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0:49:27

에이쇼 황후

파일:Japan_Kou(tai)gou_Flag.svg
일본 황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승
진무 후
스이제이 후
안네이 후
이토쿠 후
고쇼 후
고안 후
고레이 후
고겐 후
가이카 후
스진 후
스이닌 후
게이코 후
주아이 후
고훈 시대
오진 후
닌토쿠 후
리추 후
야타
인교 후
안코 후
유랴쿠 후
겐조 후
나카시
닌켄 후
부레쓰 후
게이타이 후
안칸 후
센카 후
긴메이 후
비다쓰 후
히로히메
요메이 후
스슌 후
고테코
아스카 시대
스슌 후
조메이 후
고토쿠 후
덴지 후
고테코 하시히토
고분 후
덴무 후
몬무 후
토오치 미야코
나라 시대
쇼무 후
준닌 후
고닌 후
모로네 이노우에
간무 후
사카히토 타비코
헤이안 시대
간무 후
헤이제이 후
사카히토 타비코 타라시코
사가 후
준나 후
닌묘 후
코시 마사코 고조 후
닌묘 후
몬토쿠 후
세이와 후
고코 후
사와코 니조 후
우다 후
다이고 후
무라카미 후
타네코 야스코
레이제이 후
엔유 후
치카코 토우코
엔유 후
이치조 후
산조 후
고이치조 후
고스자쿠 후
고스자쿠 후
고레이제이 후
고산조 후
시라카와 후
호리카와 후
사이인 황후 시게코 가타이코 아츠코
호리카와 후
도바 후
사네코 가야노인
스토쿠 후
고노에 후
고시라카와 후
고카몬인 마사루코 구조인
고시라카와 후
니조 후
요시코 겐슌몬인 무네코
니조 후
다카쿠라 후
고토바 후
마사루코 시치조인 기쇼몬인
고토바 후
가마쿠라 시대
고토바 후
쓰치미카도 후
기쇼몬인
쓰치미카도 후
준토쿠 후
고호리카와 후
토우시 타츠코 안키몬인
고호리카와 후
고사가 후
고후카쿠 후
다이쿠인 도니조인 겐키몬인
가메야마 후
고우다 후
교고쿠인 단텐몬인
후시미 후
고후시미 후
츠네코 겐신몬인 고기몬인
고니조 후
하나조노 후
고다이고 후
사네코
고다이고 후
남조
고다이고 후
고무라카미 후
가키몬인
조케이 후
고카메야마 후
노부코
무로마치 시대
고코마쓰 후
쇼코 후
고하나조노 후
고쓰치미카도 후
고혼몬인 히카루코 아사코
고카시와바라 후
고나라 후
오기마치 후
세이코인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오기마치 후
고요제이 후
세이코인 주카몬인
에도 시대
고요제이 후
고미즈노오 후
고미즈노오 후
고코묘 후
고사이 후
레이겐 후
아사코
레이겐 후
히가시야마 후
나카미카도 후
사쿠라마치 후
모모조노 후
고모모조노 후
고카쿠 후
닌코 후
고메이 후
메이지 후
근현대
메이지 후
다이쇼 후
쇼와 후
아키히토 후
미치코
나루히토 후
마사코
}}}}}}}}}

파일:에이쇼 황태후.jpg

1. 개요2. 친정 가문3. 생애4. 기타

1. 개요

英照皇后 / 영조황후
1835년 1월 11일[1] ~ 1897년 1월 11일 (62세)

고메이 덴노의 정실로, 일본황후였던 인물이다. 또한 메이지 덴노의 양어머니이기도 하다.

2. 친정 가문

후지와라 가문의 주류 혈통을 이은 후손이자, 고셋케 중의 하나인 구조 가문의 딸로 태어났다. 이름은 아사코(夙子)이고, 이 이름 외에 노리키미(基君)로도 불렸다. 아버지는 에도 시대 말기의 공경으로, 좌대신 등을 지낸 구조 가문의 29대 당주인 구조 히사타다(九条 尚忠)이며, 어머니는 스가야마(菅山) 씨이다.

히사타다의 장남은 구조 미치타카(九条 道孝) 공작이고, 이 미치타카의 4녀가 바로 다이쇼 덴노의 정실 부인인 데이메이 황후이다. 즉, 에이쇼 황후는 데이메이 황후의 시할머니이자 고모인 것이다.

3. 생애

12살이 되던 해인 1845년 9월 14일에 3살 연상인 황태자 오사히토 친왕의 비(妃)가 되었고, 결혼한 지 이듬 해인 1846년에 남편인 오사히토 친왕이 고메이 덴노로 즉위하면서 황후가 되었다.

1850년에 제1황녀 요리코(順子) 내친왕과 1858년에 후키노미야(富貴宮) 내친왕을 낳았지만 모두 아기 때 죽었고, 1860년에 칙령에 의해 측실의 소생인 사치노미야 무쓰히토 친왕을 양자로 맞이했다.

32세이던 해에 고메이 덴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양자인 무쓰히토 친왕이 메이지 덴노로 즉위한 후인 1868년 3월 18일에 황태후가 되었다. 도쿄로 천도한 이후, 1872년에 아카사카 이궁(赤坂離宮)으로 거처를 옮겼고, 2년 뒤인 1874년에 또 아카사카 어용지로 어소를 옮겼다.

이후 1897년(메이지 30년) 1월 11일에 62세의 일기로 사망하였으며, 사망 후 에이쇼 황태후(英照皇太后)라는 추호를 받았다.

4. 기타

고메이 덴노의 영향인지 (能)를 좋아했다고 하며, 이 때문에 1878년 아오야마 고쇼에 노의 무대가 세워졌다. 그리고 1881년에 탄생한 일본 최초의 노가쿠 전용 극장(能楽堂)인 시바노가쿠도(芝能楽堂)도 황태후에게 감상을 제공하는 것이 설립 목적의 하나였을 정도이다.

또한, 황태후는 당대 노의 명인(名人)으로 이름을 떨쳤던 우메카와 미노루(梅若 実)와 호쇼 쿠로(宝生 九郎)에게 같은 곡을 공연하게 하여 그 재주의 차이를 즐겼다고도 한다.

[1] 아직 일본에 태양력이 사용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음력으로는 1834년 12월 13일. 일설에는 1833년 12월 23일 생이라는 말도 있으나, 이는 당시 일본 황실에서 황태자와 혼인할 때 배우자와 나이 차가 3살인 것을 피하는 풍습이 있어서 (당시 황태자였던 고메이 덴노는 1831년 생) 1년 빠른 1833년 생으로 고친 것이다. 마찬가지로 며느리인 쇼켄 황후(1849년 생)도 메이지 덴노(1852년 생)와 3살 차이였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서 1년 늦춘 1850년 생으로 고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