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22:41:48

에바그리우스

에바그리우스
Evagrius | Ευάγριος
파일:Evagrius.jpg
<colbgcolor=#C38C94,#2f3639><colcolor=#ffffff,#ffffff> 이명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Evagrius Ponticus)
에바그리오스 폰티코스 (Ευάγριος Ποντικός)
출생 345년
로마 제국 폰투스 이보라
사망 399년
로마 제국 아이깁투스 스케티스
직업 수도자, 부제
종교 기독교
축일 1월 16일(시리아 정교회)
2월 11일(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1. 개요2. 생애3. 사상
3.1. 로지스모이3.2. 아파테이아
4. 비판5. 영향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소아시아 출신의 수도자이자 부제, 신학자. 4세기 후반 교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명이고, 뛰어난 작가였다.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이집트의 마카리우스의 제자였고, 요한 카시아누스, 갈라티아의 팔라디우스의 스승이었다. 또한 오리게네스를 지지한 집단의 핵심 인물이었다. 영성생활에 관해 중요한 저술들을 남겼는데, 가장 유명한 작품들은 『프락티코스』와 『기도론』이다.

시리아 정교회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2. 생애

오늘날 튀르키예 토카트의 이보라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니크사르에서 교육받았고, 바실리우스에게서 독서직을 받았으며,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에게서 부제품을 받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소집되자 그레고리우스와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떠났다. 그러나 그곳에서 많은 세속적 유혹을 받았고, 결국 382년에 예루살렘으로 떠났다.

예루살렘 인근의 수도원에서 성녀 멜라니아와 루피누스와 함께 잠시 머물렀고, 거기서 중병으로 앓아누웠을 때 멜라니아의 간호를 받았다. 수도자가 되라는 멜라니아의 권유를 받아들인 후에야 건강을 회복했고, 385년에 이집트의 니트리아로 가서 2년 동안 생활했다. 그런 다음 켈리아에서 알렉산드리아의 마카리우스의 제자로 14년을 살았는데, 높은 학식과 금욕적인 삶으로 유명했고 399년에 세상을 떠났다.

3. 사상

3.1. 로지스모이[1]

에바그리우스는 다양한 형태의 유혹을 분류하는 체계를 연구했는데, 375년에 모든 죄의 원인이 되는 8가지 악한 생각(λογισμοὶ), 즉 8가지의 끔찍한 유혹에 대한 포괄적인 목록을 만들었다. 이 목록은 유혹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진단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한국어 영어 그리스어
탐욕/탐식 gluttony γαστριμαργία
음욕 lust πορνεία
인색/탐욕 avarice φιλαργυρία
비애 sorrow λύπη
분노 anger ὀργή
낙심 despondency ἀκηδία
자만 vainglory κενοδοξία
교만 pride ὑπερηφανία

약 2세기 후인 서기 590년,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이 목록을 칠죄종으로 개정했다.

3.2. 아파테이아

아파테이아(ἀπάθεια)는 '무정념'의 상태를 말한다. 내면의 애착이나 충동들로부터 자유로워진 상태로서, 여기서 참된 사랑의 능력이 비로소 발휘된다.

4. 비판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와 같은 카파도키아 교부들과 마찬가지로 에바그리우스는 오리게네스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때문에 에바그리우스의 견해는 그의 시대에도 비판받았고, 415년에 히에로니무스는 에바그리우스를 유명한 오리게네스주의자라고 부르며 아파테이아에 대한 그의 가르침을 비판했다.

5. 영향

에바그리우스의 이단성 혐의로 인해 그의 사변적인 그리스어 본문 저술은 많이 사라졌다. 그러나 5세기 초에 루피누스가 그의 많은 저술을 라틴어로 번역했고, 그 중에서 보존된 소수의 문장집은 베네딕도회에서 인기가 있었다.

에바그리우스의 영향력은 간접적인 형태로 더욱 컸다. 그의 존재성은 고백자 막시무스, 다마스쿠스의 요한, 신 신학자 시메온,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와 같은 동방 수도주의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시리아에서는 니느웨의 이사악이 그의 가르침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라틴 세계에서는 요한 카시아누스에 의해 전파되었다.


[1] Logismoi, 8가지 악한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