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64532><rowbgcolor=#164532><tablecolor=#fff><width=53%> ||우왁굳
관련 문서 ||
관련 문서 ||
{{{#!folding [ 콘텐츠 ]
{{{#!folding [ 밈 ]
{{{#!folding [ 관련 문서 ]
[clearfix]
1. 개요
왁타버스 중간계는 이세계아이돌, 왁타버스 고정 멤버를 제외한 우왁굳 방송에서의 네임밸류가 있는 시청자 그룹을 말하는 통칭이다.2. 탄생 과정
아프리카TV BJ 및 트위치 스트리머인 우왁굳이 시청자 참여 방송으로 멀티플레이 게임을 진행할 때[1] 잦은 빈도로 출연하거나 깊은 인상을 준 시청자들이 있었고, 통상 BJ들과 마찬가지로 '네임드 시청자'를 암묵적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네임드 시청자와 그렇지 않은 비네임드가 자율적으로 혼재된 시참 방송에서 우왁굳과 조화 및 케미가 높은 시청자들을 선별하여 참여가 고정된 시청자 즉, 고정 멤버를 몇 차례 구성해 진행했으며, 그중 가장 큰 활약을 보인 것이 고정 멤버(0기)이다.2021년에 이세계아이돌과 왁타버스 고정 멤버 콘텐츠가 인기를 구가하자, 우왁굳이 기존 고정 멤버 체제와 별개인 네임드 시청자들을 구별하기 위해 이들을 묶어서 지칭하는 단어로 반지의 제왕의 '중간계'(가운데땅)에서 따온 이름이다. 이세계아이돌 또는 고정 멤버와 달리 고유한 심사나 명확한 기준이 없으며, 유명[ruby(한,ruby=해진)] (우왁굳 방송의) 시청자를 의미하는 왁타버스만의 별칭이다.[2] 왁타버스에서 통칭하는 용어지만 구체적으론 우왁굳 방송에서의 네임밸류를 기준하며, "시청자 참여"는 게임만이 아니라 우왁굳과 시청자들에게 각인될 수 있는 모든 행위[3]가 포함된다.
3. 기준
우왁굳은 자신의 유튜브 영상을 한 번이라도 봤으면 팬치고, 중간계 또한 시청자 참여시참를 한 번이라도 했다면 유효하다고 했으며, 이세계아이돌의 고정 멤버도 상황에 따라 산하 그룹으로 또는 중간계로 분류하므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는 칭호다. 그러나 우왁굳은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는 사람'이라고도 덧붙였기에 최소한의 신뢰성을 기준함을 암시하였다. 그 예로 트롤링하지 않는 게임 시참 유저, 서버 주소[4]를 재배포하지 않는 유저, 게임 소스를 유출하지 않는 팬 게임 테스터 등이 있다.번외로 네임밸류가 부족하지만 왁타버스에 잦은 참여를 보인 시청자를 어중간한 중간계라 칭한 '어중간계'라는 파생 은어가 있다.
4. 인식 및 현황
중간계는 프로 방송인이 아니라 단순히 네임드 시청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있다. 간혹 재미있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하지만, 개개인의 개성이 크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지 않다. 고정멤버 출범 이후로 중간계가 없어도 대부분의 컨텐츠를 진행할 수 있는 인원이 만들어지면서, 중간계의 컨텐츠 참여 기회는 다소 줄어들었다.
이세계아이돌과 고멤 가요제의 성공으로 왁타버스가 크게 성장한 2022년에는 우왁굳이 일반 스팀 게임을 많이 하지 않게 되면서 중간계 시청자 참여는 더더욱 적어졌고, 일반 시청자가 인지도를 쌓고 중간계가 될 기회 또한 적어졌다. 이에 대한 호소 메일을 많이 받았는지 우왁굳은 왁타버스 컨텐츠 기획 도중 스팀 게임을 해달라는 시청자, 고멤 합방을 원하는 시청자, 시참 콘텐츠를 원하는 시청자로 중구난방한 요구에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하냐며 몇 차례나 하소연하였다. 당시 고멤들은 중간계보다 시참 가능성이 더 높은 점을 과시하며 중간계를 배척하고 온갖 험담을 퍼부어 깎아내리는 꼰대 행위로 대립 구도를 형성한 적이 여럿 존재한다. #, #, #.
우왁굳이 SOOP으로 이적한 이후, 동시기에 SOOP으로 이적했거나 원래부터 활동해온 버튜버들을 컨텐츠에 참여시키기 시작하면서 중간계의 참여 기회는 다시 크게 줄어들게 되었다. 2024년에는 방송 중 "중간계는 팽했다(...)"고 언급하는 등 우왁굳 본인도 중간계의 입지 감소는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멤 오디션 관련으로도 중간계가 크게 부정적으로 묘사된다. 특정 참가자가 좋은 어필을 못 하거나 이미지 소모 느낌이 크면 중간계 블랙홀에 빠졌다거나 귀속되어버렸다는 등 종종 중간계를 오디션 합격에 발목을 잡는 부분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5. 유형
- 시청자 참여 게임 또는 컨텐츠를 통해 유명해진 시청자: 별나무, 피카온, 주닝요, 한정식집, 밀크라지 등
- 마인크래프트 건축가[5]: 캔인데요, 198번, 새담요 등
- 前 왁카데미: 우왁굳의 왁카데미 참여 이력이 대표적인 인물
- 前 고정 멤버: 이전에 우왁굳의 고정 멤버 참여 이력이 대표적인 인물
- 고정 멤버 0기 멤버
- 짭멤
- 왁타버스 시참에 자주 참여하는 스트리머[6]: 마이곰이, 밍턴, 여르미, 한결, 양도끼 등
- 이세계아이돌 산하 그룹[7]
- 제작계 또는 작업계
왁타버스의 다양한 콘텐츠들을 제작해 활약하는 시청자들을 말한다. - 아바타 제작 및 감독: 사무엘, 시추노 등
- 작곡 및 믹싱: 빕어, 고단씨, CLTH 등
- VR챗 맵 제작: 클로버, 초원의 야생마, 메르보, 킴카멘, 섄디한, 찰리씨, 빈즈 등
- 일러스트레이터: 라면조리기, 머준, 채고다징버거 등
- 탈락계: 왁타버스 멤버고멤 클래식·고멤 아카데미·고멤 하드코어·이세계아이돌 지원자 출신. 특별히 고멤 하드코어 탈락계는 프리미엄 중간계라고 부르기도 한다.
- 지원자 캐릭터를 가지고 따로 방송을 하지 않는 경우, "오디션계"라고도 한다.
- 지원자 캐릭터를 가지고 독립하여 방송을 하는 버튜버: 남궁혁 등
- 왁물원의 스탭: 사냥우벌, 북기213 등
- 우왁굳 방송의 채팅 매니저, 방송 매니저, 편집자 등
- 우왁굳TV 시즌 1 & 시즌 2 및 겜스터 멤버들 (일명 '가족계')
6. 합방 목록
6.1. 2025년
- 25/01/09 중간계 기습소집 #풀
VR챗으로 중간계 인원을 선착순으로 100명만 받아 진행했다. 주로 탈락계, 짭멤 등 위주로만 받고 작업계, 마크 참여자, 버튜버 등은 제외시켰다.
7. 관련 문서
[1] 대개 Steam의 게임이며, PlayStation 및 일명 09왁굳 시기는 Xbox 360도 해당한다.[2] 고정 멤버 체제로 오인한 에일리가 중간계가 되려면 어떻게 하냐고 질의하기도 하였다.[3] 팬 게임 제작, 왁물원 활동, 왁타버스 콘텐츠 제공 등.[4] 마인크래프트, 아르마 3 등의 우왁굳 고유 서버의 접속 주소 및 암호.[5] 흔히 '마크팬치'라고도 불린다.[6] 대부분이 버튜버이므로, 간혹 '버튜버' 범주로 따로 분류되기도 한다.[7] 간혹 '산하' 범주로 따로 분류되기도 한다(2023년 12월 31일의 왁타버스 송년회 등).[8] 이세돌 멤버 중 유일하게 징버거는 산하 그룹이 없기에 가끔 합방을 하고 개인 방송을 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는 친오빠인 오라버거를 징버거의 산하 멤버라며 우스갯소리로 얘기하는 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