온 발동편을 표절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기반이 되는데 구조적으로 비슷한 부분이 많지만 꽤나 다르다. 이데온은 '서로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문제나 갈등도 해결할 수 있다.'이고, 에반게리온은 '인간끼리 속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는 게 정말 낙원인가.'이다. 서로 메세지가 상반되긴 하지만 이데온은 철저히 집단의 이기심이나 전쟁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에반게리온은 대의명분에 의한 개인의 희생이나, 인간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뭐가 옳다고 말 할 수 없다. 인간은 개인과 집단(사회) 어느것 하나 격리할 수 없고 둘 다 큰 중요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25] 피신한 민간인 중 한 명인 어린아이로, 코스모의 서브 파일럿을 맏는다. 발동편에선 폭발에 휩쓸려 산화한다.[26] 솔로쉽으로 피신한 민간인 중 한 명인 어린 아이로, 극장판 발동편에서 마지막에 빔포로 머리가 소멸하는 충격적인 죽음을 맞이한다.[27] 본편에서 카라라 아지바의 성우를 맡았다.[28] 작곡가 故서영은의 딸이자 코미디언 故서영춘의 조카인 서지숙의 일본 활동명.#[29] 이데온 30주년 이벤트 中[30] 이 애니메이션에서 작화, 액션으로 유명한 에피소드는 이 애니메이터가 담당했다. 당시 신인이던 이타노 이치로가 참가한 것도 유명하지만 이타노의 실력이 개화한 건 29화부터.[감수] 작화감수[감수] [감수] [감수] [감수] [36] 이타노 서커스가 처음 나온 작품.[37] 야스무라 료(康村 諒)의 필명.[38] 뭐 코믹스런 장면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작품 자체가 상당히 비극적인 면모가 많아서[39] SEED DESTINY는 OP는 4개지만 ED은 3개다.[40] 접촉편 상영 당시 열악한 환경에서 상영하다 보니 자막이 사라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문제는 그 사건이 이데의 비밀에 관한 중요한 대사 도중, 즉 접촉편을 마무리 지으면서 관객들이 가장 궁금해 했던 정보를 바로 직전에 잘라먹었다는 점에 있다. (물론 십여분 남은 상영시간 동안 자막은 복구되지 않았다) 이에 감정이 격해진 관객들이 대거 몰려가 심각하게 항의하는 사태가 벌어져고, 책임자가 사과하고 접촉편 관객들에게 발동편을 무료 관람시키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물론 접촉편 관객에 발동편 관객을 더해도 겹치거나 해서 좌석이 많이 비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였었다. 우습게도 이런 일이 또 있었는데 1997년 딱 1번 열고 사리진 애니 엑스포에서 상영하던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극장편집판 지온의 잔광 상영당시에는 자막이 사라지고 앞뒤가 뒤바뀌어져 후반부가 앞에 나오고 전반부가 끝에 나오는 사고가 벌어져 다른 상영작 무료 관람으로 마무리되었다.[41] 도쿄 엔카운트 9화에서 자신이 직접 밝혔다.[42] 동인 애니 다이콘3는 실제로 제작된 적이 있는 애니메이션이며 하늘에서 이데온 게이지가 뜨고 건담이 이데온으로 변신하거나 이데온의 전방위 미사일 연출이 나오기도 하는 저작권 완전 무시의 막나가는 작품이다.[43] 배우는 야스다 켄.[44] 하마다 가쿠가 연기했다.[45] 유니콘의 작화감독인 겐마 노부히코의 말에 따르면 아예 이데온처럼 해달라고 주문했던 듯하다.[46] 마츠오는 토미노 요시유키의 제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