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2-01 19:42:03

알제리-말리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유럽·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모로코·알제리·튀니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유럽·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알제리 말리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2.2. 20세기2.3. 21세기
3. 관련 문서

1. 개요

알제리말리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공통점이 많이 있다. 그리고 교류와 협력이 많은 편이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

알제리 지역이 우마이야 제국의 정복으로 아랍화되고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면서 말리 제국도 아랍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말리 제국도 북아프리카를 통해 아랍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당시에 교류가 활발했고 말리 제국에서도 북아프리카를 통해 메카로 성지순례를 자주 하러 가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말리 제국이 베르베르의 공격으로 여러 소왕국으로 분열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프랑스영국 등이 아프리카에 여러 식민지를 뒀다. 알제리 지역은 19세기에 프랑스령 알제리의 이름으로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말리 지역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로 프랑스의 지배를 각각 받게 되었다.

2.2. 20세기

20세기에 양 지역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는데, 프랑스령 알제리는 프랑스 본토의 일부로 규정되었지만, 말리 지역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로 각각 다르게 식민지배를 받았다. 양 지역은 프랑스의 지배를 오랫동안 받았다가 20세기 중반에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프랑스의 지배에 저항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에 알제리 독립 전쟁까지 일어났고 알제리 지역은 프랑스와 격렬한 전투를 치르면서 독립국이 되었다.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서도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프랑스령 서아프리카는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나 각각 독립국이 되었다.

알제리와 말리는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나 각각 수교했다. 또한, 협력도 매우 활발했다.

2.3. 21세기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이다. 그리고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양국은 프랑스의 지배와 영향을 받아 프랑스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알제리는 현재에도 프랑스어가 널리 쓰이고 있고 말리는 프랑스어가 공용어이다.

2014년 7월 24일, 프랑스와 말리, 부르키나파소 정부가 말리에서 추락한 알제리 여객기 잔해의 수색을 실시했다.#

양국은 협력이 활발한 편이고 경제교류도 실시되고 있다. 2021년 1월 1일에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가 출범하면서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들이자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에 참가하게 되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