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7:06:39

살렘 알 다우사리

알도사리에서 넘어옴
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화이트).svg
알 힐랄 SFC 2024-25 시즌 스쿼드
3 쿨리발리 · 4 K. 알 다우사리 · 5 알 불라이히 · 6 헤낭 로지 · 7 알 간남 · 8 네베스 · 9 미트로비치
10 네이마르 JR · 11 M. 레오나르두 · 12 알 샤흐라니 · 16 N. 알 다우사리 · 17 알 야미 · 20 주앙 칸셀루
21 알 오와이스 · 22 세르게이 · 24 알 하르비 · 28 칸노 · 29 S. 알 다우사리 · 32 알 뮤프리지
37 부누ㆍ56 알 카타니 · 60 알 조베야 · 77 마우콩 · 87 알 탐바크티 · 88 알 야미 · 99 알 함단
파일:UEFA EURO POR.png 조르제 제수스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살렘 알 다우사리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svg
}}} ||
파일:Salem Al Dawsari 24/25.png
<colbgcolor=#0028F0><colcolor=#ffffff> 알 힐랄 SFC No. 29
살렘 알 다우사리
سالم الدوسري | Salem Al-Dawsari
본명 살렘 모함메드 샤피 알 다우사리
سالم محمد شافي الدوسري
Salem Mohammed Shafi Al-Dawsari
출생 1991년 8월 19일 ([age(1991-08-19)]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적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72cm / 체중 71kg
포지션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28F0><colcolor=#ffffff> 선수 알 힐랄 SFC (2011~ )
비야레알 CF (2018 / 임대)
국가대표 90경기 23골[1] (사우디아라비아 / 2012~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6. 여담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 국적의 알 힐랄 SFC 소속 축구 선수. 현재 소속팀의 주장, 대표팀의 부주장을 맡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알 힐랄 SFC

2011년 데뷔 이후 2018년 비야레알 CF 임대(1경기 출전)를 제외하고는 계속 알 힐랄에서 뛰었으며, 2021년 AFC 챔피언스리그 MVP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포항을 상대로 67분 더티플레이를 시전하며 시간을 끌기도 하였다.(...) 그런데 웃음포인트는 심판은 이 행동을 보고 경고도 주지 않았다...[2]

2022년에도 알 힐랄에서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다.

클럽 월드컵 4강에서 남미 챔피언이자 브라질의 명문 플라멩구를 만났는데 PK 멀티골을 넣으며 알 힐랄의 3:2 승리라는 이변을 만들었고 사상 첫 결승행을 이뤄냈다. 결승 상대는 유럽 챔피언 레알 마드리드가 될 확률이 매우 높다.
AFC 챔피언스리그 4강에서 카타르의 알 두하일을 상대로 1골 2도움을 올리며 7:0 대승을 이끌었다 [3]

결승전 우라와 레즈 전에서도 1차전에서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반 막판 퇴장을 당하는 바람에 2차전에서 나오지 못했고, 알 힐랄은 결국 2차전에서 1:0으로 패하면서 우승이 좌절됐다.

현지 시간 2023년 10월 31일, AFC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12년 호주와의 원정 경기를 통해 A대표팀에 데뷔했으며,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의 개막전에서 개최국 러시아를 상대로 0-5 패배를 당하는 굴욕을 당했음에도 팀의 선봉에서 활약했고, 마지막 경기인 이집트전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역전골을 터뜨리며 월드컵 본선에서 24년 만의 승리를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조별예선 C조 1차전 아르헨티나를 상대로도 2-1을 만드는 역전 원더골을 성공시켰다. 그것도 아르헨티나의 내로라 하는 수비수들 4명을 상대로 공을 지켜내며 터뜨린 역전골이었다.[4] 결국 이 골에 힘입어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에서 남미 팀을, 그것도 우승 후보로 꼽히는 팀을[5] 이겨버리는 성과를 거뒀고, 알다우사리 본인은 그야말로 역전의 용사로서의 모습을 보이며 든든하게 팀을 이끌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C조/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 항목에 있다.[6]

그러나 2차전 폴란드를 상대로는 천금같은 페널티킥 기회를 날려버리며 패배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7]

3차전에서는 멕시코를 상대로 95분 만회골을 넣었으나 팀은 16강 진출에 아쉽게 실패하고 말았다. 그는 이번 골로 월드컵 통산 3골을 기록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의 최다 월드컵 득점자에 등극하였다.[8]

대한민국과의 2023 아시안컵 16강전에서 1대0으로 승기를 이미 잡은듯 했던 84분에 체력안배 겸 수비강화를 위해 압둘라흐만 가리브와 교체되어 나갔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종료직전에 동점골을 넣고 경기는 승부차기까지 갔는데, 자신 대신 들어간 가리브가 팀의 패배를 사실상 확정짓는 두 번째 실축을 했고, 그렇게 자신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아시안컵에서 씁쓸한 탈락을 했다.

2026월드컵 3차예선에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있다. 1차전 인도네시아 상대 1-1로 팽팽히 맞서던 시점 패널티킥을 얻었으나 실축을 해버려 사우디의 승리를 날려버렸으며 4차전 바레인전 역시 패널티킥을 실축하며 0-0무승부에 일조하였다. 자기손으로 승점 4점을 날려버리며 사우디는 월드컵진출에 노란불이 켜졌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

속도가 빠르고 기술적이다. 이뿐만 아니라 유연해서 돌파능력도 좋다.

6. 여담


7. 같이 보기

{{{#!wiki style="color:#006000;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모하메드 알 야미
(Mohammed Al-Yami)
1997년 8월 14일 ([age(1997-08-14)]세) 5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 SFC
21 모하메드 알 오와이스
(Mohammed Al-Owais)
1991년 10월 10일 ([age(1991-10-10)]세) 34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파와즈 알 카르니
(Fawaz Al-Qarni)
1992년 4월 2일 ([age(1992-04-02)]세) 10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 아민 부카리
(Amin Bukhari)
1997년 5월 2일 ([age(1997-05-02)]세) 0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DF - 야세르 알 샤흐라니
(Yasser Al-Shahrani)
1992년 5월 25일 ([age(1992-05-25)]세) 68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모함메드 알 브레이크
(Mohammed Al-Breik)
1992년 9월 15일 ([age(1992-09-15)]세) 34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알리 알 불라이히
(Ali Al-Bulaihi)
1989년 11월 21일 ([age(1989-11-21)]세) 29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술탄 알 간남
(Sultan Al-Ghanam)
1994년 5월 6일 ([age(1994-05-06)]세) 19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하산 알 탐바크티
(Hassan Al-Tambakti)
1999년 2월 9일 ([age(1999-02-09)]세) 12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 압둘레라 알 암리
(Abdulelah Al-Amri)
1997년 1월 15일 ([age(1997-01-15)]세) 11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지야드 알 사하피
(Ziyad Al-Sahafi)
1994년 10월 17일 ([age(1994-10-17)]세) 11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 알리 라자미
(Ali Lajami)
1996년 4월 24일 ([age(1996-04-24)]세) 1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MF - 살만 알파라지 파일:주장 아이콘.svg
(Salman Al-Faraj)
1989년 8월 1일 ([age(1989-08-01)]세) 67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살렘 알 다우사리
(Salem Al-Dawsari)
1991년 8월 19일 ([age(1991-08-19)]세) 64 1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압둘라 오타이프
(Abdullah Otayf)
1992년 8월 3일 ([age(1992-08-03)]세) 42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하탄 바헤브리
(Hattan Bahebri)
1992년 7월 16일 ([age(1992-07-16)]세) 33 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 모하메드 칸노
(Mohamed Kanno)
1994년 9월 22일 ([age(1994-09-22)]세) 29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압둘라지즈 알 비시
(Abdulaziz Al-Bishi)
1994년 3월 11일 ([age(1994-03-11)]세) 17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 압둘라흐만 가리브
(Abdulrahman Ghareeb)
1997년 3월 31일 ([age(1997-03-31)]세) 13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 SFC
- 사미 알 나지
(Sami Al-Najei)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11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알리 알 하산
(Ali Al-Hassan)
1997년 3월 4일 ([age(1997-03-04)]세) 6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나세르 알 다우사리
(Nasser Al-Dawsari)
1998년 12월 19일 ([age(1998-12-19)]세) 4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19 압둘라흐만 알 아부드
(Abdulrahman Al-Aboud)
1995년 6월 1일 ([age(1995-06-01)]세) 2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17 칼리드 알 간남
(Khalid Al-Ghannam)
2000년 11월 7일 ([age(2000-11-07)]세) 2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FW - 피라스 알 부라이칸
(Firas Al-Buraikan)
2000년 5월 14일 ([age(2000-05-14)]세) 20 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파테 FC
- 압둘라 알 함단
(Abdullah Al-Hamdan)
1999년 9월 12일 ([age(1999-09-12)]세) 18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5월 29일
}}}}}}}}}}}} ||

1 알야미 · 2 알간남 · 3 마두 · 4 알암리 · 5 알불라이히 · 6 알브레이크 · 7 알파라지 · 8 알말키 · 9 알부라이칸
10 알다우사리 · 11 알셰흐리 · 12 압둘하미드 · 13 알샤흐라니 · 14 오타이프 · 15 알하산 · 16 알나지 · 17 알탐바크티 · 18 알아비드
19 바헤브리 · 20 알아부드 · 21 알오와이스 · 22 알아키디 · 23 칸노 · 24 알다우사리 · 25 아시리 · 26 샤라힐리

1 알루바이에 · 2 알스쿠르 · 3 알살룰리 · 4 라자미 · 5 알불라이히 · 6 알무왈라드 · 7 알리 · 8 알말키 · 9 알부라이칸 · 10 알다우사리
11 알셰흐리 · 12 압둘하미드 · 13 카데시 · 14 하지 · 15 알하이바리 · 16 알나지 · 17 알탐바크티 · 18 알아가리브비드 · 19 하미드
20 라디프 · 21 알 나자르 · 22 알카사르 · 23 칸노 · 24 알다우사리 · 25 알브레이크 · 26 알감디



[1] 2024년 10월 16일 기준[2] 이 심판이 같은 중동국가인 UAE 출신 이여서 많은 커뮤니티에선 경기내내 알 힐랄을 향한 편파판정 논란이 일었다.[3] 이 경기는 ACL 역대 토너먼트 경기 중 최다 점수 차 경기이다.[4] 해당 골은 FIFA 선정 카타르 월드컵 베스트 골 6위로 선정되었다![5] 아르헨티나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실제로 우승했다.[6] 이 경기로 잠시나마 C조의 1위가 사우디아라비아, 4위가 아르헨티나였다.[7] 이걸 성공시켰다 하더라도 사우디의 4위는 변함 없었겠지만 본인이 멕시코 전에서 추격의 골 까지 넣지 않았더라면 멕시코가 16강에 올라가고 폴란드는 탈락할 뻔했다. 즉 폴란드에게는 영웅이 된 반면 멕시코에게는 역적이 된 꼴이다.[8] 1994, 1998, 2006년 1골씩 득점을 기록한 사미 알 자베르와 동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