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22:11:47

쓰루오카 가즈나리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 74 김경문 [[틀:한화 이글스 감독|
]] · 76 윤규진 · 79 양상문 · 82 김재걸
· 83 김우석 · 85 정현석 · 87 김민호 · 88 양승관
· 90 김정민 · 91 추승우 '''
2군
'''70 쓰루오카 · 71 이대진 [[틀:한화 이글스 2군 감독|
]] · 73 최윤석 · 75 박정진
· 77 박재상 · 80 고동진 · 89 정경배 · 92 정우람'''
잔류/재활군
72 박승민 · 78 김남형 · 81 김성갑 · 86 정범모
· 이수혁
트레이닝파트
84 이지풍 · 김형욱 · 김연규 · 장세홍
· 손호영 · 엄강현 · 김재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쓰루오카 가즈나리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화 이글스 등번호 70번
강동우
(2023.7.21.~2024)
쓰루오카
(2025~ )
현역
}}} ||
파일:쓰루오카 한화.jpg
<colbgcolor=#fc4e00><colcolor=#fff> 한화 이글스 No.70
쓰루오카 가즈나리
[ruby(鶴岡, ruby=つるおか)] [ruby(一成, ruby=かずなり)] | Kazunari Tsuruoka
출생 1977년 5월 30일 ([age(1977-05-30)]세)
효고현 타카사고시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신코가쿠엔 신코 고등학교
신체 184cm, 85kg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5년 드래프트 5라운드 (요코하마)
소속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1996~2008)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8~2011)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12~2013)
한신 타이거스 (2014~2016)
지도자 치바 롯데 마린즈 배터리코치 (2017~2018)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군 배터리코치 (2019~2024)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코치 (2025~)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여담5. 연도별 주요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야구 선수이자 한화 이글스 퓨처스 배터리코치.

2. 선수 경력

2.1.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1기

신코가쿠엔 신코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96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에 입단했다.

하지만 입단 직후부터 1군에 자리잡지 못하고 2군 생활을 해야 했으며 실제로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1군 엔트리에 올라온 건 데뷔 5년차였던 2000년에야 올라왔다. 이후에도 주로 2군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군에는 주전 포수들의 체력 안배 차 공백을 메워주기 위해서 어쩌다 한 번씩 올라오기 일쑤였다. 그나마 2006년 1군에서 60경기에 출장한 게 요코하마 1기 시절 많이 나온 기록. 그래서 1996년 요코하마 입단 후 2007년까지 약 12시즌 동안 1군에서는 겨우 169경기 출장에 그쳤다.

2.2.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8년 시즌 중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됐지만 여기서도 아베 신노스케라는 거물급 포수가 자리잡고 있어 백업 혹은 2군용 포수에 그쳤다. 그나마 2009년 시즌 중 아베가 잠시 부상으로 빠졌을 때 그 공백을 메워주며 어느 정도 주목받았다.

2.3.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기

2012년부터 다시 친정 팀 요코하마로 돌아왔다. 한편 2012년 1군 102경기, 2013년 1군 108경기에 나오면서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1군에서 100경기 이상 출장하게 됐다.

2.4. 한신 타이거스

한편 2013년 시즌 후 요코하마가 FA 시장에서 쿠보 야스토모를 영입하였고 이 과정에서 보상선수로 지목, 사실상 고향 팀인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했다. 한신에서는 오승환의 전담 포수로 많이 나왔다. 당시 신인 우메노 류타로와 출전 기회를 나눠가며 한신의 안방을 지켰고, 2014년 일본시리즈도 경험하게 되었다.

2016년 시즌 종료 후 은퇴하면서 20년간 이어온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그나마 선수 말년을 고향 팀에서 보내다가 은퇴한 셈.

아래 통산 성적에서 볼 수 있듯 통산 타율이 0.235에 불과한 수비형 백업 포수였으며, 1군과 2군을 오가면서 선수 생활을 해온 전형적인 1.5군급 선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년간 가늘고 길게 선수 생활을 했다고 할 수 있겠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치바 롯데 마린즈,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배터리코치로 일했다.

2025년부터 한화 이글스의 2군 배터리코치로 영입되면서 한국에서 지도자 생활을 하게 됐다. 본인은 원래 일본에서 계속 지도자를 하려는 마음이 있었지만, 손혁 단장이 직접 일본까지 찾아와 코치직을 제안하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아 한국에서 새로운 도전을 해 보기로 마음먹었다고.

4. 여담

5.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NPB 로고.svg 쓰루오카 가즈나리의 역대 NP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1996 요코하마 1군 기록 없음
1997
1998
1999
2000 3 3 1 0 0 0 1 0 0 0 0 .333 .333 .333 .667 0.0
2001 9 7 0 0 0 0 0 0 0 0 4 .000 .000 .000 .000 -0.1
2002 12 10 1 0 0 0 1 0 0 1 4 .111 .200 .111 .311 -0.1
2003 1군 기록 없음
2004 25 60 22 2 1 2 6 5 0 2 13 .400 .421 .582 1.003 0.5
2005 24 30 8 2 0 1 3 2 0 1 4 .286 .333 .464 .798 0.2
2006 60 146 31 8 1 3 7 16 0 11 39 .244 .312 .394 .706 0.3
2007 36 87 15 2 0 0 3 8 0 11 10 .217 .349 .261 .610 -0.1
<rowcolor=#fe5a1d>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08 요코하마/요미우리 58 117 23 4 0 2 8 8 1 10 19 .230 .300 .330 .630 -0.0
2009 요미우리 59 160 37 10 0 5 17 18 1 8 30 .261 .303 .437 .739 0.4
2010 32 43 8 1 0 0 4 0 0 3 8 .229 .325 .257 .582 -0.1
2011 34 63 12 1 0 0 6 1 0 4 9 .218 .283 .236 .520 -0.2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12 DeNA 102 229 38 8 1 1 9 15 0 19 39 .189 .258 .254 .512 -0.9
2013 108 318 70 18 0 3 27 40 1 26 50 .250 .312 .346 .658 0.4
<rowcolor=#000000>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14 한신 77 163 34 5 1 0 10 12 0 3 30 .221 .239 .266 .505 -0.6
2015 70 179 35 8 0 1 16 15 0 15 43 .229 .296 .301 .597 -0.2
2016 10 5 0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0.1
NPB 통산
(16시즌)
719 1620 335 70 4 18 118 140 3 114 303 .235 .296 .328 .624 -0.6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