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01:00:42

이승용/선수 경력/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승용/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231815> 파일:이승용.svg이승용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31815><colcolor=#fff> 소속 구단 파일:팀그리핀.png Griffin
2017 · 2018 · 2019 · 2020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LNG Ninebot Esports
2021 · 2022 · 2023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Weibo Gaming TapTap
2024
파일:Anyones_Legendlogo_square.png파일:Anyones_Legendlogo_square.png Anyone's Legend
2025
평가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기록 대회 경력 · 주요 경력
기타 · 여담
}}}}}}}}} ||
이승용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clearfix]

1.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

2024 시즌 종료 후 WBG를 떠나서 12월 5일 오후 7시 X를 통해 Anyone's Legend로 이적하게 되었다.#

2. 2024 Demacia Cup

파일:데마시아컵파엠타잔.jpg
데마시아 컵에서 TES를 상대로 우승하고 파엠을 받으며 산뜻하게 시즌을 출발하였다. 은근히 카나비 상대로 강한 편. 케스파컵 데마시아컵 한중 양대 리그 우승자 유관잔

3. 2025 LoL Pro League Split 1

파일:25스1타잔.jpg
2025 Split 1 'AL Tarzan'
데마시아 컵에서의 선전이 이변이 아니라는 듯 좋은 폼을 보여주며 조 1위로 녹아웃 스테이지에 승자조로 진출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