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1-20 16:46:04

왕(그림자 자국)


드래곤 라자 시리즈
◀드래곤 라자 ◀퓨처 워커
파일:ShadowTrails.png
등장인물 설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실체

1. 개요

그림자 자국의 등장인물. 바이서스의 왕을 말한다. 왕비의 배우자로, 그녀의 진면목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 채 그저 헌신적인 아내로만 알고 있다. 스스로는 알지 못한 채 왕비의 계략에 의해 예언자를 정략에 이용하고, 멸망의 예언을 막기 위해 시에프리너와의 전쟁을 일으킨다. 왕비의 계략에 조종당하는 수동적인 역할로 나오지만 루트에리노 대왕의 후손답게 천성적인 카리스마를 보이는 극적인 장면을 종종 연출해내는 인상적인 왕이다.

오디오북 성우는 양준건.

2. 실체

그림자 지우개의 존재로 인해 시에프리너 다음으로 정체성의 피해를 입은 인물. 프로타이스그림자 지우개에 의해 지워진 세계와 지워지지 않은 세계에서는 분명히 서로 다른 인물들인데, 한 명으로 합쳐지게 되었다.[1]

프로타이스가 지워지지 않은 세계에서 왕은 중년의 신사로, 점잖치만 심장이 약한 유약한 성품의 왕이었다. 그는 왕의 품위에 걸맞게 퍼시발이라는 을 타고 다녔다. 그는 야심이 큰 그의 조카가 왕권에 위협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국가의 이익을 위해 솔베스를 차지 하기 위해 발탄과의 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전쟁통에 그의 조카가 발탄의 저격수, 에이다르 바데타에게 저격당해 사망하는 바람에 크게 상심하게 되고, 왕비는 의기소침한 왕과 바이서스를 위해 예언자를 닦달하게 된다.

프로타이스가 지워진 세계에서 왕은 활발한 성품을 가지며 매사에 열정이 넘치는 청년이었다. 그는 왕의 조카였으며 원래는 바테타에게 살해당해야 했지만 프로타이스가 바데타를 살리지 못했기에 무사했다. 그는 큰 야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을 주변에 드러내지 않으려 가볍게 행동하였다. 그는 주위의 시선을 아랑곳하지 않고 최신예 바이크, 퍼시발을 타고 다녔다. 솔베스를 두고 벌어진 발탄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자, 평소 심장이 약하던 선왕이자 백부는 그만 심장 발작을 일으켜 죽고 만다. 그는 주변의 반대를 무릅쓰고 백모였던 왕비와 결혼하여 왕위를 물려 받았지만, 이러한 정략 결혼에도 두 사람은 서로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었다. 왕비는 그의 사랑하는 왕을 위해 예언자를 닦달하게 된다. 프로타이스가 지워진 후에 등장하는 왕은 바로 이 사람이다.

이를 암시하는 복선이 작품 내에 딱 한번 등장하는데, 바로 프로타이스가 바이서스군을 수많은 환상과 함께 습격하는 장면이다. 이때 왕은 왕비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퍼시발을 타고 뛰쳐 나간다. 근데 왕비가 프로타이스를 지운 후에는 바이크를 타고 등장한다. 단순한 오타나 오류로 착각하기 쉬워서 알아차리기 어려운 복선이다.

프로타이스가 그림자 지우개의 영향에 저항하는 동안, 그는 두 사람 모두의 기억을 떠올리고 혼란에 빠지고, 외모마저 둘을 섞어 놓은 듯한 모습이 되게 된다. 왕비는 '왕'을 사랑했기에 둘 중 어느 한 쪽을 버릴 수도 없어 큰 혼란에 빠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왕마저 죽어버리자 자살한다.

결국 예언자가 스스로를 그림자 지우개로 지워 예언자가 존재하지 않게 되는 마지막 세계에서, 왕은 전쟁에서 패배한 책임을 피하기 위해 아무도 하지 않은 예언을 핑계로 시에프리너를 공격하고, 왕비의 처녀 수태를 믿지 못해 왕자를 미끼로 시에프리너의 알을 파괴하고 죽은 미치광이로 역사에 남는다. 예언자가 사라졌지만 그의 예언과 드래곤 라자인 왕자가 남기 위해 인과관계가 재조정되는 바람에 천하의 개쌍놈이 되어 버린 인물. 사실 이전에도 그리 좋은 모습은 보여주지 않았기에[2] 원래 이게 본 모습일지도 모르긴 한다.
[1] 왜 서로 "타인"인 두 인물이 섞이는지 궁금해질 수도 있다. 이는 작가의 다른 작품, '행복의 근원'이 해답이 되어 줄지도 모른다. '나의 근원은 너', 다시 말해 내가 누구인지를 정의하는 것은 타인이라는 의미이다. 왕비가 그 둘을 모두 자신의 왕으로 생각했기에, 두사람 다 왕비가 사랑하는 왕이라는 하나의 인물로 수렴한 것이다. 물론 왕비만큼 깊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대중들이나 신하들에게도 왕은 젊은 왕이든 늙은 왕이든 상관없이 왕이었을 것이다. 이는 드/라에 나왔던 '나는 단수가 아니다'의 역발상일지도 모른다. 여기서 조금 더 대담한 추측을 하자면, 바로 이 작품을 읽는 독자들이 두 왕을 구분하지 못 하고 하나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의 근원이 너라면, 소설의 등장 인물이 누구인지 정의하는 건 소설을 읽는 독자라는 뜻일지도? 다른 방향으로 다소 안타까운 추측을 하자면, 왕이라는 존재는 개인으로써 존재할 수 없는 자리이며 그 지위에 자신을 맞추어야 하는 자리이다. 왕비를 포함한 왕을 아는 모든 사람에게, 왕이 개인적으로 어떤 사람인가는 중요하지 않았으며 그저 왕이라는 사실 자체만이 중요했을지도 모른다. 심지어 왕 자신조차도.[2] 자신의 부하들을 희생양으로 삼아 아일페사스를 공격한다거나. 그 방법이 정확히 뭐였냐면... 카미카제다. 물론, 비행기로 다른 공격을 할 방법이 없었냐고 묻는다면 그건 아니었다. 처음에 시도했던 방법은 비행기로 선회하면서 권총(...)으로 파일럿이 직접 쏘는 것. 아일페사스는 이 공격을 보고 분노를 넘어서 안쓰러움과 오만함을 느꼈다(...). 심지어 그런 카미카제에 대해 국가를 위해 몸을 바쳤으니 국가가 그들이 되었다면서 나는 단수가 아니다라는 말을 오용한다. 당연하지만 이 희생은 자기 희생이 아니라 희생양으로 바쳐진 것이며, 애초에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알을 깨부순답시고 한 짓이기 때문에 더더욱 존중받을 가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