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23:49:55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참가 구단별 홈구장 (20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야마나시현
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

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파일:로아소 구마모토 로고.svg
피스 스타디움
커넥티드 바이 소프트뱅크

* 트랜스코스모스 스타디움 나가사키
파일:V-파렌 나가사키 로고.svg
에키마에 부동산
스타디움

파일:사간 도스 로고.svg
도야마현
종합운동공원
파일:카탈레 도야마 로고.svg
나루토·오오츠카 스포츠 파크
포카리스웨트 스타디움

파일:도쿠시마 보르티스 로고.svg
K's 덴키
스타디움 미토[br
]파일:미토 홀리호크 로고.svg
다이와하우스 프레미스트 돔
* 삿포로 아쓰베쓰공원 경기장
파일: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로고.svg
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

파일:베갈타 센다이 로고.svg
아키타현
소유 스타디움

파일: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로고.svg
ND 소프트
스타디움

파일:몬테디오 야마가타 로고.svg
유신 미라이후
스타디움

파일:레노파 야마구치 로고.svg
에히메현
닌지니아 스타디움

파일:에히메 FC 로고.svg
NACK5
스타디움 오미야

파일:RB 오미야 아르디자 로고.svg
오이타현
레조낙 돔 오이타

파일:오이타 트리니타 로고.svg
이마바리
사토야마 스타디움
파일:FC 이마바리 로고.svg
하와이안즈
스타디움 이와키

파일:이와키 FC 로고.svg
야마하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파일:주빌로 이와타 로고.svg
후쿠다 전자
아레나

파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로고.svg
후지에다시
후지에다 축구장

파일:후지에다 MYFC 로고.svg
* 표시는 제2 홈구장
◀ J1리그 구단별 경기장 J3리그 구단별 경기장 ▶
}}}}}} ||
파일:에가오 겐코 스타디움.jpg

파일: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로고.svg
<colbgcolor=#c00><colcolor=#fff> 로아소 구마모토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えがお健康スタジアム
Egao Genko Stadium
위치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히가시구 히라야마마치 2776
정식 명칭 구마모토 현립 운동 공원 육상 경기장
熊本県民総合運動公園陸上競技場
개장 1998년 3월
수용인원 32,000명
소유 구마모토현
운영 구마모토현 스포츠진흥사업단
그라운드 천연잔디 (107× 70m)
피치크기 105m × 68m
조명 4기
전광판 오로라 비전
설계자 니켄세케이
홈팀 로아소 구마모토 (J리그)
1. 개요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히가시구 히라야마마치 구마모토현민 종합운동공원 내에 있는 육상 겸 구기 경기장이다. 구마모토시 히가시구에 본사를 두고 에가오가 명명권을 취득하여 2017년 2월부터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의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1998년에 준공된 일본육상경기연맹 제 1종 공인 경기장으로, 당시 일본육상선수권대회의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다음 해인 1999년 제 54회 국민체육대회[1]의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15년 3월 2일에 2019 럭비 월드컵의 개최 구장으로 발표되었다.

2016년 4월 14일부터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경기장이 구호 물자 집적 거점으로 지정되며 일시적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지진으로 경기장 자체도 조명 시설, 관중석 일부가 손상을 입었다. 같은 해 7월에 안전 확인 작업이 완료돼 다시 경기가 가능해졌지만 일부 시설은 제한이 있었다. 애칭은 KKWING 이다.

2. 둘러보기

파일:2019_Rugby_World_Cup_logo.png
2019 럭비 월드컵 일본 경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요코하마 시즈오카 쵸후 토요타
파일:Nissan Stadium_(Yokohama).jpg
파일: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외부 이미지.jpg
파일:external/www.shimizu-group.co.jp/askanri0001.jpg
파일:stadium-07.jpg
<rowcolor=#5D6266> 요코하마 국제경기장
(72,327석)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50,889석)
도쿄 스타디움
(49,970석)
도요타 스타디움
(45,000석)
삿포로 오이타 고베 히가시오사카
파일:삿포로돔1.jpg
파일:1024px-OitaStadium1.jpg
파일:kobe_wc.jpg
파일:Higashiosaka_Hanazono_Rugby_Stadium.jpg
<rowcolor=#5D6266> 삿포로 돔
(41,410석)
오이타 스타디움
(40,000석)
고베 미사키 스타디움
(30,132석)
하나조노 럭비장
(24,100석)
구마모토 쿠마가야 후쿠오카 카마이시
파일:에가오 겐코 스타디움.jpg
파일:구마가야 럭비 그라운드.jpg
파일:LEVEL-5 stadium_spo_02.jpg
파일:2019.06.27droneDJI_0024mini_R.jpg
<rowcolor=#5D6266> 구마모토 스타디움
(32,000석)
쿠마가야 럭비장
(24,000석)
후쿠오카 하카타노모리 스타디움
(20,049석)
카마이시 우노스마이 부흥 경기장
(16,020석)
◀ 2015 2023 ▶
}}}}}}}}}}}} ||



[1] 현재는 국민스포츠체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