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26:16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0년/본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0년|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0년]]

1. 개요2. 본선 진출 캐릭터 목록
2.1. 연속 본선진출 캐릭터2.2.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2.3.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 이외 순위권)2.4. 이전회 애캐토 예선 탈락자 중 첫 본선진출 캐릭터
3. 본선 결과
3.1. 32강 (12월 11일 ~ 12월 13일)3.2. 16강 (12월 14일 ~ 12월 16일)3.3. 8강 (12월 17일 ~ 12월 20일)3.4. 4강 (12월 21일 ~ 12월 23일)3.5. 결승, 3/4위전 (12월 24일 ~ 12월 27일)3.6. 최종 결과
4. 이야깃거리
4.1. 32강4.2. 16강4.3. 8강4.4. 4강4.5. 3, 4위전, 결승전

1. 개요

파일:ACT 2020 Summary.jpg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의 2020년 대회 본선을 설명하는 문서. 사상 최초로 남캐가 1명도 진출하지 못하여 이번 본선은 여캐들만의 무대가 되었다.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32강은 FIFA 월드컵의 그룹 스테이지 형식으로, 16강 또한 4인 1조 그룹 스테이지로 치러지고 8강부터 1:1 매치로 진행한다. 또한 16강은 32강과 달리 1표만 행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

2. 본선 진출 캐릭터 목록

(작품 가나다 ABC순)
(3차 예선 최다 득표 순위)

2.1. 연속 본선진출 캐릭터

2.2.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

2.3.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 이외 순위권)

2.4. 이전회 애캐토 예선 탈락자 중 첫 본선진출 캐릭터

3. 본선 결과

3.1. 32강 (12월 11일 ~ 12월 13일)

굵은 글씨는 16강 진출 캐릭터.

3.2. 16강 (12월 14일 ~ 12월 16일)

굵은 글씨는 8강 진출 캐릭터.

3.3. 8강 (12월 17일 ~ 12월 20일)

굵은 글씨는 4강 진출 캐릭터.

3.4. 4강 (12월 21일 ~ 12월 23일)

굵은 글씨는 결승 진출 캐릭터.

3.5. 결승, 3/4위전 (12월 24일 ~ 12월 27일)

굵은 글씨는 우승 및 3위 캐릭터.

3.6. 최종 결과

2020년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TOP 10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rowcolor=#fff> 순위 캐릭터 성우 출전 작품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일레이나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혼도 카에데 마녀의 여행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카토 메구미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야스노 키요노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피날레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캬루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타치바나 리카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1기
파일:트위터 4 이모지.svg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미나세 이노리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2기
파일:트위터 5 이모지.svg 미나토 유키나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아이바 아이나 BanG Dream! 3rd Season
파일:트위터 6 이모지.svg 사와무라 스펜서 에리리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오오니시 사오리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피날레
파일:트위터 7 이모지.svg 카후우 치노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미나세 이노리
파일:트위터 8 이모지.svg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카야노 아이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피날레
파일:트위터 9 이모지.svg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카도와키 마이 극장판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헤븐즈 필 제3장 스프링 송
파일:트위터 10 이모지.svg 에키드나 파일:트위터 여성 이모지.svg 사카모토 마아야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2기
}}}}}}}}} ||

4. 이야깃거리

4.1. 32강

4.2. 16강

4.3. 8강

4.4. 4강

4.5. 3, 4위전, 결승전


[1] 잘못 투표했다는 것은 투표하려 했던 2명의 캐릭터 중 1명만 투표할 수 있었다면 다른 캐릭터를 투표할 것이었다는 말[2] 총 득표수 순위에서 1,2위 득표수 간격이 300표 넘게 벌어진것은 이번대회에서 처음이다.[3] 참고로 일레이나가 속해있던 1조에서 일레이나는 득표율 50%를 초과했다. 즉, 같은 조 후보 3명 득표수를 다 합쳐도 일레이나보다 적다는 것.[4] 기적이라고 불리는 2017년 애캐토 결승조차 당시 칸나 카무이와의 득표차 수는 약 100표 가량 뒤쳐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엔 거의 득표 수가 600표가량 차이나는 일레이나를 상대해야 한다는 것.[5] 공교롭게도 6회 때 결승에 진출한 2명이다.[6] 설령 둘 중 1명이 진출한다 해도, 진출자는 4강에서 팀킬 혹은 강적을 만나게 된다.[7] 에리리가 렘을 이긴다면 다음 상대는 메구미와 우타하 내전의 승자. 즉 연속으로 내전이 벌어지는 진기록을 세우게 된다.[8] 사실 애캐토는 원래 이맘때쯤이면 캐릭터 TOP 10 공식 집계를 시작해 10위와 9위를 정하는 편이다. 다시 말해 7회 애캐토만 유일하게 캐릭터 TOP 10 공식 집계를 하지 않았던 것.[9] 8강 참가자 중 4위. 5위는 4조에서 1140표를 획득하고 4강으로 진출한 렘이었다.[10] 당시 여제 자리에 있던 렘은 도전자들을 다른 부역 세력으로 때려잡는 철저한 분할통치를 벌였는데, 그녀는 중국한국 투표자들에게 '잠만 자는 적폐캐'라며 많은 저항을 받아 자기를 드러낼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 그래서 최측근을 자처한 일레이나는 아예 확장기 내내 대리인으로서 팬덤 차원의 화력지원을 받았다.[11] 혼자 상대 여럿을 순수 체급으로 이겨낸 전과 달리, 21시즌 하반기부터 무력을 상실해가던 렘은 제 3지대 다크호스합종연횡이 절실했다. 마침 21년 미쿠 - 칸나 - 에밀리아, 22년 마린 - 요르 - 치사토 - 쿠루미는 왕조의 최우선 견제 대상이었고, 이 때 유일한 선택지로 유키나와 캬루가 지지를 받은 것에 가깝다.[12] 그리고 애캐토 2022에서 그녀는 대회 역사상 3번째 업셋 우승까지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