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2:10:34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전문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문대학 <colbgcolor=#fff,#1c1d1f>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 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파일:김포대학교 UI.svg 김포대학교
파일:농협대학교 엠블럼.svg 농협대학교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서울한류캠퍼스) ·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 동서울대학교 ·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파주캠퍼스) · 파일:서울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예술대학교 · 파일:서정대학교 심볼.svg 서정대학교 ·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웅지세무대학교 엠블럼.svg 웅지세무대학교 · 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기능대학 I 파일:ICT폴리텍대학 심볼.svg ICT폴리텍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I대학(성남) ·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한국폴리텍II대학(화성)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반도체)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전문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공립 파일:충남도립대학교 심볼.svg 충남도립대학교
사립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파일:아주자동차대학교 엠블럼.svg 아주자동차대학교 · 파일:연암대학교 엠블럼.svg 연암대학교
파일:혜전대학교 UI.svg 혜전대학교
기능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Ⅳ대학(아산, 충남) ·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바이오)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전문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메인 종합 캠퍼스)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전문 <colbgcolor=#fff,#191919>파일:가톨릭상지대학교 UI.svg 가톨릭상지대학교 ·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 파일:경북보건대학교 심볼.svg 경북보건대학교 ·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성운대학교 UI.svg 성운대학교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파일:포항대학교 UI.svg 포항대학교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기능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VI대학(구미, 영주, 포항) ·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로봇)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문대학 파일:거제대학교 UI.svg 거제대학교 ·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 경남도립거창대학 ·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 경남도립남해대학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 창원문성대학교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 한국승강기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Ⅶ대학(진주·창원) ·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항공)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한국폴리텍대학 CI.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대학본부
한국폴리텍Ⅰ대학 한국폴리텍Ⅱ대학 한국폴리텍Ⅲ대학 한국폴리텍Ⅳ대학
한국폴리텍Ⅴ대학 한국폴리텍Ⅵ대학 한국폴리텍Ⅶ대학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부설 기관
한국폴리텍다솜고등학교
}}}}}}}}} ||


1. 개요2. 반도체융합캠퍼스
2.1. 학교 특징2.2. 학과
3. 바이오캠퍼스
3.1. 학교 생활3.2. 학과
4. 항공캠퍼스
4.1. 학과
5. 로봇캠퍼스
5.1. 학과

[clearfix]

1. 개요

한국폴리텍대학특성화대학을 지칭한다. 이 대학들은 지역별 캠퍼스[1]와는 별개의 캠퍼스다.

2. 반도체융합캠퍼스[2]

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사립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전문
대학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기능
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CI.svg 한국폴리텍대학(반도체융합캠퍼스) }}}}}}}}}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송원길 41-12에 위치한 캠퍼스. 원래 안성캠퍼스는 폴리텍 유일의 여자대학 이였으며 학명은 한국폴리텍여자대학이였다. 하지만 2015년부터 남녀공학으로 바뀌었다.

경기도및 국가가 조성하는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응하기 위해 안성캠퍼스를 반도체융합캠퍼스로 전환시켰다. 공공기관 치고 빠른 대응 속도이다.

2.1. 학교 특징

남자의 성비가 압도적으로 높은 전형적인 남초 학교이다.

학생들 중 대부분이 경기도 남부 지역에 거주하며, 서울, 수원, 야탑, 동탄을 이어주는 직행좌석버스가 많이 있어서 통학생들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기숙사는 흰여울관, 나래울관이 있는데 흰여울관은 시설이 상당히 좋지 않으며, 나래울관은 시설이 좋은 편이다.

통학버스로 현대 에어로 하이 스페이스를 운행하고 있다.[3]

2.2. 학과

3. 바이오캠퍼스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동안로112번길 48에 소재한 캠퍼스.

특성화 캠퍼스답게, 일반적인 전기기계 계열의 폴리텍과 달리 생명공학 계열을 배운다. 대부분 제약회사 혹은 관련 기관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된다.
초기에만 해도 입결컷이 매우 높았다고 한다. 2000년대의 선배들이 만들어둔 protocol이 지금도 남아있다.

3.1. 학교 생활

학교 부지가 굉장히 외진 곳에 있다. 근처에 대학가나 상권도 없고 가까운 마을까지 20분 이상 걸어야 한다. 정말 공부만 하기 좋은 환경이다. 그래서인지 기숙사 수용률이 매우 높고 [4] 오히려 커플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5] 학생들은 주로 강경에 가서 놀거나, 아예 논산 시내까지 나가기도 하는 편이다.

학교 내에 제법 괜찮은 수준의 체육관과 헬스장이 있고, 정문 앞에 마을 수영장이 있어서 운동하는 학생들이 자주 찾는 편이다. 특히 체육관에서는 탁구와 배드민턴을 즐기는 학생들이 많이 보이고, 비가 오지 않는 밤이면 풋살장도 붐빈다. 큰 운동장이 하나 있는데 거의 사용되지 않아서 가끔 데이트 하는 학생들 이외에는 한산한 편이다. 또한 교내에 큼지막한 GS25편의점이 하나 있다.[6] 식사시간이면 학생들이 자주 붐빈다. 그밖에 노래방 등 기본적인 여가 시설은 갖춰진 편이다.

기숙사는 예전에 남녀 공동이었다가 여학생 기숙사를 새로 짓고, 구 건물을 남학생 기숙사로 바꿨다. 그래서인지 둘의 시설 차이가 심한 편이다. 남자 기숙사는 군대식으로 공용 샤워장/화장실을 나눠쓰며, 가구 수준도 그다지 좋진 않다. 반면 여자 기숙사는 각 방마다 화장실이 있고, 엘리베이터까지 설치되어 있다. 둘 다 23~6시 통금이 있으며, 외박일지를 쓰지 않고 무단외박시 벌점을 받는다.[7]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지만, 건조기는 유료이며 세제와 각종 소모품은 개인이 준비해야 한다. 한 달에 두 번 정도 정기적으로 호실 점검을 도는데 방 상태가 너무 더럽지만 않으면 대부분 통과한다. 드물게 주류나 라면류를 반입했다가 벌점을 받는 경우도 있다.

학교 식당이 있어서 월~금요일에 한해 중/석식을 먹을 수 있다. 안타깝게도 아침식사는 제공되지 않아서 굶거나 편의점에서 사 먹어야 한다. 하지만 학식의 품질은 정말 좋은 편이다. 2023년 1학기의 경우에는 상당히 맛이 없어서 학생들의 원성이 자자했는데, 학교측에서 이를 인지한 것인지 2학기부터 영양사가 교체되고 다양하고 맛있는 메뉴들이 나오게 되어 만족도가 높다.

본관, 식당, 도서관, 남자기숙사, 여자기숙사를 잇는 지붕길이 있어서 비오는 날에도 이동이 가능하다.

3.2. 학과

}}}}}}}}}}}}}}}

4. 항공캠퍼스



경상남도 사천시 대학길 47에 소재한 캠퍼스.

유일하게 엔진 시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T-38 엔진을 사용한다.

4.1. 학과

5. 로봇캠퍼스

파일:영천시 CI_White.svg 영천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국립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전문대학 파일:성운대학교 UI.svg 성운대학교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로봇) }}}}}}



경상북도 영천시 운동장로 111에 소재한 캠퍼스.

5.1. 학과



[1] 한국폴리텍Ⅰ대학, 한국폴리텍Ⅱ대학, 한국폴리텍Ⅲ대학, 한국폴리텍Ⅳ대학, 한국폴리텍Ⅴ대학, 한국폴리텍Ⅵ대학, 한국폴리텍Ⅶ대학[2] 舊 안성캠퍼스[3] 출고된지 20년 정도 된 차량이다. 스포일러가 있으며, 화물칸의 문 길이가 에어로 스페이스 LS보다 길다.[4] 본인이 통학하지 않는 이상 전원 기숙사 생활이 기본이라고 보면 된다.[5] 다른 폴리텍과 달리 남녀 성비가 비교적 잘 맞는다. 애초에 생명공학 특성화 학교이니 어찌보면 당연한 사실.[6] 대학규정상 주류는 판매하지 않는다.[7] 애매한 상황이면 친구에게 부탁해서 외박일지 써달라고 하자. 쓰는데 10초면 충분하다. 일단 써두면 따로 검사는 안 받는다.[폐과] 신입생 정원 미달로 2023학년도 기준 폐지 절차를 밟았다.[9]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합성의약품이 아니라, 생물(세포)을 통해서 만들어내는 의약품. 당연히 더 효과가 좋고 확실하지만, 기술 자체가 많이 어렵다.[10] 보통 1학년 2학기에 진행한다. 실험 목적, 투여 물질/용량/용법, 실험군 설계, 평가 방법 모두를 학생이 디자인하고 수행한다.[11] 당연하겠지만 전문학사 학위이기 때문에 대부분 말단 연구원이나 기능직으로 들어간다. 뜻이 있는 졸업자들의 경우 근무하며 차후에 석박사 학위를 따는 경우가 종종 있다.[12] 몇 몇 수업은 밀도가 상당히 높아서 화장실 다녀오면 뒷 내용을 따라잡을 수 없는 수준이니 집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