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고등학교 등의 공업계 고등학교나 상업계 고등학교에서 3학년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필기시험을 면제하고, 실기시험만 응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자격제도이다.2. 대상
고등학교에서 실기시험 원서접수 마감일을 기준으로 과정의 70%를 이수한 자, 졸업생의 경우 해당 과정을 이수한 날로부터 2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에 해당한다.일반적으로 공업계 고등학교의 커리큘럼상 70%를 이수하는 시점이 대략 5~6월경이 되기 때문에 시험도 이때쯤에 실시하게 된다.
3. 상세
일반적으로 기능사의 경우 응시제한이 없고, 정기 검정일정이 1년에 4회[1]로 치러지기 때문에 특성화 고등학생에 한해 1회 더 응시할 수 있게 된다. [2]시험 응시 가능 종목은 한국산업인력공단 84종,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5종, 대한상공회의소 자격증 중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관련학과에서 인정하는 동일계열의 자격증 1종목만 선택하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시험에 많이 응시하는 종목은 전기기능사나 전자기능사 등, 기능사 치곤 필기 중 상당히 어렵다고 평가받는 종목 + 실기가 작업형으로 진행 종목들이다. 실제로 실기가 적업형으로 진행되는 만큼 조금만 공업계열 고등학생들은 조금만 연습하면 금방 취득할 수 있다. 실제로 전자기능사의 경우는 정기 기능사로 취득하는 인원보다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으로 취득하는 숫자가 훨씬 더 많다. 금형기능사, 철도전기신호기능사 등 필기 이론서가 거의 없어 학습하기 난감한 자격증을 취득하는 학생들도 있다.[3] 또한 자동차 계열 특성화고에서는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를 취득하는 학생들이 많다.
시험 장소는 일단은 해당 학생이 다니는 특성화고등학교나 마이스터고등학교이다.[4] 따라서 해당 학과 실습실이 실기 시험장이 되기도 한다. 대신 시험 감독 및 채점은 해당 학교 교사가 아닌 산업인력공단 측에서 별도로 위촉한 감독관이 방문해서 한다.
4. 여담
일부 특성화고등학교나 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는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일정에 맞추어서 희망자에 한해서 야간자율학습을 시행하는데, 물론 자습실이나 교실에서 책 펴놓고 공부하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야간자율학습 형식은 아니고, 실기 시험에 대비해 연습을 하는 것이다.폴리텍대학 등 기능사 과정 재학 시에도 필기를 면제받을 수 있으며, 전파전자통신기능사는 해양대 및 수산대의 항해과 졸업 예정자도 응시 가능하다.
2011년까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하는 컴퓨터활용능력 3급, 워드프로세서 2·3급 자격증도 이 제도를 통해 필기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었으나, 2012년부터 자격시험이 폐지되었다. # 따라서 현재는 전산회계운용사 3급만 이 제도를 통해 시험 응시가 가능하며 별개로 상시검정도 응시 가능하다.
시험에 응시하지 않았거나 불합격한 경우에도 부정행위 기록이 없다면 해당 종목의 필기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간주[5]되므로 졸업 후 2년 동안 필기시험이 면제되며, 그 동안 정기 기능사 실기시험 및 다음 회차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에 응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은 정기 검정에 비해 합격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자신이 다니는 학교에서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할 수 있기 때문에[6] 합격률이 높게 형성된다.
5. 관련 항목
[1] 상시검정으로 시행되는 일부종목을 제외[2]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을 별도 회차로 실시하는 검정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있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제3회'로 표기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별도의 회차 표기가 없다.[3] 특별한 목표가 있는게 아닌이상 실제 산업현장에서 쓸모없는 자격증인 경우는 굳이 따지 말자. 쓸데없이 기회만 날리는 꼴이다.[4] 물론 본인이 다른 장소에 가서 시험을 보고 싶다면 해당 종목의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을 시행하는 타 시험장에 따로 신청해서 시험을 응시할 수도 있다.[5] 이는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에 합격하여 해당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해당 기능사 자격의 취득기록을 조회해 보면 합격일은 합격이 발표된 그 날짜로 되어 있고, 필기 합격일은 없거나 전문계고검정 필기면제 승인일로 기재되어 있다.[6] 만약, 재학중인 고등학교가 시설이 열악하고, 실습 장비도 제대로 갖추어져있지 않다면 타 고등학교 시험장을 신청해서 시험을 보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