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03 03:30:05

말똥가리

말똥가리(지광이)
Eastern Buzzard, Japanese buzzard
파일:Buteo buteo.jpg
학명 Buteo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1844)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수리목(Accipitriformes)
수리과(Accipitridae)
아과 말똥가리아과(Buteoninae)
말똥가리족(Buteonini)
말똥가리속(Buteo)
말똥가리(B. japonicus)
아종
  • (B. j. japonicus)
  • (B. j. burmanicus)
  • (B. j. toyoshimai)
  • (B. j. oshiroi)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말똥가리.jpg

1. 개요2. 특징3. 기타

1. 개요

수리목에 속하는 맹금류의 일종.

2. 특징

크기는 맹금류 중에서 중형이며 날개길이는 1.4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매라고 불리는 새들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이들은 매과가 아닌 수리과라는 점이 다르다.[1]

시베리아,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일대에 서식한다. 한국에도 서식하며, 번식기는 5~6월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한 겨울 철새이며 겨울에 전국의 농경지에서 쉽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에서도 종종 관찰된다.

솔개와 체격이나 모습이 거의 흡사하게 생겼는데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꼬리의 모양과 손가락처럼 갈라진 날개 끝의 깃털[2] 갯수를 세면 된다. 말똥가리는 꼬리 끝 부분이 부채처럼 곡선으로 펼쳐져있는데 반해 솔개는 꼬리 끝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평평하다. 날개끝의 깃털도 솔개는 6개, 말똥가리는 5개로 다르다.

주로 , , 개구리, 소형 조류, 토끼 등의 소형 동물들을 잡아먹고 사는데 들쥐가 주식이다.조류계의 조폭인 까치도 멋모르고 심하게 까불거나 도발하면 거하게 당하기도 한다.

천적은 검독수리수리부엉이 등 자기보다 큰 대형 맹금류이다.

이름에 이 들어가서 웃긴 편이지만, 울음소리는 수리목 조류 중에서 가장 멋진 편이다.[3]

3. 기타



[1] 이는 새매참매도 마찬가지로 이들도 매과가 아닌 수리과다.[2] 칼깃이라고 한다.[3] 다른 수리목 조류들은 참새직박구리처럼 짹짹 소리를 낸다. 근연종인 붉은꼬리말똥가리의 경우는 더욱 힘있고 우렁차며, 그 유명한 맹금류 소리로 쓰인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독수리, 소리하면 떠올리는 첨예하고 청명한 바로 그 소리이며, 실제 다른 수리목이나 매의 소리는 언급했듯 그냥 일반 새처럼 짹짹거리고 독수리 같은 경우는 꾸와아악... 거리는 괴성에 가까운 소리를 낸다.[4] 미조(길잃은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