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Undisputed Champion. '반박의 여지가 없는', '모두가 인정하는' 챔피언을 의미한다.프로 복싱에서 모든 메이저 기구의 타이틀을 통합한 챔피언에게 붙여지는 칭호이다. 대략 2007년도 이후부터 지금까지는 메이저 복싱 4대 기구(WBA, WBC, IBF, WBO)를 통합한 챔피언을 뜻한다.
2. 자격
- 1922-1963, NYSAC, NBA(WBA)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 1963-1983, WBA, WBC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 1983-2007, WBA, WBC, IBF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 2007-현재, WBA, WBC, IBF, WBO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선수
3. 역대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목록
3.1. NYSAC, NBA(WBA) 통합 챔피언
3.2. WBA, WBC 통합 챔피언
메이저 기구가 둘 뿐이었던 관계로 이 시기 통합 챔피언이었던 선수는 대단히 많았기에 본 리스트는 일부의 사례임을 미리 밝힌다. 또한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기 전이어서 이 시기의 해당 선수들에게는 본 명칭을 잘 쓰지 않는다.체급 | 연도 | 선수 |
슈퍼 웰터급 | 1965 | |
슈퍼 웰터급 | 1966 | |
슈퍼 라이트급 | 1967 | |
슈퍼 페더급 | 1967 | |
슈퍼 페더급 | 1967 | |
슈퍼 웰터급 | 1971 | |
미들급 | 1970 | |
헤비급 | 1970 | |
헤비급 | 1973 | |
헤비급 | 1974 | |
라이트급 | 1978 | |
웰터급 | 1981 |
3.3. WBA, WBC, IBF 통합 챔피언
체급 | 연도 | 선수 |
라이트급 | 1990 | |
슈퍼 라이트급 | 2001 | |
웰터급 | 1985 | |
1986 | ||
2003 | ||
2005 | ||
슈퍼 웰터급 | 2004 | |
미들급 | 1980 | |
2004 | ||
2005 | ||
라이트 헤비급 | 1983 | |
1999 | ||
크루저급 | 1988 | |
2006 | ||
헤비급 | 1987 | |
1990 | ||
1990 | ||
1992 | ||
1999 |
3.4. WBA, WBC, IBF, WBO 통합 챔피언
3.4.1. 남성
연도 | 선수 | 체급 |
2017 | 라이트 웰터급 | |
2018 | 크루저급 | |
2021 | 라이트 웰터급 | |
2021 | 슈퍼 미들급 | |
2022 | 슈퍼 웰터급 | |
2022 | 라이트급 | |
2022 | 밴텀급 | |
2023 | 웰터급 | |
2023 | 슈퍼 밴텀급 | |
2024 | 헤비급 | |
2024 | 라이트 헤비급 |
3.4.2. 여성
연도 | 선수 | 체급 |
2014 | 웰터급 | |
2019 | 미들급 | |
2019 | 라이트급 | |
2020 | 웰터급 | |
2021 | 라이트 미들급 | |
2022 | 슈퍼 미들급 | |
2022 | 라이트 웰터급 | |
2023 | 페더급 | |
2023 | 슈퍼 페더급 | |
2023 | 슈퍼 미들급 | |
2023 | 라이트 웰터급 |
[1] 대한민국 유일의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이다. 한국 권투 역사상 최초의 세계챔피언이기도 하다. 바로 위에 있는 니노 벤베누티를 이겨서 세계챔피언이 되었다.[2] 6회 타이틀 방어로 이는 아시아 역대 최다 언디스퓨티드 방어기록이기도 하다.[3] WBO 타이틀도 보유, 그러나 그 시대 당시에는 WBO는 아직 메이저 기구로 인정 받지 못 할 때 였다.[4] WBO 타이틀도 보유, 그러나 당시 WBO는 당시 메이저 타이틀로 인정 X[5] 남자 역사상 최초로 2체급 4대 기구 석권[6] 남자 역사상 두 번째 2체급 4대 기구 석권[7] 남자 역사상 세 번째 2체급 4대 기구 석권[8] IBO 타이틀도 보유[9] 남여 역사상 최초로 2체급 석권[10] IBO 타이틀도 보유[11] IBO 타이틀도 보유[12] 여자 역사상 두 번째 2체급 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