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VARREL 2025 시즌 로스터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0><colcolor=#fff>코치 | PAIN Dae1 | ||
로스터 | ||||
DAMAGE | Nico ]] | qki | TOPDRAGON ]] | |
TANK | KSG ]] | |||
SUPPORT | Mimoza | Qloud | Sley ]] | |
OWCS 참가 팀 로스터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VARREL KSG | |
이노우에 토모하루 (井上智晴) | |
출생 | 2004년 ([age(2004-01-01)]~[age(2004-12-31)]세) |
국적 |
|
ID | KSG KSG1912 |
포지션 | TANK |
경력 상금 | $13,408 USD (₩18,501,019.98 KRW)[1] |
데뷔 | 2020년 9월 1일 Overwatch ACE 2020 (데뷔일로부터 [dday(2020-09-01)]일째, [age(2020-09-01)]주년) |
소속 |
(2021. 05. 17.~) |
국가대표 |
(2023) |
|
1. 개요
|
Inoue "KSG" Tomoharu |
일본의 오버워치 2 프로게이머. 현 VARREL 소속 TANK.
2. 상세
일본 최고 인기팀인 VARREL의 프랜차이즈 선수로, 척박한 일본 오버워치 프로씬에서 유일하다시피 한 탑클래스급 재능을 지닌 선수이다. VARREL이 컨텐더스 시절부터 DAF와 우승권을 다툴 수 있게 한 원동력으로 지목되며, 심하게 가면 "VARREL은 KSG가 본체다"라고 평하는 관계자 또한 있을 정도이다.2024년부터 펼쳐진 OWCS 체제에서 일본 지역이 퍼시픽에서 분리되어 독립 지역으로 부상하며 점차 성장하는 일본 프로씬에서도 여전히 독보적인 실력을 보이고 있다. 한일 양국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Ares 코치는 KSG를 두고 "한국인 탱커급이며, 퀄리티있는 플레이를 한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이러한 평가에 걸맞게 일본에 용병으로 참가하는 한국인 탱커들과 비교해도 전혀 밀리지 않고 오히려 압도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심지어 2025 시즌엔 오버워치 리거 출신 Kalios를 상대로 완승을 따내며 두번이나 우승해 이러한 평가가 허황된 것이 아님을 증명하기도 했다.
3. 선수 경력
3.1. 대회 경력
- 2020년
- Overwatch ACE 2020 4위
- 2022년
-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호주 서머 시리즈 A-Sides 3위
- 2023년
-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아시아 퍼시픽 스프링 시리즈 3위
-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아시아 퍼시픽 서머 시리즈 준우승
-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아시아 퍼시픽 가을 시리즈 준우승
- 2023 오버워치 월드컵 9-12위
- 2024년
-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1 우승
-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 7-8위
-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2 3위
-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2 와일드카드 3위
- X-STAGE 2024 준우승
- 2025년
3.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1 우승 | ||||
대회 출범 | → | VARREL | → | Lazuli |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1 우승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2 우승 | ||||
Lazuli | → | VARREL | → | 미정 |
준우승 경력 | ||||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아시아 퍼시픽 서머 시리즈 준우승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아시아 퍼시픽 가을 시리즈 준우승 | ||||
MDY | → | VARREL | → | 대회 폐지 |
수상 기록 | ||||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1 결승 MVP | ||||
야마모토 케이스케 (Lazuli) | → | 이노우에 토모하루 (VARREL) | → | 후지카와 다이스케 (VARREL) |
4. 여담
- 한국에선 KSG라는 닉네임 탓에 김성근이라 불리기도 한다.
- 2025 미드시즌 챔피언십 ROC 전에서 해저드의 가시벽으로 여우길을 막는 슈퍼플레이를 보여주어 화제가 됐었다.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3e48><tablebgcolor=#333e48> | OWCS 재팬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시즌 | 대회 | 우승팀 | 명단 |
Overwatch Champions Series Japan | ||||
2024 | 스테이지 1 | 파일:VARREL lightmode.png | Nico · Qki · KSG · plankton · mint · Qloud · Mihawk | |
스테이지 2 | | Hidden · CC2 · Leonopteryx · GodSam · kiru01 · Sakume · Neivis · Schwi | ||
2025 | 스테이지 1 | 파일:VARREL lightmode.png | Nico · Qki · KSG · Mimoza · Qloud · Mihawk | |
스테이지 2 | Nico · Qki · TOPDRAGON · KSG · Mimoza · Qloud · Sley | |||
스테이지 3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3e48><tablebgcolor=#333e48> | OWCS 재팬 역대 결승 MV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2024 S1 | 2024 S2 | 2025 S1 | 2025 S2 | 2026 S1 |
Qki 히라야마 나리아키 VL | DMG | Leonopteryx 야마모토 케이스케 LZ | TNK | KSG 이노우에 토모하루 VL | TNK | Nico 후지카와 다이스케 VL | TN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