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8:32:54

이루샤

파일:Irusan.png 파일:irusan11.png
인게임 포트레이트 SCG 인게임 3D 모델링

Irusan

1. 개요2. 패턴 및 공략
2.1. 상시 패턴2.2. 특수 패턴
3. 기타

1. 개요

요정과 포워르의 힘을 모두 가진 혼혈
귀여운 외모와는 다르게 강력한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힘에 걸맞은 흉포한 성질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작은 고양이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은 달콤한 것을 먹이는 것뿐.
이루샤가 크롬 바스에 군림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더 많은, 더 맛있는 사탕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마비노기의 몬스터로 크롬 바스에 등장한다. 30 난이도에서는 보스, 50 난이도와 80이상 난이도에서는 중간보스다.

과거엔 마그 멜에서 요정들에게 보살핌받으며 행복하게 지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느 순간 시오라가 마그 멜을 버리고 떠나며 마그 멜에서 갑작스럽게 쫒겨난 후 돌아갈 수 없게 되었으며[1][2] 그 후 이계신으로 추정되는 존재에게 유혹당해 수하가 되었다. 귀여운 외모와 다르게 매우 더럽고 잔인한 성질머리를 가지고 있으며[3] 자신의 죄를 반성하며 성불한 펠롬과 다르게 스토리에서 이후의 행방이 밝혀지지 않았다. 자꾸 구슬을 뗀다는 유저들의 인식과 디자인상 수컷 캐릭터로 알려져 있으나 패턴 사용시 자신이 여왕이 되겠다는 대사를 보아 암컷으로 추정된다. [4]

인게임에선 마비노기 보스들 중 유일하게 보이스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5]이며 요정의 인격으로 보이는 소심한 말투와 포워르의 인격으로 보이는 난폭한 말투를 섞어서 사용하며 두 힘을 동시에 사용하는 패턴에선 두 목소리가 겹쳐져서 출력된다.[6]

2. 패턴 및 공략

과거에는 기형적인 클리어 방식을 사용해야 했으나 현재는 매우 단순화되었다.

우선 이루샤의 마법의 장난은 주요 패턴들이 진행중일 때엔 작동하지 않으므로 디바인 링크등의 대비책을 준비하고 입장하자마자 이루샤에게 디버프를 걸고 체력을 90% 이하로 감소시켜 솥 패턴을 사용하도록 하면 로나운이 다량으로 등장하는데 이를 이루샤에게 데스마커를 사용해 유저의 광역기에 휩쓸리게 하거나 디바인 링크를 사용한 펫을 인식하도록 하고 이루샤에게 계속하여 딜링을 한다, 딜이 부족하여 시간 내에 끝나지 못할 것 같은 경우에는 34초 경과 즈음에 누군가는 솥을 누르러 가는편이 좋다.
또한 꺼양의 소환 스킬을 사용시 로나운의 속박이 바로 해제되며 실드 오브 트러스트의 슈퍼아머가 작동중일 때는 로나운이 와이어 바인딩을 사용하지 못한다. 다른 슈퍼아머의 경우엔 전부 무시하니 주의

2.1. 상시 패턴

이루샤는 에르그 레벨이 높아질수록 호전성이 점점 증가하며 샤프클로등의 스킬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난다.

2.2. 특수 패턴


이루샤는 마법 솥 패턴이 진행중일 때는 타수패턴을 사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 동안 대미지를 강하게 꽂아넣어 타수나 다음 솥 패턴을 스킵할 수도 있다. 마법 솥 패턴 도중에 타수패턴을 발동하는 체력까지 감소시켜두었다면 플레이어를 변신시킴과 동시에 타수패턴을 시작하는데 본래는 이렇게 될 경우 공략에 실패할게끔 작용하는 구조였겠지만 현재는 파트너 캐릭터에게 봉제인형가방[7]을 착용시켜 대신 타수를 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루샤는 평상시에는 발광을 하며 이리저리 튀어다녀 디버프를 넣기 힘들게 만들지만 타수 패턴중에는 제자리에 가만히 서서 꼼짝도 하지 않으므로 이 타이밍 동안에 파트너를 이루샤에게 붙여놓은 후 디버프나 버프를 관리하는게 좋다.

(더미 데이터) 영역 생성

데이터로만 존재하는 패턴으로 실제 인게임 내에선 사용되지 않았다.
이루샤가 "샷샤샤샤" 하는 웃음소리를 내며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고난 뒤 자신의 주변에 드롭 벨 문양이 그려진 마법진을 생성한다, 이 마법진 바깥에서는 일루샤에게 제대로 된 공격을 할 수 없는 패턴, 모션과 이펙트 대사 사운드 전부 인게임에선 볼 수 없는 전용 데이터를 사용한다.
개편 전의 이루샤전이 다수의 잡몹들이 함께 소환되는 형태였다는것을 생각해보면 지나치게 난잡해질것을 고려해 삭제된 것으로 보이며 1대1로 진행되는 이벤트성 던전인 19주년 시험의 동굴에서만 한 번 활용되었으며 훗날 등장한 글렌 베르나의 혹한을 견뎌내는 힘 패턴의 기반이 된 것으로 보인다.

3. 기타



[1] 메인스트림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시오라가 마그멜을 버림으로서 요정들과 마그멜이 힘을 잃었고 요정들은 생전의 지성을 찾아볼 수 없는 퍄다루루라는 존재로 퇴화했으며 마그멜은 붕괴되기 직전인 상태가 되어 마나난이 힘을 주어 숨을 붙여놓고 영락한 요정들을 거두어 간 것으로 밝혀졌다.[2] 추측해 보자면 마족과 요정의 혼혈이기에 시오라가 떠남과 동시에 요정으로서의 힘을 대부분 잃었지만 혼혈이었기에 퍄다루루가 되지는 않았으며 요정의 힘이 있어야만 출입할 수 있는 마그멜에 존재할 수 없게 되며 추방된 것으로 보인다, 과거와 다르게 성격이 굉장히 흉포해 진 것도 요정의 힘이 약해지고 포워르로서의 면모가 강해진것이 원인으로 추정.[3] 고양이의 모습을 이용해 벨바스트 주민들을 크롬 바스로 유인한 후 산제물로 바쳤다[4] 악몽 패턴때에는 듀라한처럼 귓속말을 보내는 기믹이 존재하는데 이때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대사 중 정령 왕이 되겠다는 대사와 마그멜의 여왕이 되겠다는 대사가 함께 존재한다, 이 두 대사는 비교적 낮은 확률로 나올 뿐만 아니라 귓속말을 확인하는 유저도 적기에 상당히 보기 어렵다.[5] 성우는 손선영.[6] 강철의 연금술사의 진리를 생각하면 쉽다.[7] 타격시 평타를 사용하는 인형 다수 소환하는 아이템[8] 훗날 등장한 최종보스 칼리아흐, 그리고 그 이후에 등장한 겨울의 찬탈자조차도 인게임 보이스는 추가되지 못했는데, 해당 던전의 최종보스도 아니며 중간 보스에 불과한 캐릭터에게 이정도의 특혜가 들어간 것은 애초부터 대놓고 밀어줄 생각으로 만들었다는 의미[9] 이는 메이플의 보스 출신인데 마스코트인 핑크빈과 가장 큰 다른 점으로 핑크빈은 자의로 플레이어들을 상대하는 것도 아닌데다가 성격에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마스코트로 본격적으로 밀기 시작한것도 최상위 보스라는 위상에서 물러서고 나서 부터다.[10] 핑크빈은 타고난 강함 때문에 단순히 상대와 놀이를 한다며 하는 짓이 본의아니게 피해를 입힐 뿐이지만 이루샤는 스스로 살의를 가지고 인간들을 살해한다는 점에서 더욱 비교가 불가능하며, 실제로 크롬 바스 내부의 유령들 중에는 이루샤에게 살해당한 인간들이 다수 존재한다.[11] 비슷한 이유로 이루샤와 함께 마비노기 팀이 마스코트로 밀고 있는 아로마 베어에게도 불호를 감추지 않는 유저도 많으나 아로마 베어는 그 의도 부터 거미공포증 방지 차원에서 등장하는 등 어느정도 어필 포인트가 있긴 하다.[12] 게다가 마비노기 친구들이라는 시리즈에서도 출연하는데 원작과 달리 매우 잔혹한 성격을 지니지 않았고 로나와 판이랑 같이있는 모습으로 보아 원작이랑 스토리가 다를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 (이전 역사)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