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22:35:03

아리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 }}}[[]]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포세이돈데메테르의 자식들
데스포이나
신비
아리온
신마


1. 개요2. 신화3. 대중 문화에서

1. 개요

Arion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마(神馬). 아레이온(Areion)이라고도 불린다.[1]

가장 널리 알려진 바에 따르면 포세이돈데메테르의 자손이다. 신화에 따르면 페르세포네를 찾아다니느라 상심에 빠진 데메테르에게 포세이돈이 구애를 했으나 데메테르는 암말로 변신하여 말들 사이에 숨었다. 당연히 말의 신이기도 한 포세이돈이 분간을 못할 리가 없었고, 포세이돈도 말로 변신하여 데메테르를 찾아내 관계를 맺었다. 그리하여 데메테르는 명마 아리온과 말 머리를 가진 여신 데스포이나를 낳았다고 한다. 이 사건에서 데메테르가 분노했다고 하며 마치 에리니스와 같았다고 하기에 보통 포세이돈이 데메테르를 강간한 것으로 해석한다.

보통 연대기적으로 다루는 이야기에서 이 신화는 데메테르페르세포네를 찾아 돌아다닐 때 일어난 사건으로 배치한다. 이 때 태어난 딸의 이름이 '데스포이나'라는 설도 널리 퍼져 있는데, 원 출처는 아래 언급하는 '파우사니아스'이다.[2] 데스포이나는 페르세포네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포세이돈이나 제피로스하피와 관계하여 낳은 말이라고도 하며, 가이아의 자손이라는 주장도 있다. 포세이돈이 아테나와 경쟁할 때 만든 말이 바로 아리온이라는 전설도 있다.

포세이돈은 이 말을 코프레우스(Copreus), 혹은 옹코스(Oncus)에게 물려주었다. 이후에는 헤라클레스가 이 말을 탔다는 전설도 있다. 테베를 공격한 7명의 장수 가운데 1명인 아드라스투스(아드라스토스 / Adrastus)가 헤라클레스로부터 물려받아 이 말에 탔다고 하는데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아드라스투스의 전설이다. 자세한 건 후술.

외형상으로는 '검은 갈기'를 가졌다. 한쪽 다리는 인간이며 인간의 말을 할 줄 안다는 전설도 있다.

돌고래자리 문서에 동명이인이 등장한다.

2. 신화

호메로스일리아스에서 아드라스투스가 탄 무엇보다 빠른 말로서 아리온의 이름이 언급된다.

파우사니아스(Pausanias)는 데메테르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아리온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을 낳았다고 언급했다. 파우사니아스는 일리아스와 테바이드(Thebaid)[3]라는 서사시를 인용하여 아드라스투스가 도망칠 때 '검은 갈기의 말'인 아리온을 탔다고 언급한다. 아드라스토스는 아르고스의 왕으로, 사위 폴리네이케스가 그의 형제 에테오클레스에게 뺏긴 왕위를 돌려주기 위해 다른 장군들과 같이 테베를 침략했다. 그러나 크레온의 아들 메노이케우스 2세[4]의 희생으로 전쟁은 테베의 승리로 끝나고 일곱 장군들은 모두 사망했다. 총사령관인 아드라스토스만 아리온을 타고 도주해서 살 수 있었다.

관련 자료

3. 대중 문화에서

호메로스헤시오도스의 문학에서 언급된 것을 보면 고대 그리스에서는 상당히 유명한 명마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현대에는 인지도가 없다. 출생 이외에는 잘 달린다는 것 밖에 특징이 없는데 저 출생담이 상당히 미묘해, 그리스 로마 신화집에서도 포세이돈과 데메테르의 이미지를 위해 그냥 아리온 자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덕분에 현대에는 페가수스유니콘, 슬레이프니르 등의 신화 말들에게 완전히 밀리고 있다. 그나마 저 중에서 인간의 말을 할 수 있다는 건 꽤 매력적인 설정이지만, 안타깝게도 4개의 다리 중에 한쪽 다리만 인간의 다리라는 건 성스럽거나 신비한 느낌보다는 괴기스러움을 연출하기 때문이다.


[1] 호메로스, 헤시오도스, 칼리마코스 등 고전기까지는 Ἀρίων, 위 아폴로도로스, 파우사니아스, 스트라본 등 고전기 후대의 작가들은 Ἀρείων으로 썼다.[2] 파우사니아스 스스로 비입문자에게는 이름을 알려줄 수 없다고 했기 때문에, 데스포이나라는 이름도 사실 코레와 같은 별칭일 수 있다.[3] 현재는 실전.[4] 메노이케우스 1세는 크레온의 친부. 즉, 조부와 동명이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