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0:54:30

오셀로틀(포 아너)


파일:13934_for-honor-prev.png
포 아너의 진영과 영웅
파일:external/static9.cdn.ubisoft.com/fh_factions-emblem-legions_ncsa.png 파일:external/static9.cdn.ubisoft.com/fh_factions-emblem-warborn_ncsa.png 파일:external/static9.cdn.ubisoft.com/fh_factions-emblem-chosen_ncsa.png 파일:wu_lin_faction.png 파일:outlander_symbol.png
기사 바이킹 사무라이 무림 아웃랜더
워든 <colbgcolor=#c79e93,#6c4337> 레이더 <colbgcolor=#99b3a1,#4c6654> 켄세이 <colbgcolor=#c0aad5,#3f2955> 천지 <colbgcolor=#b0c4de,#4F599F> 해적
컨쿼러 워로드 슈고키 장군 메자이
피스키퍼 버서커 오로치 여협 아피라
로브링어 발키리 노부시 소림 오셀로틀
센추리언 하이랜더 시노비 참호 크하툰
검투사 샤먼 아라무샤
블랙 프라이어 요르뭉간드르 히토기리
워몽거 바랑기안 친위대 쿄신
그리폰 소헤이

1. 개요2. 특징3. 기술4. 특수기
4.1. ★4.2. ★★4.3. ★★★4.4. ★★★★
5. 대사6. 패치 내역7. 기타

1. 개요

오셀로틀
Ocelotl
파일:forhonorocelotl.jpg
진영 파일:outlander_symbol.png
클래스 복합
무기 마쿠아후이틀, 테포즈토필리
특징 무력화에 능숙함, 갱킹에 능숙함
난이도 보통
성별 남성
생명력 130
체력 120
출시일 2023년 7월 28일
"내게로 오라"
("Xiwaalaki")

"내게로 오라"
("Xiwaalaki")

"내게로 오라"
("Xiwaalaki")

"사냥을 시작하자"
("Let the hunt begin.")

2023년 7월 21일 발표된 포 아너의 신규 영웅. 아즈텍 제국재규어 전사가 모티브이다.[1]

2. 특징

장점● 약, 강, 존어택, 몸가불을 이용한 다채로운 무한 연계
● 연계 공격과 마무리 공격의 특성을 이용한 심리전
  • 연계 약: 빠른 공격 속도
  • 마무리 강: 가드 불가
  • 아무 존어택: 슈퍼아머
● 연계 몸가불기인 해골 강타의 뛰어난 성능[2]
● 1단계 고유 특수기 '사냥꾼의 영혼'을 이용한 팀전투에서의 이점
단점● 확정타가 부실함[3]

3. 기술

파일:ocelotlweapon.jpg
무한 대체 연계 약, 강, 범위 공격, 해골 강타를 같은 공격이 연속되지 않게 사용
범위 공격 약 + 강
연계 범위 공격 범위 공격을 제외한 모든 공격 → 범위 공격
해골 강타 해골 강타, 재규어의 원한을 제외한 모든 공격 → 방어 해제
복수의 파멸 약 → 약
토나티우의 출정 강 → 강
양날 범위 공격 → 범위 공격
흉포한 송곳니 해골 강타 또는 재규어의 원한 → 방어 해제
재규어의 원한 전방 회피 → 방어 해제
재규어의 발톱 전방 회피 → 약
재규어의 꼬리 좌/우 회피 → 약
사냥꾼의 자세 C (데스크톱 기준)
사냥꾼의 올가미 사냥꾼의 자세 → 강
틀라록의 천둥 (방어 모드가 아님) 질주 → 강

약공격, 강공격, 존어택, 공격 후 방어 해제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면 무한으로 연계되는 무브셋이 특징으로, 체력(스태미나)이 허락하는 한 계속하여 연계 공격을 넣을 수 있다. 같은 공격을 연속으로 입력하면 마무리 공격을 하며 연계가 끝난다. 각각의 마무리 공격은 약공격은 400ms 약공격, 강공격은 전방향 방어불가 공격, 존어택은 슈퍼아머를 얻고 우측 공격, 방어 해제는 잡는 몸가불 기술로 상대를 잠시 묶어두며 22의 피해를 입힌다. 연계 도중 나가는 몸가불 기술인 해골 강타는 속임수(캔슬) 키를 눌러 취소할 수 있지만, 해골 강타 후 방어 해제로 시전하는 흉포한 송곳니나 전방 회피 후 방어 해제로 시전하는 재규어의 원한은 취소할 수 없다.

사냥꾼의 자세는 오셀로틀의 고유 자세로, 노부시의 은신이나 장군의 사부자세처럼 회피 판정이 있으며[4], 그 둘과는 다르게 자세 도중 방향키를 입력해 방어 고정 도중에도 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락온을 한 상태의 보통 이동 속도보다 빠르며 회피 동작을 하지 않고도 거리를 조절하기 쉽다. 이 자세에서 강공격을 누르면 나가는 사냥꾼의 올가미는 대상에게 빠르게 달려가 상단 강공격을 가하고 대상을 잠깐 잡아두는데, 모션이 크고 캔슬도 안 되기에 가까이서 쓰면 패링당하기 딱이다. 하지만 이 도약 공격의 전진 사거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적을 협공할 때 적의 화면 밖에서 갑자기 뛰어들며 공격하는 식으로 쓰면 대처하기가 매우 어렵다. 난전에서도 이 전진 거리와 자세 시작의 회피 판정으로 타겟을 바꾸면서 종횡무진할 수 있다.

연계 도중의 몸가불 기술인 해골 강타의 성능이 게임 전체를 통틀어서도 매우 뛰어난 편이기 때문에 이것을 중심으로 심리전을 펼치는 것이 강력하다. 해골 강타는 시전되기 전에 캔슬이 가능하고, 맞히면 즉시 18의 대미지[5]를 입히며 연계도 지속할 수 있고, 강타를 맞은 상대방에게 곧바로 연계 마무리 몸가불인 재규어의 원한을 날려 더 큰 대미지를 노릴 수도 있다. 몸가불이라 상대의 회피나 회피 공격에 주도권이 빼앗길 수 있는 리스크가 있긴 하지만 해골 강타 캔슬 후 횡방향 약공격을 날리면 넓은 공격 범위로 적의 회피나 회피 공격을 끊어먹을 수 있어 이를 역이용할 수 있는 등 주도권 싸움에서 크게 유리한 기술이다.

4. 특수기

백병전, 전멸전, 정복전 또는 돌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웅별 특수기술. 적 영웅 처치, 아군 부활, 미니언 사살, 거점 점령 등으로 명예 점수를 획득하여 해금할 수 있다.

4.1.

4.2. ★★

4.3. ★★★

4.4. ★★★★

5. 대사

모티브가 모티브인 만큼 아즈텍 제국의 공용어인 나우아틀어를 사용하며 아즈텍 신화와 관련된 대사도 많다. 특이하게도 전투 시에는 굉장히 호전적인 톤으로 말하지만, 비전투시의 대사는 상당히 차분하게 말한다. 다른 영웅들의 경우 전투와 비전투를 가리지 않고 호전적이라면 호전적으로, 차분하다면 차분하게 말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질적인 점.





6. 패치 내역

7. 기타


[1] 다만 복장 중에는 뱀 장식을 두른 것도 있으며 독수리 전사 복장도 있다.[2] 몸가불기인데 18의 자체 대미지가 있고 캔슬이 가능하다. 18 대미지는 약한 강공격(20 대미지)과 비등한 수준이며 그게 몸가불기에 달려있다는 것에서 전례가 없다. 보통은 슈고키의 박치기처럼 10 대미지 정도로 약공격보다 살짝 약하게 만든다. 기본적인 성능도 발동이 빠르고 캔슬도 가능하고 체력 소모도 적고 추적력과 전진성도 좋으니 몸가불기 중에서는 최상위권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3] 전방 회피 몸가불의 후속 약공격 이외에는 아예 없다. 그렇지만 그런 만큼 몸가불기와 무한 연계를 통한 심리전이 강력해서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부각되는 단점은 아닌데, 그 말은 전투에서의 이득을 오로지 기본기를 비롯한 심리전에서 이겨서 취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해서 숙련되는 과정이 어려울 수는 있다.[4] 다만 이 회피판정을 믿고 적의 공격을 피하는 용도로 쓰진 말자. 슈퍼아머도 없고 후속 강공격까지 선딜도 제법 있다 보니 한 번은 피해도 그 다음 공격을 맞게 된다.[5] 일반적인 강공격들이 24 대미지, 좀 약한 대미지의 강공격이 20 대미지 정도 한다.[6] 높은 지점에서 추락하여 바닥에 떨어져 사망은 제외한다.[7] Xólotl: 불, 번개, 죽음, 지하 세계와 관련된 아즈텍 신화의 신 이름. 죽은 자들이 '믹틀란'이라는 지하 세계(사후 세계)를 지날 때 안내하는 역할을 했고, 지하 세계의 힘이 지상에 미치는 것을 막아 태양을 보호했다고 한다.[8] 뒷부분이 효과음 때문에 잘 들리지 않아 '티탈'부분만 들린다.[9] 진입 시 바로 들리는 것이 아니라, 조금 유지하다보면 크게 숨을 내뱉는데, 이 이후에서야 말한다. 연계기 때의 대사와는 달리 매우 차분한 편이다.[10] 사망 후 영혼 상태로 돌아다니는 동안 무작위로 출력된다. 연계기 때의 대사와 달리 매우 차분한 편이다. 사냥꾼의 영혼을 통해 부활할 때는 크게 소리를 지르거나 웃는다.[11] 믹틀란(Mictlan)은 아즈텍 신화에 나오는 사후 세계의 이름이며 '지하 세계'라고도 불린다.[12] 믹시코아틀(Mixcoatl)은 아즈텍 신화의 사냥의 신이자, 은하수 · 별 · 하늘과 동일시되는 신이라고 한다.[13] 트레일러에서 구사했던 것과 거의 같은 말이다.[14] 토나티우: 아즈텍 신화에서 태양과 동일시되는 태양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