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2:30

위풍(삼국지)

위자경에서 넘어옴
魏諷
? ~ 219년

[clearfix]

1. 개요

후한 말의 신하로 는 자경(子京)[1], <왕창전>에는 연주 제음군 사람이라고 하고 《정사 삼국지》 <무제기> 주석 《세어》에선 예주 패국 사람이라고 하는데 배송지도 어느 문헌이 맞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2. 생애

대중을 능숙하게 움직이는 재능을 평가받아 종요에게 등용되어 서조연에 임명되었으며, <유엽전> 주석 《부자》에 따르면 조조가 다스릴 때, 높은 평가를 받고, 공경재상 이하의 모든 관리가 그에게 마음을 쏟고 사귀려 했다. 이렇게 재능과 지혜가 있지만 부손은 반드시 모반할 것이라 예측했으며, 유이는 사람을 모으는 것에 열심이지만 내적인 가치와 충실성에 수반하지 않는 인물이라 평가했다. 이로 인해 정무가 위풍과 가까웠던 임람에게 간웅이라 끝내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고 충고했다.상관 디스 유엽 역시 위풍을 한번 만나보고 그가 모반할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219년조조번성 공방전에 출정 중에 장락위위 진의와 도당을 결성하고 공모하여 을 빼앗을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두려움을 느낀 진의가 조조가 떠난사이 후방을 지키던 조비에게 밀고 하는 바람에 조비에게 붙잡혀 처형되었다. 종요가 이 사건으로 면직된게 9월의 일이므로 7군 수몰 직후의 조조가 급하게 관우를 막기 위해 병력을 끌어모으던 중의 일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어쩌면 경기-위황처럼 유비 세력과의 연계를 생각했을지도 모르지만 자세한 내용이 나오지 않으니 불명이다.

연좌된 사람만 해도 수십명에 이르는데 유생 송충의 두 아들, 왕찬의 두 아들, 유이의 동생인 유위, 장수의 아들인 장천과 그 밖에 명문, 고관 등의 자식 등 수십 명이 가담했다. [2] 이에 위풍을 추천했던 종요도 책임을 추궁받아 면직되었는데 위풍의 난과 관련해 자세한 기록이 없어 내막은 거의 알려진게 없다. 남은 기록을 보면 상술했다시피 조조가 한중에 출병한 사이 업성을 탈취하려다가 밀고자 때문에 실패하고 연좌된 수십명이 처형되었다는 기록이 전부다. 한해 전에 일어난 경기- 금의의 난이 직접적으로 군대를 이끌고 나선 무력봉기였다면 위풍의 난은 과거 동승의대조 사건처럼 뭘 해보기도 전에 모의 단계에서 미수에 그친데 차이가 있다.

3. 미디어 믹스

3.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external/kongming.net/378-Wei-Fe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2.jpg
삼국지 13, 삼국지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1에서의 이 사람의 특기는 위풍이 아니라 명성이다. 헷갈리지 말자.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23/지력 72/정치력 78/매력 86으로 매력이 높은 문관형.

삼국지 13에서는 매력만 삭제되고 11과 동일한 능력치. 특기는 문화 2, 설파 8, 교섭 6, 언변 6.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창공강화다. 일러스트는 진의와 공모하기 위해 두 손을 올리면서 이야기를 하려하고 있다. 설파가 높으니 취락 포섭에나 쓰면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2, 무력 23, 지력 71, 정치 69,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정치력, 매력이 9 하락했다. 개성은 선동, 명성, 인맥, 오만,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혼란, 도발, 투석, 친애무장은 종요, 혐오무장은 없다.

3.2. 창천항로

전장에서 살아남은 병사가 제갈량을 만나고, 그의 품에 안겨 있던 아이를 받고 키웠는데 그 아이가 위풍이다. 원숭이 전신과 함께 살고 있으며, 등장시만 해도 굉장한 포스를 풍겼으나 최후는 어이없을 정도로 허무했다. 유비한중왕 선언과 관우형주공격을 틈타서 수많은 고관대작들의 자제들을 비롯한 동지들, 사병들을 동원해 헌제가 있는 허도의 궁전에 잡입, 한편으로는 별동대를 이용해 위공국의 수도 업까지 공격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작부터 위풍을 주시하던 유엽이 위풍의 동료인 진의[3]를 붙잡아 고문해서[4] 정보를 얻어낸 뒤 허도의 궁전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었다. 뒤이어 조비가 나타나 날렵한 몸놀림으로 위풍의 머리를 절단내버렸다. 주요 논지는 조조보다 훨씬 떨어지는 인물인 조비가 대를 이으면 그간 조조의 가혹한 정책으로 인한 불만이 일시에 터져나와 가 망한다는 것. [5] 그리고 허도와 업을 장악한 뒤 천자를 봉대해 에 정전을 명하고 세 왕국이 한황실을 섬기는 체제를 꾸리려했던 듯 하다. 그러나 조조는 역적으로 선포해서 살해. 작중의 표현상으로는 사람을 이끄는 재주가 있는 또 하나의 난세의 간웅으로 꽤 자주 나왔지만 용두사미로 허무하게 끝났다. 이 녀석을 지목한 제갈량이 작 중 상당히 허당끼가 있어서 그런 건지도(…).

3.3. 삼국전투기

아이젠 소스케로 패러디 되었다. 최훈이 프로필에서 높게 평가했으나 3컷만에 끔살(...).어째보면 원작을 잘 고증했다. 한중 전투 (7)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며 선행 등장. 타이틀 컷에서는 안경을 쓰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했고, 본편에서는 본격적으로 반란을 일으키려는 시점에서 패러디의 원본이 그리했듯 안경을 벗고 머리도 뒤로 넘긴 모습으로 등장한다.

번성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 조조가 한중 수비를 위해 장안에 간 동안 업에서 고관의 자제들과 반란을 일으켜 조비를 주살하려 했지만 조비에게 먼저 발각당해서 처형당한 것으로 묘사된다.

타이틀 컷에서는 순욱에 이어 내각의 책임자로 떠오른 종요를 실각시킨 인물로 소개되었다. 그 밖에는 "위풍당당의 어원이 이 사람에게서 시작되었다는 건 내가 방금 떠올린 생각"이라는 작가의 개드립도 적혀 있는데, 실제로는 한자도 다르고 전혀 상관 없다.

3.4. 비열한 성자 조조

자신이 천하의 선비가 될 재목이 있다면서 자신의 재주를 자부하면서 형주 출신의 선비들과 논쟁을 벌이는 것으로 나오며, 결국 반란을 일으키려고 꾀하다가 죽임을 당한다.


[1] 문헌에서는 자경(子慶)이다.[2] 이 시점에서 장수, 왕찬은 이미 고인이었고, 송충은 아들들과 함께 처형당했다. 유이 역시 연좌제에 걸려 처형당할 뻔 했으나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결과적으로 송충, 왕찬, 유이, 유위, 장수 등은 대가 끊겼다. 그래서 왕찬, 유이 등의 경우는 가까운 친족들이 후사를 이었다.[3] 조조의 양자인 하안이 예전부터 주시하던 인물이었던 인물이었고, 조조의 번성 출진 이후 뭔가 낌새가 이상해서 유엽에게 제보를 했는데, 유엽은 이미 위풍과 그 일파들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4] 심한 고문으로 맛이 갔는지 위풍이 포위된 자리에 끌려나왔을 땐 이미 양손에 고문도구가 박힌 채 멍 때리고 있었다. 머리 잘린 애완 원숭이는 덤이다.[5] 근데 황당하게도 자신이라면 조비를 부친에 못지 않는 인물로 만들어줄 수 있다면서 허세를 부린다. 보고 있는 조비도 기가 막혔는지 "네놈은 반란을 일으키려는 거냐? 아니면 채용해달라는 거냐?" 라며 비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