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4:36:17

와이드바인

1. 개요2. Widevine DRM
2.1. 보안 수준 (Security Level)2.2. 지원하는 시스템2.3. Widevine을 지원하는 VOD 서비스


Widevine 공식 홈페이지
Google Developers의 Widevine 문서 페이지

1. 개요

와이드바인(Widevine)은 구글에서 제작한[1] 동영상 DRM 솔루션이다. 하드웨어/칩셋 제작사와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별도의 로열티를 받지 않는 무료 솔루션이라는 장점에 힘입어 다양한 OTT 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2. Widevine DRM

Widevine DRM이 적용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기기와 소프트웨어가 Widevine DRM CDM(콘텐츠 복호화 모듈)을 지원하여야 한다.

2.1. 보안 수준 (Security Level)

Widevine DRM은 아래와 같은 3단계의 보안 수준을 가지고 있다.
Widevine L2 이상은 TEE에서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Widevine을 지원하여야 DRM 영상 디코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야 한다.위의 3가지 요소 중 하나라도 빠진다면 신뢰의 사슬(Chain of trust)이 깨진 것으로 보고 Widevine L3으로 강등당할 수 있다.

PC 브라우저용 Widevine은 크랙 사건 이후로 보안 업그레이드를 크게 해서 L3이긴 하지만 모바일용 L3보다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모바일용 L3에서 1080p를 제한하는 서비스에서 Chrome/Firefox에서는 일부 1080p 재생을 지원하는 경우가 있다.

2.2. 지원하는 시스템

보통 넷플릭스가 되는 기계라면 지원한다고 보면 된다.

2.3. Widevine을 지원하는 VOD 서비스

이외에도 수많은 OTT/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Widevine DRM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에는 호환성을 위해 Microsoft PlayReady, Apple FairPlay 등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사업자도 있지만 보통 Widevine을 주력으로 이용한다.

[1] 정확히는 원 개발사인 Widevine Technologies, Inc를 구글이 인수한 것이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Widevine Modular는 구글 인수 이후 개발된 것이므로 구글에서 제작했다고 봐도 무방하다.[2] Trusted Exection Environment/신뢰 가능한 실행 환경. 대표적인 예로 Arm TrustZone, AMD PSP, Intel SGX 등이 있다.[3] Microsoft Edge에서는 Microsoft가 개발한 DRM 시스템인 PlayReady가 가능한 경우 우선 사용되며, 하드웨어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므로 일반적으로 Widevine L1과 동급으로 여겨진다.[4] 대신 Apple의 Fairplay DRM이 탑재되어 있다.[5] OTT사업자는 아니지만 웹플레이어에서 사용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