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계열사 | |
<colbgcolor=#6b6b6b,#a50034> 지주회사 | LG | |
전자 | LG전자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 | LG디스플레이 | LG이노텍 | |
화학 | LG화학 (팜한농 · 씨텍) | LG에너지솔루션 (얼티엄 셀즈 · HLI그린파워 · 넥스트스타 에너지 · L-H Battery Company) | LG생활건강 (코카콜라음료 · 해태htb) | |
통신·서비스 | LG U+ (미디어로그) | LG헬로비전 | LG CNS | LG경영개발원 (LG경영연구원 · LG인화원 · LG AI연구원) | HSAD | LG스포츠 (LG 트윈스 · 창원 LG 세이커스) | S&I코퍼레이션 | D&O (곤지암리조트 · 곤지암골프클럽 · LG생활연수원) | |
CSR | ||
공익재단 | LG연암문화재단 (LG아트센터 서울 · LG상남도서관 · LG사이언스랜드) | LG복지재단 (LG 의인상) | LG상록재단 (화담숲) | |
학교법인 | LG연암학원 (연암대학교 · 연암공과대학교) | |
언론 | LG상남언론재단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문대학 | ㄱ | |
ㄷ | |||
ㅁ | |||
ㅇ | |||
ㅈ | |||
ㅊ | |||
ㅎ | |||
기능대학 | ㅎ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
연암공과대학교 蓮庵工科大學校 Yonam Institute of Technology | |
| |
<colbgcolor=#7c878e><colcolor=#fff> 분류 | 2,3년제 전문대학 |
국가 |
|
재단 | 학교법인 LG연암학원 |
총장 | 안승권 |
재학생 | 1,185명 (2024년) |
경영위기대학 | 전문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629번길 35 (가좌동) |
소셜 미디어 | |
1. 개요
| |
연암공대 전경 |
LG가 세우고 LG가 가르치고 LG에서 채용하는 대학
산업기술 교육 경쟁력 국내 1위
LG그룹 산하의 전문대학이다. 연암은 LG의 창업주 구인회 회장의 호다.연암대학교가 축산에 특화된 농업대학이라면 연암공과대학교는 전기공학,기계공학,소프트웨어 인재양성에 특화된 공업대학이다.
LG그룹내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 대학이라 공업분야에도 꾸준한 투자를 하고있다.
2. 특징
아웃풋이 상당히 좋은 학교이며, 대기업 취업률이 상당히 높다.LG그룹내에서 운영하는 대학인 만큼 등록금도 저렴하다. 연 550만원 수준으로 개설되어있는 전 학과가 공학계열임을 고려해 본다면 전문대치고도 저렴한 금액이다. 이 학교에 지원하는 대부분의 학생은 국가장학금을 년 520 받는 걸 생각해보면 사실상 공짜이다. 장학금도 형평성 있게 지급하기 때문에 타대학 대비 일반학생 수혜율도 높은 편이다. 이러한 환경 덕에 학교 분위기는 매우 자유로운 편이다.
3. 학과
3.1. 전기전자공학과[2년제]
세부전공은 자동화(EV)와 임베디드(ES)로 나뉜다.3.2. 스마트전기전자공학과[3년제]
스마트전기전자공학과는 2017년 신설학과라서 스마트융합계열의 EV, ES 전공자들의 취업현황이 대신 잡히고 있다. 대략 70%의 취업률을 보이며 취업자의 50% 정도가 대기업 생산직에 취업한다.3.3. 기계공학과[2년제]
세부 전공은 기계설계와 컴퓨터응용기계로 나뉘며 대략 80%의 취업률에 취업자의 50% 정도가 대기업 생산직에 취업한다.3.4. 스마트기계공학과[3년제]
학과 기간은 3년제이다. 일정 요건을 채우면 4년 심화 과정이 개설 가능하나 아직까지는 학사 학위를 받은 학생이 없다.스마트 기계공학과는 연암공대 내에서도 최상위의 취업률을 달리고 있으며 취업을 안하는 학생은 있어도 못하는 학생은 없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학과에서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설계직 양성을 목표로 4년제와 동등 이상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으면서 국내 전문대 최초로 FEA교육을 강화하여 구조 해석 유동해석 까지 교육을 진행하여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3.5. 스마트소프트웨어학과[3년제]
전문학사기준 90%의 취업률을 보이며 취업자의 70%가 대기업에 취업한다. 또한 스마트소프트웨어학과 학생들은 4년 심화과정을 밟는 학생들이 많다.4. 연혁
- 1981년 : 연암공업전문대학 설립인가/ 전자과, 전자계산과 : 입학정원 276명
- 1983년 : 초대 김호길 학장 취임
- 1984년 : 제1회 입학식 거행, 연암공업전문대학 개교식
- 1985년 : 제2대 박윤서 학장 취임
- 1987년 : 기계설계과, 금형설계과 각 80명 증과 : 입학정원 400명
- 1988년 : 제3대 권순찬 학장 취임
- 1990년 : 공업디자인과 신설(80명), 전자,전자계산, 기계설계, 금형설계과 각 40명씩 증원, 입학정원 640명
- 1992년 : 제4대 권순찬 학장 연임
- 1995년 : 제5대 강인구 학장 취임
- 1998년 : 연암공업대학으로 교명 변경, 특성화 프로그램 평가에서 우수대학으로 선정
- 1999년 : 연암공업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교육부 설립인가, 산학협동관(진주창업보육센터)개관, 제6대 강인구 학장 연임
- 2003년 : 제7대 정광수 학장 취임
- 2007년 : 제8대 정광수 학장 연임, 제1대 김성진 부학장 취임
- 2009년 : 부학장제 폐지, 우수인력양성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선정, Vision 2015 선포
- 2011년 : 제 9대 박문화 총장 취임, 우수인력양성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선정,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전국 전문대학 취업률 1위,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WORLD CLASS COLLEGE)선정
- 2013년 :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획득, 스마트융합학부(3년제) 신설, 우수인력양성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지원대학 6년 연속 선정
- 2015년 :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유지, 제10대 박문화 총장 연임
- 2016년 : 연암공과대학교로 교명 변경,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중간평가 '매우우수' 등급 선정 - 교육부, 연암공과대학보 발간
- 2017년 :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획득 - 고등직업평가인증원, 스마트전기전자공학과 신설
- 2018년 : 교육부 주관 대학 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 제11대 이웅범 총장 취임
- 2019년 : 교육부 LINC+ 사업 선정
- 2020년 : 제 12대 안승권 총장 취임
- 2023년 : 제 13대 안승권 총장 연임
5. 출신 인물
- 손빈아 - 트로트 가수
6. 취업
LG그룹 산하의 학교이기 때문에 LG 계열사로만 취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삼성, 현대, 포스코 등 타 대기업으로부터도 추천장이 많이 들어온다. 취업을 준비하다보면 LG그룹의 인재양성 시스템에 대한 업계 신뢰도가 상당하다는 사실을 직접 체감할 수 있다.교수들 중에 LG임원 출신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다. LG와의 끈끈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략적으로 LG 출신 임원들을 교수로 채용한 결과이다.
7. 여담
삼성그룹의 성균관대학교가 4년제 대학이다보니 연암공과대학교도 연암대학교와 똑같이 꾸준히 4년제 승격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취업과 공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주로 진학하다보니 학생들이 졸업 후 4년제 학교에 편입해서 석박사 학위까지 얻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아예 연암대학교까지 합병해 대규모 4년제로 거듭난다는 이야기도 나오는 편.
만약 4년제 대학으로 승격한다면 LG그룹의 산하학교라는 명성도 있고 학교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지방대여도 학교의 위상이 엄청나게 올라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