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다람쥐 Siberian chipmunk, Common chipmunk | |
| |
학명 | Eutamias sibiricus (Laxmann, 1769)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포유강 Mammalia |
목 | 설치목 Rodentia |
과 | 다람쥐과 Sciuridae |
속 | 다람쥐속Eutamias |
종 | 시베리아다람쥐E. sibiricus |
아종 | |
|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다람쥐의 일종. 다람쥐속의 유일한 현존 종이다.2. 생태
몸길이는 18~25cm며, 그중 1/3는 꼬리가 차지한다. 체중은 계절과 먹이 가용성에 따라 달라지나, 보통은 50~150g 정도다. 암수 간의 크기 차이는 없다. 뺨주머니가 발달되어 있어 먹이를 운반하기에 알맞다. 몸 윗면에 5줄의 암흑색 줄무늬가 있다.러시아 거의 전역, 쿠릴 열도, 카자흐스탄 극동부, 몽골 북부, 중국 동부와 중부, 한반도, 일본 홋카이도에 분포하며, 벨기에, 프랑스, 스위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영국에는 1960년대 당시 한국에서 수입된 개체들이 정착하여 살고 있다.
침엽수림, 관목지, 수로, 도로변, 농경지 근처에 서식한다. 유럽 도입 개체들은 낙엽수림, 도시에도 서식한다.
평소에는 단독 생활을 하며, 각 개체마다 700~4,000m²의 영역을 가진다. 보통 암컷이 수컷보다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가 더 넓고, 가을에는 봄보다 영역 크기가 더 넓어진다. 영역의 표시는 뺨의 냄새선이나 소변으로 한다. 다만, 추운 겨울에는 땅굴을 파는데, 동면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개체들과 굴을 공유하는 경우가 잦다. 땅굴은 입구의 너비가 2.5m, 깊이가 1.5m에 달하며, 수면방, 저장고, 화장실 등으로 구성된다.
주식은 잣을 비롯한 여러 낙엽수, 침엽수의 씨앗이다. 이 외에는 풀뿌리, 곤충, 연체동물, 소형 조류, 소형 파충류, 곡류, 과일, 버섯 등도 먹는다. 겨울이 되면 3~4kg 먹이를 많이 먹지않고 굴에 저장해 둔다.
주천적은 시베리아족제비, 구렁이, 아무르삵, 고양이, 참매, 새매, 말똥가리, 올빼미, 붉은여우다.
수컷과 암컷 모두 생후 9개월 즈음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번식기는 4월 중순에 동면에서 깨어난 후다. 일년에 한두 번 정도만 번식하며, 임신 기간은 28~35일, 한 배에 태어나는 새끼의 수는 3~8마리다. 갓 태어난 새끼는 시력과 털이 없는 상태며, 체중은 고작 3~5g이다. 새끼는 생후 약 20~25일에 눈을 뜨고, 생후 6주경에 어미의 가르침을 받아 먹이를 찾는 법을 배운다. 생후 7주경에 이유식을 떼며, 생후 8주경에 독립한다. 생후 3~4개월경에 성체의 크기에 도달한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2~5년이며,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10년까지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