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비슷한 제목의 미나토 타카히로의 하츠네 미쿠 오리지널 곡}}}에 대한 내용은 [[앰비밸런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앰비밸런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앰비밸런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비슷한 제목의 미나토 타카히로의 하츠네 미쿠 오리지널 곡: }}}[[앰비밸런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앰비밸런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앰비밸런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アンビバレンス (Ambivalence) (앰비밸런스) | |
<colbgcolor=#ecfffb> 가수 | 하츠네 미쿠 |
작곡가 | |
작사가 | |
일러스트레이터 | しきみ |
영상 제작 | ツツミヒデアキ |
페이지 | |
투고일 | 2021년 6월 18일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 |
1. 개요
[ruby(앰비밸런스, ruby=アンビバレンス)]는 스리이가 2021년 6월 18일에 니코니코 동화와 유튜브에 투고한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코토노하 프로젝트(言ノ葉Project) 시즌2의 곡이다.
2. 영상
|
[nicovideo(sm38893825, width=640, height=360)] |
앰비밸런스 / 스리이 feat.하츠네 미쿠 |
|
앰비밸런스 / 스리이 feat.하츠네 미쿠 |
|
[nicovideo(sm38903321, width=640, height=360)] |
스리이×아이자와 / 앰비밸런스 |
|
스리이×아이자와 / 앰비밸런스 |
3. 가사
二律背反、自我と欲望の[ruby(刃物, ruby=メス)] |
니리츠하이한, 지가토 요쿠보오노 메스 |
이율배반, 자아와 욕망의 [ruby(칼날, ruby=메스)] |
体内を蝕った月面の[ruby(本能, ruby=エス)] |
타이나이오 쿳타 게츠멘노 에스 |
체내를 갉아먹는 월면의 [ruby(본능, ruby=에스)] |
ほら葛藤、倫理観の愛は |
호라 캇토오, 린리칸노 아이와 |
봐, 갈등, 윤리관의 사랑은 |
アンビバレンスな私なの |
안비바렌스나 와타시나노 |
앰비밸런스, 나인 걸 |
怒髪天衝いて吐いたエゴに |
도하츠텐 츠이테 하이타 에고니 |
노발대발하며 내뱉었던 에고에 |
『サヨナラ』世界は灰色に |
『사요나라』 세카이와 하이이로니 |
『안녕』 세상은 잿빛으로 |
分かっていたってどっかでは泣いて |
와캇테이탓테 돗카데와 나이테 |
알고 있더라도 어딘가에선 울고 |
気付いて悲しんでるの |
키즈이테 카나신데루노 |
깨닫고서 슬퍼하고 있어 |
重なり合っていったら |
카사나리앗테잇타라 |
한데 서로 겹친다면 |
陰って見えるんだろう |
카겟테 미에룬다로오 |
그림자가 져보이겠지 |
導火線の火の中に落っこちて |
도오카센노 히노 나카니 옷코치테 |
도화선의 불 속에 떨어져서 |
クラクラになるまで抑えた |
쿠라쿠라니 나루마데 오사에타 |
어지러워질 때까지 참았어 |
感情散って薔薇になる |
칸조오 칫테 바라니 나루 |
감정이 흩어져 장미가 되는 |
欲望だらけの世界に撃ち込んでいいんだろ? |
요쿠보오다라케노 세카이니 우치콘데 이인다로? |
욕망투성이 세상에 쏘아 넣어도 되는 거지? |
あなただけの愛を持って |
아나타다케노 아이오 못테 |
당신만을 향한 사랑을 지닌 채 |
私だけ願いを知って |
와타시다케 네가이오 싯테 |
나만이 소원을 알고서 |
あなただけの愛を持って |
아나타다케노 아이오 못테 |
당신만을 향한 사랑을 지닌 채 |
私だけ願いを知る |
와타시다케 네가이오 시루 |
나만이 소원을 알게 돼 |
二律背反、自我と欲望の[ruby(刃物, ruby=メス)] |
니리츠하이한, 지가토 요쿠보오노 메스 |
이율배반, 자아와 욕망의 [ruby(칼날, ruby=메스)] |
体内を蝕った月面の[ruby(本能, ruby=エス)] |
타이나이오 쿳타 게츠멘노 에스 |
체내를 갉아먹는 월면의 [ruby(본능, ruby=에스)] |
ほら葛藤、倫理観の愛は |
호라 캇토오, 린리칸노 아이와 |
봐, 갈등, 윤리관의 사랑은 |
アンビバレンスな私なの |
안비바렌스나 와타시나노 |
앰비밸런스, 나인 걸 |
望まないのも分かってるんだ |
노조마나이노모 와캇테룬다 |
원하지 않는다는 것도 알고 있어 |
胸に残ったのは感傷なんだ |
무네니 노콧타노와 칸쇼오난다 |
가슴에 남아있는 건 감상이야 |
赤く夜を照らすの |
아카쿠 요루오 테라스노 |
붉게 밤을 밝히는 거야 |
悲しみに声を震わせて |
카나시미니 코에오 후루와세테 |
슬픔에 목소리를 떨게 하며 |
泣いた夜が薔薇になる |
나이타 요루가 바라니 나루 |
울었던 밤이 장미가 돼 |
どうせ死ぬなら生きようと |
도오세 시누나라 이키요오토 |
어차피 죽을 거라면 살아가자고 |
願ってよ |
네갓테요 |
바라줘 |
クラクラになるまで抑えた |
쿠라쿠라니 나루마데 오사에타 |
어지러워질 때까지 참았어 |
感情散って薔薇になる |
칸조오 칫테 바라니 나루 |
감정이 흩어져 장미가 되는 |
欲望だらけの世界に撃ち込んでいいんだろ? |
요쿠보오다라케노 세카이니 우치콘데 이인다로? |
욕망투성이 세상에 쏘아 넣어도 되는 거지? |
あなただけの愛を持って |
아나타다케노 아이오 못테 |
당신만을 향한 사랑을 지닌 채 |
私だけ願いを知って |
와타시다케 네가이오 싯테 |
나만이 소원을 알고서 |
あなただけの愛を持って |
아나타다케노 아이오 못테 |
당신만을 향한 사랑을 지닌 채 |
私だけ願いを知る |
와타시다케 네가이오 시루 |
나만이 소원을 알게 돼 |
lalala..泣いた夜が薔薇になる |
라라라..나이타 요루가 바라니 나루 |
lalala..울었던 밤이 장미가 되는 |
lalala..その花束を |
라라라..소노 하나타바오 |
lalala..그 꽃다발을 |
lalala..感情散って薔薇になる |
라라라..칸조오 칫테 바라니 나루 |
lalala..감정이 흩어져 장미가 되는 |
lalala..その悲しみを |
라라라..소노 카나시미오 |
lalala..그 슬픔을 |
4. 게키츄마이 수록
4.1. maimai 시리즈
アンビバレンス | |||||
| |||||
아티스트 | すりぃ×相沢 | ||||
장르 | maimai | ||||
BPM | 187 | ||||
버전 | でらっくす UNiVERSE | ||||
최초 수록일 | 2021/09/22 | ||||
maimai DX 난이도 체계 | |||||
DELUXE | |||||
난이도 | <colcolor=green,#0c0> BASIC | <colcolor=orange> ADVANCED | <colcolor=red> EXPERT | <colcolor=#8324ff> MASTER | |
레벨 | 4 | 7 | 10+ | 13(13.0) | |
노트 수 | TAP | 163 | 275 | 439 | 564 |
HOLD | 14 | 15 | 77 | 50 | |
SLIDE | 5 | 34 | 41 | 203 | |
TOUCH | 18 | 41 | 26 | 51 | |
BREAK | 2 | 7 | 20 | 16 | |
합계 | 202 | 372 | 603 | 884 | |
보면제작 | - | - | 隅田川星人 | はっぴー |
아이자와가 커버한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4.1.1. MASTER
MASTER AP 영상[1]
4.2. CHUNITHM
5. 외부 링크
[1] 플레이어는 Amak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