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9:41:59

이스테방 윌리앙

이스테방 윌리안에서 넘어옴
1 마테우스 · 2 마르쿠스 호샤 (VC) · 5 모레노 · 6 방데를랑 · 7 두두 · 8 제 하파에우 · 10 호니
11 브루누 R. · 12 마이키 · 13 루앙 · 14 M. 롱바 · 15 G. 고메스 (C) · 16 카이우 · 17 라자루 · 20 호물루
21 웨베르통 · 22 피케레스 · 23 R. 베이가 · 25 G. 메니누 · 26 무릴루 · 27 리차르드 리오스
32 가르시아 · 34 나비스 · 35 파비뉴 · 40 존 존 · 41 이스테방 · 42 로페스 · 51 카이키 · # 안데르송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아벨 페헤이라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SE 파우메이라스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ESTÊVÃO.png
<colbgcolor=#006434><colcolor=#ffffff>
SE 파우메이라스 No. 41
이스테방 윌리앙
Estevão Willian
본명 이스테방 윌리앙 아우메이다 지올리베이라 곤사우베스
Estêvão Willian Almeida de Oliveira Gonçalves
출생 2007년 4월 24일 ([age(2007-04-24)]세)
브라질 상파울루주 프랑카
국적
[[브라질|]][[틀:국기|]][[틀:국기|]]
신체 176cm / 체중 62kg
포지션 윙어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006434><colcolor=#ffffff> 유스 크루제이루 EC (2017~2021)
SE 파우메이라스 (2021~2024)
프로 SE 파우메이라스 (2023~2025)
첼시 FC (2025~ )
국가대표 5경기 3골 (브라질 U-17 / 2023~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6434><colcolor=#ffffff> 등번호 브라질 U-17 대표팀 - 20번
SE 파우메이라스 - 41번
후원사 파일:나이키 로고.svg 나이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브라질 국적의 SE 파우메이라스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

파우메이라스 내에서 엔드릭, 루이스 길례르미과 함께 가장 유망한 3명의 유망주로 꼽힌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스테방 윌리앙/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3.1. 청소년 대표팀

3.1.1. 2023 FIFA U-17 월드컵 인도네시아

조별 리그 2차전 누벨칼레도니 전에 선발로 출전에 59분을 뛰면서 볼 터치 58회, 슈팅 6개, 1골 3도움, 33/35 패스 (94%), 키패스 13회, 크로스 8회, 2/2 드리블 (100%), 경합 승리 2회라는 미친 스탯을 기록하면서 9:0 대승에 큰 공을 세우고 평점 10점을 받으며 경기 POTM을 차지했다.
파일:estevaoseleçao.jpg
<colbgcolor=#FFE927> {{{#029C55 자신의 첫 국제 대회 무대}}}
파일:estevaoseleçao1.jpg
파일:메시뉴 원더골.gif
<colbgcolor=#FFE927> {{{#029C55 어마무시한 원더골과 퍼포먼스를 보여주다.}}}
파일:메시뉴potm.jpg
<colbgcolor=#FFE927> {{{#029C55 맹활약으로 자신의 대회 두 번째 POTM에 선정되다.}}}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인 잉글랜드 전 역시 선발로 출전하며 전반 내내 브라질 공격진 중 단연 돋보이는 활약을 보여주며 여러 차례 골문을 노렸으나 골대를 맞추는 등 아쉽게 득점은 하지 못했다. 하지만 전반 43분 날카로운 돌파 이후 때린 슛이 수비에 맞고 굴절되었지만 굴절된 볼을 엘리아스가 침착하게 그대로 다시 차 넣으며 1:0 리드의 기점이 되었다. 이후 계속해서 위헙적인 찬스를 만들어냈고 후반 78분 로란과 교체되며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팀은 2:1로 승리를 거뒀고 종료 직후 또 다시 경기 POTM을 수상해 자신의 대회 두 번째 POTM에 선정되었다.

그리고 이런 활약에 힘입어 브라질은 C조에서 잉글랜드에 이어 2위로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자동적으로 16강에서 에콰도르를 만나게 되었다.
파일:메시뉴16강.jpg
<colbgcolor=#FFE927> {{{#029C55 멀티골을 폭격시키며 팀을 8강으로 이끌다.}}}
파일:messinho16goal.gif
파일:messinho16goal1.gif
대회 16강 에콰도르 전에 어김없이 선발로 출전하며 경기 내내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전반 14분 엘리아스의 패스를 감각적으로 터치해 수비를 완벽히 따돌리고 왼발로 깔끔하게 넣으면서 1:0 선제골을 넣었다. 그리고 후반에도 경기 내내 최상의 컨디션으로 위협적인 모습을 만들어내었고 70분 수비를 돌파하다 걸려 넘어지면서 좋은 위치에서 프리킥을 만들었고 본인이 직접 키커로 나서면서 왼발로 때린 슛이 운 좋게도 수비 맞고 굴절되며 그대로 골문으로 들어가면서 또다시 팀의 2:1 역전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82분 교체 아웃되었고 팀은 교체 투입된 루이지의 추가 골로 3:1 승리를 거뒀고 8강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본인은 82분 출전하며 터치 55회, 2골, 슈팅 5개, 패스 18/25 (72%), 키패스 5회, 빅 찬스메이킹 2회, 크로스 2회, 드리블 5/5 (100%), 가로채기 1회, 경합 승리 8회라는 절정의 기량을 보여주었고 대회 3경기 연속 POTM 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8강 상대는 전통적인 남미 라이벌인 아르헨티나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결과는 0:3. 아무것도 못하고 완패하며 탈락했다. 하지만 본인만큼은 팀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해도 무방했다.

최종 성적
5경기 3골 3도움

4. 플레이 스타일

측면을 파괴시키는 폭발적인 가속력과 좁은 공간에서도 위협적인 세밀한 볼 컨트롤과 민첩한 방향 전환과 변칙적인 페이스 변화, 정교하면서 화려한 드리블 밑 플립 플랩, 솜브레로 등의 다양한 기술들로 브라질리언 특유의 번뜩이는 플레이'를 보여주는 자국에서도 손꼽히는 재능이며, 특히 과거 브라질과 바르사의 전설 히바우두를 연상케하는 강력한 발목 힘에서 나오는 날카로운 구질의 왼발 킥 능력을 가지고 있어 박스 밖에서의 슈팅과 크로스 역시 굉장히 위협적이며 유스에서도 세트피스 전담 키커로 활약하였고 1군에서도 세트피스를 전담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료를 이용한 연계 플레이나 찬스를 만드는 찬스메이킹 능력 역시 뛰어나다.
파일:메시뉴 드리블.gif
파일:메시뉴 드리블2.gif
파일:메시뉴 드리블3.gif
파일:메시뉴 드리블5.gif
파일:메시뉴 드리블6.gif
파일:메시뉴 킥력.gif
파일:메시뉴 킥력2.gif
파일:메시뉴 킥력3.gif
파일:메시뉴 킥력4.gif

176cm, 62kg로 키 대비 상당히 마른 체격을 가지고 있어 경합이나 피지컬적인 부분이 안 좋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뛰어난 균형감각과 코어 힘, 낮은 무게 중심으로 경합 상황에서도 잘 안 밀린다.
파일:메시뉴 피지컬.gif
파일:메시뉴 피지컬2.gif

또한 아무래도 왼발이 주발인 선수이다 보니 약발인 오른발 사용 빈도가 적어 단점이라고 생각하는 게 대부분이나 의외로 오른발 역시 준수하게 사용하는 선수다.
파일:메시뉴 오른발.gif
파일:메시뉴 오른발2.gif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7. 같이 보기

2024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라민 야말 엔드릭 워렌 자이르에메리 마티스 텔 아르다 귈러
비토르 호키 코비 마이누 케난 일디즈 클라우디오 에체베리 레니 요로
안토니오 누사 조렐 하토 루니 바르다그지 켄드리 파에스 기욤 레스트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파우 쿠바르시 아르투르 베르미렌 루이스 마일리 루이스 길례르미
이스테방 윌리앙 데지레 두에 루카스 베리발 아산 웨드라오고 아마라 디우프
발렌틴 카르보니 잔루카 프레스티아니 프란체스코 카마르다 딘 하위선 엘리 주니오르 크라우피
잭 힌셜우드 시모네 파푼디 엘리세 벤 세기르 아이삭 바바디 파울 바너
조르주 일레니케나 마르크 기우 프랑코 마스탄투오노 벤 도크 파리스 브루너
에단 은와네리 쥘리앵 뒤랑빌 아치 그레이 아산 디아오 율리안 레이크호프
아구스틴 루베르토 스베레 뉘판 벤자민 크레마스키 네스토리 이란쿤다 조브 벨링엄
}}}}}}}}} ||


[1] 호나우지뉴의 본명이 호나우두인데, 당대 브라질 최고 선수인 호나우두와 구분하기 위해 작은 호나우두라는 뜻으로 지어진 것과 비슷[2] 아스와의 인터뷰 중 나의 경기는 메시에게서 많은 영감을 받았고, 그를 보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오늘날까지 내가 가장 많이 참고하는 선수는 메시이다. 내게 메시는 항상 최고의 자리에 있었고 항상 최고와 싸워온 선수이며 그는 나의 우상이자 참고 대상이다.[3] 파일:메시뉴바르사유니폼.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