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1:40:48
}}}}}}}}} ||1 . 개요2 . 설명3 . 수록 팩 일람4 . 관련 카드4.1 . 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4.2 . 헬리오스 트리스 메기스트스5 . 서포트 카드5.1 . OCG화 된 카드5.2 . OCG화 되지 않은 카드유희왕 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원시태양 헬리오스, 일어판명칭=<ruby>原始太陽<rp>(</rp><rt>げんしたいよう<rp>)</rp></ruby>ヘリオス, 영어판명칭=Helios - The Primordial Sun, 레벨=4, 속성=빛, 종족=화염족, 공격력=?, 수비력=?,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제외 상태인 몬스터의 수 × 100 이 된다.)] 제외되어 있는 몬스터 수에 따라 공격력 / 수비력이 결정되는 지속 효과 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붉은 마수 다 이자 와는 달리 몬스터만 카운트하는 대신 상대의 제외된 카드도 카운트한다. 하지만 이를 감안해도 능력치의 상승 폭이 너무나도 작아 다 이자만큼의 전투 능력은 별로 기대할 수 없다.매크로 코스모스 로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으니 이 점을 활용해 보도록 하자. 웬만해서는 전투 요원으로 써먹기보다는 릴리스나 엑스트라 덱 몬스터 소환용 소재로 쓰는 것이 좋다. 레벨 4 / 빛 속성이라 엑시즈 소환 에 특히 이용하기 쉬운 덕분에, 벨즈 썬더버드 나 포톤 스래셔 등 패에 잡혀도 알아서 꺼내기 쉬운 몬스터와 병용해볼 수 있겠다. 빛 속성을 전개하는 수단은 한정되어 있어, 세이크리드 오메가 등을 이용하는 경우 유효한 선택지가 된다. 다만 매크로 코스모스로 전개한다면 휘광자 파라디오스 의 드로우 효과를 저해하게 된다. 한 편, 화염족 2장으로 엑시즈 소환할 수 있는 헬프레임 고스트 의 효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혼자서는 기능하기 어려운 카드이므로 패 사고를 유발하기 쉽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차원 제왕 덱에서는 이차원의 생환자 등의 보조 카드와 병행하여 릴리스 소재가 되줄 수 있지만, 원체 패 사고가 나기 쉬운 덱이므로 채용을 꺼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세븐 스타즈 편 에서는 아므나엘 이 유우키 쥬다이 와의 듀얼 중 사용. 매크로 코스모스 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었으며, 발동 당시 연금가마-카오스 디스틸 의 효과로 제외된 몬스터가 11장이라 공격력은 겨우 1100. 그래서인지 공격할 일도 없이 황색의 과정-키토리닉스 의 제물이 되어 후술할 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 로 진화하게 되었다. 매크로 코스모스가 여러 번 재록되는 것에 비해 이 카드는 좀처럼 재록이 되지 않고 있다.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6-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06-JP002 |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エキスパート2006 同梱カード 2013-01-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T01-JP002 |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3 Vol.1 2006-03-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C6-EN002 | Yu-Gi-Oh! ULTIMATE MASTERS - World Championship Tournament 2006 - Bundles 2008-04-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DE-EN005 | THE DARK EMPEROR STRUCTURE DECK 2023-03-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3-ENF01 | SPEED DUEL GX: DUELISTS OF SHADOWS 2009-0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3-KR021 | 프리미엄 팩 Vol.4
4. 관련 카드 진화형인 헬리오스 시리즈의 경우엔 전부 태양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름으로 보아 태양신 헬리오스 에서 모티브를 따왔음을 알 수 있다. 원시태양 헬리오스와 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는 황금의 호문쿨루스 와 같이 유희왕 듀얼 몬스터즈 익스퍼트 2006 에, 트리스 메기스트스는 한정판 V점프팩에 동봉된 카드라 구하기가 힘들다. 그나마 헬리오스 1형태는 리미티드 팩 GX-오시리스 레드 에 재록됐으나 나머지 둘은 재록되지 못했다. 국내에선 익스퍼트 2006 동봉들이 프리미엄 팩 4 로 정발된 데다 헬리오스 트리스 메기스트스 가 일반 소환도 가능한 카드라 그나마 다행. 빛 속성 / 화염족이라는 조합은 오랜 세월 동안 이 '헬리오스' 시리즈밖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발매 12년정도 후인 2018년에 데블리철-캔돌 의 등장으로 유일하지만은 않게 되었다. 모티브가 되는 헬리오스는 남신인데 어째 일러스트는 전부 여성형이다.4.1. 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 일어판명칭=ヘリオス・デュオ・メギストス, 영어판명칭=Helios Duo Megistus, 레벨=6, 속성=빛, 종족=화염족, 공격력=?, 수비력=?,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원시태양 헬리오스 1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제외 상태인 몬스터의 수 × 2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올린다.)] 원시태양 헬리오스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소환 룰 효과, 제외되어있는 몬스터의 수에 비례해 공격력 / 수비력을 결정하는 지속 효과 ,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스스로 강화되어 소생하는 유발 효과 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매크로 코스모스로 헬리오스를 특수 소환하면 바로 꺼낼 수 있는 데다 통상 소환도 가능하다. 화염족이므로 분화구에 숨은 자 의 효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공격력 상승치가 좋지 못한 편으로, 레벨 6의 평균급인 2400~2500이 되려면 최소 12~13장의 몬스터를 제외시켜야 한다. 자신과 상대, 양쪽의 몬스터를 센다고는 해도 매크로 코스모스의 도움으로조차 간단히 달성하기 힘든 양이니 제대로 이용할 수 있는 타이밍은 보통 듀얼 중반 이후가 될 것이다. 전투 파괴되었을 때 발동하는 부활 효과도 매크로 코스모스가 발동된 상태에서는 무용지물이라는 것도 난점. 굳이 부활 효과를 써보겠다면 비상 식량 등으로 일찌감치 치워버리는 편이 낫다. 이 카드 본인에 대한 기대는 버리고 후술할 헬리오스 트리스 메기스트스로 연계하는 방법이 있지만, 다른 각종 특수 소환 서포트를 고려하면 해당 카드의 특수 소환을 위해 굳이 이 카드를 사용할 필요성도 희박하다. 레벨 5 이상의 화염족이라 헬프레임밴시 와 카오틱 엘리멘츠 에 전부 대응하는 것이 그나마 위안이다. 균형잡힌 체형이었던 헬리오스와는 달리 머리에 있는 태양이 커지고 덤으로 체형도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상마냥 불어난 형태가 되었다.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에서는 마찬가지로 아므나엘 의 카드로 등장. 애니에서는 부활 효과가 묘지로 갈 필요도 없이 파괴된 즉시 발동하는 데다 공격력 / 수비력 상승은 부활할 때마다 리셋되지 않고 누적되어 점점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 작중에서는 마법 카드 황색의 과정-키토리닉스 의 효과로 헬리오스를 제물로 바쳐 공격력 2400으로 특수 소환되었다. 쥬다이는 영웅 출현 ,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를 이용해 공격을 막으려 했지만 파괴되어도 부활하는 효과로 계속해서 쥬다이를 압박했다. 이후 마법 카드 적색화-루베도 의 제물이 되었다. 헬리오스의 중간 형태임에도 이미 쥬다이를 완벽하게 압도한 몬스터였다. 공격명은 '불카누스의 불꽃(ウルカヌスの炎)'. 수록 시리즈 2006-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06-JP003 |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エキスパート2006 同梱カード 2006-03-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C6-EN003 | Yu-Gi-Oh! ULTIMATE MASTERS - World Championship Tournament 2006 - Bundles 2006-05-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2-EN002 | ENEMY OF JUSTICE Sneak Peek 2008-05-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06-EN010 | CHAMPION PACK GAME SIX 2023-03-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3-ENF01 | SPEED DUEL GX: DUELISTS OF SHADOWS 2009-0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3-KR022 | 프리미엄 팩 Vol.4
4.2. 헬리오스 트리스 메기스트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헬리오스 트리스 메기스트스, 일어판명칭=ヘリオス・トリス・メギストス, 영어판명칭=Helios Trice Megistus, 레벨=8, 속성=빛, 종족=화염족, 공격력=?, 수비력=?,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토스" 1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제외 상태인 몬스터의 수 × 3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공격할 경우\,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있다면\, 이 카드는 1번 더 이어서 공격할 수 있다., 효과4=④: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올린다.)]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 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소환 룰 효과, 제외되어 있는 몬스터의 수에 비례해 공격력 / 수비력을 결정하는 지속 효과 ,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스스로 강화되어 소생하는 유발 효과 ,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 연속 공격할 수 있는 지속 효과 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와 마찬가지로 통상 소환 / 소생이 가능하며, 제외된 몬스터 수만큼 공격력이 상승한다. 붉은 마수 다 이자 에 비하면 역시 공격력 상승치가 좀 더 낮은 데다 마찬가지로 몬스터만 카운트하므로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등으로 뒷면 표시로 제외한 카드는 카운트시킬 수 없다는 약점이 있다. 꺼낼 타이밍을 재어야 하고, 제외 덱 이외에는 쓰지 못하는 만큼 범용성은 낮고 좀 쓰기 불편한 카드. 제외 자원으로 공격력을 올리는 것은 레벨 3 붉은 마수 다 이자 쪽이 우월하다. 심지어 원작에서 중간 에이스 포지션이었던 황금의 호문쿨루스 보다도 딸린다. 이 쪽은 릴리스도 1장 밖에 안 먹으며 기본 공격력이 1500에 제외된 카드의 종류도 가리지 않기에 타점도 훨씬 높이기 쉽다. 다만 서치 수단이 딱히 없는 다 이자나 황금의 호문쿨루스랑 달리 이 쪽은 스탯상 연금가마-카오스 디스틸 , 헬프레임밴시 , 카오틱 엘리멘츠 에 전부 대응하는 것으로 어느정도는 차별이 가능하다. 정석대로 헬리오스 듀오 메기스트스를 릴리스하고 꺼낼 수 있지만 원시태양 헬리오스부터 시작해서 이 카드로 연계하는 것은 효율이 나빠 불안정했기에 발매 당시에도 분화구에 숨은 자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해서 꺼내는 카드였다. 이후 세월이 지나면서 상술한 카오스 디스틸이나 카오틱 엘리멘츠 등이 나오면서 정석대로 진화하는 것도 꽤 빨라졌기애 매크로 코스모스를 쓰는 전용 덱이라면 이 쪽이 좀 더 꺼내기 수월해졌다. 연속 공격 효과는 타이란트 드래곤 과 마찬가지로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면 2회 공격할 수 없다. 하지만 합계 10장의 몬스터를 제외해두면 공격력이 3000이 되니 카오스 솔저 -개벽- 과 비슷한 감각으로 운용할 수도 있겠다. 봉인의 황금궤 →네크로페이스 등 카드를 대량으로 제외시킬 수 있는 카드를 준비해두도록 하자.헬 템피스트 와 상성이 좋은 편으로, 서로의 몬스터를 대량으로 제외해 공격력을 폭발적으로 올릴 수 있다. 파괴수 등을 상대 필드에 꺼내는 식으로 발동 조건을 채우고, 다른 상대 몬스터가 존재한다면 이 카드의 연속 공격 조건도 채울 수 있다. 아예 헬 템피스트로 덱에 있는 이 카드를 제외한 후 갤럭시 저니 를 사용해 복귀시켜 높아진 공격력으로 원턴킬을 내는 예능 플레이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대 필드에 내놓을 수 있는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프라이멀 드래곤 과 저니를 서치할 수 있는 갤럭시 포톤 드래곤 을 용병으로 써보는 것도 좋다. 프라이멀이 서치 가능한 카드 중 세븐스 타키온 은 타키온 드래곤을 보여주고 이 카드를 서치해올 수도 있기에 나름 궁합이 잘 맞는 편. 마찬가지로 전투 파괴시 발동하는 부활 효과는 매크로 코스모스가 적용된 필드에서 사용할 수 없다. 부활 효과도 좀 쓸데없다는 느낌이 강한데, 애초에 저 카드들을 쓸 상황이라면 제외 계열 카드가 존재해 이 카드는 전투로 파괴되면 묘지로 갈 수 없는 상황일 텐데 저런 효과를 줬다는 것부터 모순이다. 카드는 이미 나왔는데 매크로 코스모스가 파괴되었다거나 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겠지만, 헬리오스 덱이라면 계속해서 제외 환경을 만들어 놓는 것이 당연. 그리고 일단 이 카드들을 꺼내는 상황이라면 공격력이 상당히 올라가 있는 상태일 것이므로 전투로 파괴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네오플레임벨 과의 조합으로 자기 묘지는 이용하면서 이 카드군을 사용하는 정도는 가능하다. 어차피 볼 일은 별로 없겠지만 공격력 / 수비력 상승 효과의 경우 상승 폭은 500밖에 되지 않는다. 일단 묘지로 가고 나면 상승한 게 초기화되기 때문. 즉 몬스터 10장이 제외된 상태에서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다가 부활해서 3000 + 500 = 3500으로 나왔더라도, 그게 또 전투로 파괴되었다 부활해서 4000이 되지는 않고 다시 3500이 된다. 이번엔 일러스트 속 헬리오스들의 체형이 어린 아이로 바뀌었다.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에서는 아므나엘 의 비장의 몬스터로 등장. 마법 카드 적색화-루베도 의 효과로 덱에서 특수 소환되어 자신의 효과로 공격력 3900이 되었다. 쥬다이의 몬스터를 파괴하며 몰아붙였지만,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 의 효과에 의해 제외된 카드가 죄다 리셋되는 바람에 공격력이 0으로 떨어졌고, 그대로 공격받아 패배하게 되었다. 공격명은 '피닉스 프로미넌스(フェニックス・プロミネンス / Phoenix Prominence)'. 이름의 유래는 바로 에메랄드 타블렛 을 만들었다는 전설의 연금술사 트리스메기스토스 . 한국에서는 이 카드만 오랫동안 나오지 않다가 프레셔스 팩 Vol.2 를 통해서야 발매되었다. 수록 시리즈 2006-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06-JPB01 | Vジャンプブックス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エキスパート2006 - 世界王者への挑戦状 - 付録カード 2008-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ODT-EN095 | LIGHT OF DESTRUCTION 2023-03-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GX3-ENI23 | SPEED DUEL GX: DUELISTS OF SHADOWS 2014-03-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C02-KR085 | 프레셔스 팩 Vol.2
5. 서포트 카드5.1. OCG화 된 카드 헬리오스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진 않으나 2번 효과로 공격력 ?의 빛 속성 몬스터를 서치하기에 간접적으로 헬리오스를 지원하고 있다.5.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카드명이 동일한 유희왕 러시 듀얼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혹성직렬(유희왕 러시 듀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혹성직렬(유희왕 러시 듀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혹성직렬(유희왕 러시 듀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카드명이 동일한 유희왕 러시 듀얼의 카드: }}}[[혹성직렬(유희왕 러시 듀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혹성직렬(유희왕 러시 듀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혹성직렬(유희왕 러시 듀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혹성직렬, 일어판명칭=<ruby>惑星直列<rp>(</rp><rt>わくせいちょくれつ</rt><rp>)</rp></ruby>, 영어판명칭=Planet Alignment,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원시태양 헬리오스"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파괴한 카드 1장당 3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유희왕 GX 의 아므나엘 이 유우키 쥬다이 와의 듀얼에서 사용. 효과가 비슷한 카드로는 그랜드 크로스 가 있으며, 이쪽도 아므나엘이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매크로 코스모스, version=101, uuid=6bc2bbe3-5af6-4c65-b701-86e77b761481, title2=혹성직렬, version2=13, uuid2=50b95e98-6b63-408c-8a48-6f6904bb36b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