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6:24:04

영일만항역

영일만항역
역명 표기
영일만항선 영일만항
Yeongilmanhang
迎日灣港 / 迎日湾港 / [ruby(迎日湾港, ruby=ヨンイルマナン)]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한리 895-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포항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운영 기관
영일만항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영일만항선 2019년 12월 18일
철도거리표
영일만항선
영일만항
종점

1. 개요2. 연혁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Screenshot_20220506-115700_Naver Map.jpg
영일만항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한리 소재.

영일만항 포항국제컨테이너터미널에 위치한다. '영일만항'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의해 음차한 'Yeongilmanhang'을 그대로 로마자 역명으로 고시했다.(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586호)[1]

이 역의 주소지인 용한리 853-1번지는 약 870미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모양인데, 북쪽 끄트머리는 영일만항로 철도건널목이고, 남쪽 끄트머리는 영일만대로와 영일만항로가 만나는 삼거리이다. 남단에서 포항영일신항망(주) 부지 쪽으로 반도처럼 좁게 튀어나온 땅이 있는데 그곳에 있는 건물이 영일만항역 역사 건물이다.

카카오맵 로드뷰로 보면 역명판이 2020년 10월까지도 없었다가 2022년 10월에는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로변에 철조망이 쳐저 있어 외부인의 출입이 불가하므로 위험하게 침입하지 말 것.

개업하면서 괴동역이 가지고 있던 남한 최동단역이라는 기록을 가져오게 되었다. 2024년 평해역이 개통할 때까지는 남한 최동단역이라는 타이틀을 유지할 예정이다.

2. 연혁

2013년 12월 12일, 포항영일만항 인입철도 착공 (포항역~영일만항역 2018년 개통 예정)
2017년 11월 15일, 포항 흥해읍 지진으로 개통 연기
2019년 10월 07일, 포항영일만항 인입철도 시운전 개시
2019년 12월 18일, 포항영일만항 인입철도 개통 (1,696억원 소요)
2020년 07월 01일, 화물운송 상업운전 시작 (국내 발전소로 납품되는 동남아산 우드펠릿, 기존에는 부산항을 이용하다가 운송비 감축 위해 영일만항으로 옮겨옴)
2021년 5월, 코로나19와 해상운임 상승 등으로 해운환경이 악화되면서 영일만항 물량이 줄어 철도운송을 위한 최소 물동량을 채우지 못 하여 운행 중단
2023년 01월 16일, 화물운송 상업운전 재개 (주3회, 영일만항역~안인역, 월남 및 인니 등에서 수입한 우드펠릿 화물)

3. 둘러보기

영일만항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객영업 안함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여수엑스포역[3]
최동단 영일만항역[4]
영덕역[5]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룡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6]
김포공항역(서해선)[7]
영광역[8]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선로가 북쪽으로만 나 있어 영업중지 상태이나 2027년 남쪽으로의 동해선 철도가 완공 예정이다.[2] DMZ-train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2024년까지 실질 운행역 기준으로는 연천역이다. 단, 13번 버스로 접근은 가능하고 2025년 무궁화호 투입 예정이다. 경원선 복원 시 월정리역이 최북단 역이 되겠으나 남북관계가 극도로 나빠져 사업 진척이 아예 없어 제진역이 먼저 될 가능성이 높고 위도도 제진역이 훨씬 높다.[3] 2025년 6월 남해선 개통 시 강진역이 최남단 역이 된다.[4] 2024년 말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 개통 시 평해역이 최동단 역이 된다.[5] 여객영업철도역 기준이다.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 개통 시 평해역이 최동단 역이 된다. 현재는 디젤동차 폐차로 포항역~영덕역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어 실질 운행역 기준으로는 북울산역이다.[6] 해발고도 기준이다. 2029년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시 청라국제도시역이 최저점 역이 된다.[7] 지표면 기준이다.[8] 단 북한 정권에서 공식적으로 이 역의 깊이를 발표한 적은 없다.
}}}}}}}}} ||




[1] 사실 영일만항역만 그런 것은 아니고 코레일 산하 역들은 방위명이나 시설명 등이 포함된 역명도 기본적으로는 이름 그대로 로마자로 음차한 역명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 광양항역이나 도고온천역같은 케이스가 대표적. 대학교 역명이나 아예 외래어에서 가져온 역명 정도가 예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