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08:06:26

이스 Ⅰ & Ⅱ 완전판

이스 1&2 완전판에서 넘어옴
파일:attachment/Ys_logo.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본편
MotS /
TDoY
SEVEN
리메이크 이스
이터널
이스 Ⅱ
이터널
이스:
펠가나의 맹세
이스:
셀세타의 수해
- - - - - -
Ⅰ & Ⅱ 시리즈 이스 I・II 이스 Ⅰ & Ⅱ 완전판 이스 Ⅰ & Ⅱ 크로니클즈
프리퀄 이스 오리진
외전 이스 Ⅱ 스페셜 이스 온라인:
콜 오브 솔럼

이스 vs 하늘의 궤적
얼터너티브 사가
이스 VI 온라인:
나피쉬팀의 상자
}}}}}}}}}}}} ||
이스 시리즈 발매 순서
이스 Ⅱ 이터널 이스 Ⅰ&Ⅱ 완전판 이스 Ⅵ
이스 시리즈 연대 순서
이스 오리진 이스 Ⅰ&Ⅱ 완전판 이스 Ⅳ
참고항목
이스 I・II, 이스 Ⅰ & Ⅱ 크로니클즈
파일:dtOLYGR.gif
이스 Ⅰ&Ⅱ 완전판
イース Ⅰ&Ⅱ 完全版
Ys Ⅰ&Ⅱ Complete
파일:3ckglnt.jpg
제작 니혼 팔콤
이식 PS2 팀 디지
DS 드림스
유통 PC 니혼 팔콤
PS2 디지큐브
DS
파일:일본 국기.svg 인터채널 홀론
파일:미국 국기.svg 아틀러스 USA
플랫폼 Windows | 플레이스테이션 2 | 닌텐도 DS
장르 액션 RPG
발매 PC
2001년 6월 28일[1]
PS2
2003년 8월 7일[2]
DS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3월 20일[3]
파일:미국 국기.svg 2009년 2월 24일[4]
언어 일본어, 영어[DS판]
등급 CERO A
ESRB T
관련 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DS판 공식 홈페이지
이스 1 완전판 오프닝[6]

1. 개요2. 한정판 및 후속 판본3. 타기종 이식판4. 이터널로부터 변경된 점


[clearfix]

1. 개요

2001년 6월 28일 일본 발매된 이스 1과 이스 2의 합본 타이틀. 다만, 단순히 기존 발매 버전을 합친 것은 아니며, 본 작품의 실질적인 정체성은 이스 1 이터널의 개선판이고, 여기에 이스 2 이터널을 덤으로 넣은 구성인 셈이다.

이스 이터널의 그래픽, 사운드, 시스템을 전면 재검토하여 이스 2 이터널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미흡했던 부분들을 개선하여, 이름 그대로 완성한 버전이다. 후술할 변경점만 봐도 1편이 압도적으로 많다. 기존 이터널판 구매자 입장에선 1편의 완전판을 구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충분한 가치를 가지지만, 2편도 같은 수준의 변경점이 있을것이라 기대하면 다소 실망할 수는 있다.

국내에서는 당시 PC 패키지 시장이 몰락의 길로 치닫고 있었던 지라 아쉽게도 정발되지 못했다. 정식 발매 타이틀인 이스 이터널이 최신 윈도우에서 원활히 돌아가지 않고, 이스 2 완전판의 일본어 버전은 한글 윈도우에서 로드가 불가능한 문제[7]가 있어서 정식 발매 불발이 더욱 아쉽게 느껴진다.

2. 한정판 및 후속 판본

한정판 패키지는 양장본 책모양으로 제작되었다. 사실 기존 이스 1 패키지도 옆면은 책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었지만, 이쪽은 진짜 책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처음 이 사실이 공개되었을 때, 한정판 패키지를 6개로 나눠서 내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았다.

패키지 부분은 갈색 플라스틱 케이스로 만들고, 그 위에 금색으로 된 종이 슬리브를 씌운 것이다. 이스의 책을 모티브로 한 것 같아보이지만, 실제 게임상의 이미지와는 다르다. 오히려 그보다는 아돌 크리스틴의 모험일지를 바탕으로 소설화된 책을 모티브로 한 것 처럼 보인다.

게임 타이틀에 더해 오케스트라풍 어레인지 음반인 '교향곡 이스 21세기'와 이스 1 OVA DVD판이 수록되었다. 참고로 이스 2 OVA는 이스 2 이터널 쪽에 수록된 바 있었다.

한정판을 포함한 최초 발매 버전은 CD 버전과 DVD로 나뉘었으며, DVD판은 디스크 하나에 이스 1과 2를 모두 수록한 형태였고, CD 판도 설치 디스크와 실행 디스크 개념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또한 변경 사항이 많은 이스 1만 담긴 별도의 패키지를 원하는 여론을 반영하여, 1과 2를 나눈 패키지를 별도로 내기도 했다.

2003년 경 윈도우즈 XP 대응판을 출시하면서 합본 패키지와 1, 2를 개별로 나눈 패키지 등 3가지 판본으로 출시하였다. 이때는 초기판과 달리 합본 타이틀도 1, 2편이 DVD 2장에 각각 따로 담겨 있는데, 이는 합본을 위한 개별 마스터 디스크를 만들 이유는 없기 때문일 것이다. 해당 판본은 타 메이커에 의해 가격을 낮춘 보급판이 나오기도 했다.

2007년에 출시된 윈도우즈 비스타 대응판은 합본 패키지만 나왔는데, 이스 1&2 완전판 판본은 이것으로 끝난다. 윈도우 7 대응판 부터는 이스 Ⅰ & Ⅱ 크로니클즈의 윈도우 이식판으로 대체했기 때문.

3. 타기종 이식판

본작 발매 이후 발매된 콘솔 이식판은 전부 본작을 기준으로 한다. 플레이스테이션2, 닌텐도 DS, PSP로 이식되었으며, 이중 팔콤이 직접 이식한 PSP판은 이스 1 & 2 크로니클즈 항목 참조.

플스2판은 "이스 I・II 이터널 스토리"라는 이름으로 이식되었다. 기존 완전판의 단순 이식 모드와 추가 요소가 들어간 이터널 스토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무기에 따라 공격 스타일이 달라진다. 1편의 10레벨 제한도 해제되어 체감 난이도도 확실히 내려갔다. 게임 상에서 입수할 수 있는 추가 아이템을 통해 꿈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으며, 추가 캐릭터인 미샤와 잔느를 만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 추가 캐릭터와 꿈의 세계의 용도는 CG모드&BGM 감상모드에 가깝다. BGM은 이스 이식 판본이 늘 그렇듯 PC판과 다르며, 원판에 비해 대부분의 BGM들의 완성도와 박력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비판이 있는 편. 일부 캐릭터뿐이지만 음성도 추가되었고, 캐스팅도 그럭저럭 호화로웠으나 추가 캐릭터 두명의 성우는 전문 성우가 아닌 배우를 기용하여[8]발연기를 하는 편.

DS판 '이스 DS'라는 이름으로 이식되었다. 대다수의 배경이 3D화 되었고[9], 일부 몬스터들의 크기가 아돌보다 커졌다. 다암의 탑 상층엔 아돌의 2배 이상 큰 몬스터가 나타날 정도. 그리고 새로운 던전 바규 바뎃트와 보스 패트로레스크가 추가 되었고 장비도 한세트 추가되었다. 2편도 1편과 변경점은 같지만 던전, 아이템 추가는 없다. 일부 연출이 변경되거나 생략된 부분이 있는데 이 역시 DS의 하드웨어 스펙과 용량을 고려한 듯 하다. 또 DS사양에서 3D배경과 동시에 처리하는 것 또한 무리였는지 광원효과에 관련된 부분도 전부 빠져버려서, 실내의 음영효과도 없고 각종 이펙트도 생으로 나오거나 반투명으로 처리됐다.[10] BGM은 PC판과 비슷하지만 일부 곡의 음이 미묘하게 바뀌어서 애매하다. 일본에서는 용량 문제로 1과 2를 나눠서 판매했지만, 북미에서는 고용량 롬팩을 사용하여 두 게임을 모두 수록해 출시하였다.

OST는 기본에 어레인지 음반도 엄청 내는 팔콤답지 않게 완전판의 OST는 없다. 변경점이 없는 이스 2는 상관 없지만 다시 어레인지한 이스 1이 문제.[11] 이는 8년 후 이스 1 & 2 크로니클즈가 발매된 후에야 출시되었다.[12] 음반은 없고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 전용이다.

4. 이터널로부터 변경된 점



[1] 보급판은 2005년 발매.[2] 이스Ⅰ・Ⅱ 이터널 스토리로 발매.[3] 이스 DS/이스Ⅱ DS로 1, 2가 각각 나눠서 발매됐다가, 4월 18일에 합본을 발매했다.[4] Legacy of Ys: Books Ⅰ&Ⅱ으로 발매.[DS판] DS판 한정[6] 이스 2완전판의 오프닝은 이스 2 이터널과 동일하다.[7] 실은 일본어판 이스 2 이터널에도 같은 문제가 있다. 일단 이쪽 문제는 어떤 분이 제작한 패치를 하면 해결된다.#[8] 양쪽 다 특촬물의 히로인 역을 맡았던 배우이다. 미샤의 성우 스즈키 마유카는 울트라맨 코스모스모리모토 아야노 역, 잔느의 성우 스기야마 아야노는 가면라이더 류우키칸자키 유이 역.[9] 단, 원작의 2D배경 퀄리티가 뛰어났던데 반해 DS판의 폴리곤 배경은 너무 단순화되어 오히려 비쥬얼이 하향된데다, 굳이 3D화한 것이 게임성이나 시스템적으로 별 이득이 없었기 때문에 이 변경점은 DS 롬팩의 적은 용량을 고려한 조치로 보여진다. 의외로 2D쪽이 표현할게 많아지면 용량도 메모리도 꽤 잡아먹는다.[10] 사실 이스2 이터널부터는 광원효과도 화려해져서 PC판도 생각보다 사양을 요구했고, PSP판도 해상도 제약외에도 살짝 열화 이식된 부분이 있었기에 DS의 사양에서는 어쩔 수 없었을 듯.[11] 오프닝곡은 이스 6 팔콤 통판 특전 음반에 실려있긴 했다.[12] 특이하게 Original Sound Track이라는 이름이 아닌 과거 킹 레코드에서 음반을 생산하던 시절에 사용하던 Music from ~ 형태로 나왔다.[13] 정확히는 이스 2 이터널 DVD-ROM판(한국에서는 CD-ROM판만 발매되었고 이쪽은 미발매)의 사양이 1, 그리고 2의 CD-ROM판에도 적용된 것.[14] 배경 그래픽 일부는 2의 것을 활용, 또 1때도 좋았던 건 약간의 조정과 질감을 추가한 것 부터 크게 부족했던 건 전반적으로 갈아 엎은 것 까지 차이는 있지만 여튼 다 손을 봤다. 물론 바쥬리온 방 뒤의 이스 중심부 입구도 2와 동일하게 변경.[15] 1에서도 유독 신전 근경의 절벽과 신전 외관의 도트는 퀄리티가 좀 떨어지는 편이었는데, 완전판에서 환골탈태급으로 수정됐다.[16] 이스 이터널의 일러스트는 물론 그림 자체는 좋았지만, 장면마다 표현이 다르거나 마무리가 거친 그림도 있었다. 이것을 분위기를 통일시키고, 전반적으로 이스2 이터널의 부드러운 느낌으로 바꿨다. 특히 피나의 일부 일러스트는 이목구비도 눈에 띄게 수정되었다.[17] 이스 이터널의 난이도와 비교하자면, 완전판의 HARD < 이스 이터널 < 완전판의 NIGHTMARE 이다. 이스 이터널을 여러 번 클리어한 후 완전판을 플레이해 보면, HARD는 비교적 쉽고 NIGHTMARE는 조금 어렵다. 예를 들어 EASY 난이도는 달크 퍽트 를 10초도 안 걸려서 때려잡을 수 있을 정도로 쉽지만 NIGHTMARE 난이도는 이스 이터널을 상회할 정도로 클리어하기가 힘들다.[18] 이쪽은 이터널판의 실수를 바로잡은 느낌이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