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4 18:20:15

의령군(1385)

이맹종에서 넘어옴
조선 태조의 손자
의령군 | 義寧君
작호 원윤(元尹)
→ 의령후(義寧侯)
→ 의령군(義寧君)
본관 전주
이름 맹종(孟宗)[1]
망우당(忘牛堂)
생부 회안대군
생모 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2]
부인 청주 한씨[3]
자녀 1남
묘소 경기도 여주시 (현재 실전)
생몰
기간
음력 1385년 2월 15일 ~ 1423년 7월 11일
양력 1385년 3월 26일 ~ 1423년 8월 25일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초의 왕족으로, 태조 이성계의 손자이자 회안대군 이방간의 아들. 1400년(정종 2년) 2차 왕자의 난 당시 아버지와 함께 숙부 이방원에게 맞섰으나 패배하고, 유배 생활을 하던 중 사촌 세종대왕의 강요로 인해 자살했다.

2. 생애

고려 말인 1385년(우왕 11년)에 이방간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392년(태조 원년)에 조선이 건국되고 아버지가 회안군으로 봉해지자 그도 원윤(元尹)에 봉해졌다. 이후 1398년(정종 즉위년) 의령후(義寧侯)를 거쳐 1400년(정종 2년)에 의령군(義寧君)으로 개봉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2차 왕자의 난이 발생하자 이맹종은 아버지의 편에 서서 책사 노릇을 하며 숙부 이방원에게 맞섰다. 불과 16세 밖에 안된 나이임에도 활을 매우 잘 쏘았고, 꾀가 많아 중요한 역할을 맡는 등 상당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결국 패배했고, 아버지와 함께 생포되어 황해도로 유배를 떠났다.

임금이 된 태종은 이방간과 이맹종 부자의 작위와 녹권[4]을 모두 회수했으나, 그들을 죽이라는 신하들의 상소는 끝내 거절했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 세종 재위 시기인 1421년 이방간이 충청도 홍주목에서 사망하자 이맹종은 유배지를 그곳으로 옮겼다.

하지만 1423년부터 이맹종의 탄핵과 사형을 주장하는 의정부육조의 상소가 빗발치자, 세종은 그에게 자진을 명했고, 결국 이맹종은 7월 11일 자진했다. 그의 시신은 외가가 있는 경기도 여주시에 안치되었으나 묘는 후일 실전(失傳)되었다. 기록에는 직접 드러나 있지 않지만 여기엔 세종의 개인 감정도 작용했을 개연성도 있다. 이맹종은 2차 왕자의 난 당일 정안공(이방원)의 저택을 직접 방문해서 사냥에 대해 문의하는 척하며 상황을 염탐하였다. 즉 이 과정에서 여차하면 이맹종은 세종을 포함한 이방원의 가족들을 공격할 가능성도 있었다. 당시 어린이였던 세종 입장에선 이맹종이 충분히 위협의 대상으로 보였을 수 있다.

3. 대중매체에서

파일:용의 눈물 맹종.png}}} ||
<colbgcolor=#94153E> 〈용의 눈물〉의 의령군
파일:이맹종(태종 이방원).jpg}}} ||
<colbgcolor=#94153E> 〈태종 이방원〉의 의령군

[1] 《선원록》 등에는 이름이 '맹중(孟衆)'으로 나와 있지만, 《조선왕조실록》에는 그에게 자진을 명하는 기사 및 그가 죽은 뒤의 기사들에서도 계속 '맹종'이라고 언급되는 것을 보면 '맹중'은 그냥 오기인 듯하다.[2] 민선(閔璿)의 딸로, 권근의 처이모이기도 하다.[3] 주부(主簿) 한기(韓琦)의 딸.[4] 고려, 조선시대에 공신으로 책봉된 신하에게 지급했던 문서[5] 난을 일으키기 하루 전에 부자가 둘이서 대면하는 장면이 있는데, 이 자리에서 의령군은 정안군이 나라의 적이니 정을 두면 안 된다는 식으로 말하는 반면 회안군은 아무리 그래도 내 동생이라며 살짝 고뇌하는 모습을 보인다. 반면에 정안군은 의령군을 기특하게 여기는 듯한 묘사가 몇 번 나오는데, 활을 잘 쏜다는 것을 대견해하는가 하면 "아직 미혼이었지? 내가 중매라도 서 줄까?ㅎㅎ" 하는 식의 대사를 하기도 한다. 본작의 정안군이 동복형제들을 많이 아끼는 성격으로 나오는데다, 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기 위한 사전 작업이기는 했지만 회안군이 의도적으로 정안군에게 친한 척을 했기에 조카라는 이유로 총애했던 듯.[6] 극 최후반부에 회안군과 함께 나오는 모습이 한 번 더 있긴 한데, 잠깐 지나가며 보여주는 식일 뿐 극의 흐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