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00:46:57

이재원(1988)/선수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재원(1988)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이재원(1988)/선수 경력/SK 와이번스-SSG 랜더스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C4E00> 파일:BRANDGOD.png 관련 문서
이재원
Lee Jae-wo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인천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svg SK 와이번스
SK Wyverns
2006~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SSG 랜더스
SSG Landers
2021년 · 2022년 · 2023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14 아시안게임 · 2018 아시안게임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류거이 · 분류
야, 형이야. · 역시브랜드신 · 초상집
}}}}}}}}} ||
통합 선수 경력: 이재원(1988)/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06~2010년 상무
야구단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14년 2018년


[clearfix]

1. 개요

이재원의 커리어에 대해 소개하는 문서다.

2. 아마추어 시절

인천고 시절에 동기인 김성훈과 함께 청소년 대표로 차출되어 우승을 하기도 하였고, 2학년 때는 인천고 사상 최초로 대통령배 고교야구 대회에서 우승을 하는 등 인천고 전력 강화의 1등 공신이자 초고교급 포수로 주목받았다.

3.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No.20 이재원
2006 ~ 2023
파일:이재원 2023년 준플레이오프 3차전 1.jpg
★ ★ ★ ★ ★
1426경기 4471타석/3913타수 1087안타 108홈런
612타점 432득점 374BB/623K 12도루
.278/.351/.411 OPS .762 wRC+ 98.8 sWAR 17.80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재원(1988)/선수 경력/SK 와이번스-SSG 랜더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한화 이글스

2023년 12월 28일 한화와 연봉 5000만원에 입단 계약을 맺으면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게 되었다. 그 동안 뭐니볼TV의 정세영 기자가 한화와의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는 썰을 풀었는데, 이것이 현실화된 것. 한화에서도 주전 최재훈을 받쳐줄만한 자원이 전무하고 백업으로 기회를 많이 받았던 박상언이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하자 포수 뎁스 강화를 위해 영입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재원은 야구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고향 인천을 벗어나 다른 지역의 팀에서 뛰게 되었다.

4.1. 2024 시즌

파일:1000000533.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재원(1988)/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공수 모두 최악의 모습을 보이며 무너진 인천에서의 말년 시절에 비해 좋아진 모습으로 재기에 성공하며 최재훈의 백업으로서 쏠쏠하게 자신의 역할을 해주었다.

4.2. 2025 시즌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재원(1988)/선수 경력/202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국가대표 경력

5.1.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파일:국가대표 이재원.jpg
2014 시즌의 활약을 바탕으로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 대표팀에 선발됐다.

9월 24일 대만과의 조별예선에서 8회에 팀의 10점째를 만드는 적시타를 치며 콜드게임을 만들었다.

군필이었기 때문에 병역혜택과는 거리가 있었지만 국제대회라는 큰 무대에서 포수로서의 경험을 쌓은 것은 본인에게 큰 소득이라고 할 수 있을 듯.

다만 대표팀 훈련 과정에서 양현종의 공을 받으며 "직구 자체만 보면 (김)광현이보다 좋다"는 발언을 하여 위의 채병용 피홈런왕 발언과 엮여 SK팬들에게 까였다. 입돼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마저 획득했다.

5.2.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파일:2018081901000898600064191.jpg
시즌 내에 좋은 활약을 보여줘 자신의 커리어 두번째로 A대표팀에 승선, 양의지와 함께 대표팀의 주전 포수로 나서게 되었다. 첫번째 경기에선 9회 대타로 나와 삼진을 당했다. 좌투수에 강한 기록 때문에 좌투수가 올라왔을 때 대타로 나왔는데, 볼카운트 1-1상황에서 우투수로 투수가 교체되었다. 두번째 경기에선 선발 포수로 출전하여 박종훈과 함께 국가대표 SK 배터리를 이루게 되었다. 대표팀이 우승함에 따라 본인도 아시안게임 금메달 2개를 획득하는 등 의미있는 대회였다.[2]

6.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이재원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06 SK-SSG 23 49 15 0 0 0 2 4 0 1 9 .313 .327 .313 .639 87.6 0.21
2007 66 119 36 8 0 3 16 21 1 7 13 .333 .387 .491 .877 153.2 1.48
2008 82 171 46 13 1 3 14 25 2 20 24 .315 .398 .479 .877 156.9 1.87
2009 24 39 11 2 0 0 2 5 0 6 4 .344 .462 .406 .868 151.8 0.45
2010 54 79 18 5 0 1 8 7 0 5 8 .257 .321 .371 .692 69.0 -0.08
2011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2 16 33 9 0 0 2 3 7 0 4 4 .321 .424 .536 .960 178.5 0.53
2013 69 252 57 10 1 8 27 41 2 17 32 .252 .313 .412 .725 91.6 0.11
2014 120 484 139 30 2 12 48 83 3 49 66 .337 .413 .507 .921 128.5 2.85
2015 140 559 138 18 1 17 58 100 1 54 85 .282 .363 .427 .791 101.9 2.06
2016 130 472 119 15 0 15 49 64 1 43 76 .290 .364 .436 .799 97.1 1.44
2017 114 350 76 15 0 9 32 42 0 16 55 .242 .292 .376 .668 65.1 0.24
2018 130 471 134 24 0 17 63 57 0 43 65 .329 .405 .514 .919 126.8 3.60
2019 139 502 121 19 0 12 33 75 1 34 59 .268 .327 .390 .717 93.9 2.49
2020 80 251 41 8 0 2 18 21 0 19 24 .185 .266 .248 .514 32.6 -0.42
2021 107 313 76 13 0 3 29 30 0 29 47 .280 .358 .362 .720 98.4 1.61
2022 105 279 47 6 0 4 27 28 1 25 44 .201 .296 .278 .574 62.5 0.10
2023 27 48 4 1 0 0 3 2 0 2 8 .091 .128 .114 .241 -53.7 -0.77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24 한화 72 152 32 4 0 1 10 16 0 7 21 .239 .287 .291 .578 44.0 -0.29
KBO 통산
(18시즌)
1498 4623 1119 191 5 109 442 628 12 381 644 .277 .348 .407 .755 97.0 17.50


[1] 스탯티즈 개정 전 wRC+ 102.8 sWAR 20.05[2] 이게 무슨 의미냐면 아시안게임은 금메달 2개부터 연금점수 20점으로 체육연금 수령 대상자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