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정식으로 강인여객이 운행하게 되었으나, 운영수지 적자를 이유로 파행운행을 했다. 김포운수가 66번을 이용하여 저렴한 요금으로 공항신도시에 들어오려 했을 때 공항신도시 주민들이 쌍수를 벌려 환영했을 정도. 물론 66번의 공항신도시 입성은 성사되지 못하였지만 이 일로 약점이 잡힌 강인은 이후에 선진과 강화 노선(700번)과 인천공항 노선(1000번)을 서로 맞교환하게 된다.
2007년 6월 25일에 삼목선착장을 거쳐 공항화물터미널(공항자원단지)로 연장되었다. 관련 기사 당시에는 배차간격이 15~20분이었다.
2009년 12월 1일에 인가대수가 8대 중 2대가 신설한 305번으로 넘어가 감차되었다. 관련 기사
2013년 6월 20일까지만 운행한 후 노선을 반납했고, 당시 신규법인[2]이었던 세종고속이 응찰해 운행하게 되었다. 세종고속이 운행을 맡게 되면서 뉴 슈퍼 에어로 시티 투성이던 이 노선이 현대 유니버스 Xpress Prime(SD 12m급)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2013년 6월 21일에 112번이 서부공단으로 단축되면서 '(생략) - 공항신도시 - 삼목선착장 - 기내식입구 - 삼목감리교회 - 대한항공카고'였던 노선이 '(생략) - 공항신도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공항합동청사 - 대한항공카고 - 삼목감리교회 - 기내식입구 - 삼목선착장'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영종도 지역이 기점이었으나 종점으로 바뀌었다.
2013년 9월 13일부터 화물청사 일부를 미경유하고 인천국제공항을 경유, 상행 한정으로 운서역을 경유하는 등의 변경이 있었다. 인천광역시 공지사항(pdf 파일)화물청사 미경유(케이터링 서비스 등)로 인해 공항 상주인원 및 화물청사 출퇴근 승객들의 반발이 거세어졌다.
세종고속에서는 비교적 승객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던 삼목선착장이나 화물터미널 대신 인천공항을 경유하면서 적자를 해소하려 했으나, 결국 늘어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11월 1일 면허를 반납하기로 했다.
하지만 노선을 분리하는 조건으로 운행중단은 없던 일이 되었다. 2013년 11월 13일에 서부공단 이후 '(운서동 미경유) - 인천공항 - 화물터미널 - 삼목선착장'은 710번, '하늘도시 - 운서동 - 삼목선착장 - 화물터미널 - 인천공항'은 710-1번으로 분리했다. 동시에 710번은 '계산역 - 작전역 - 부평구청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인천광역시 공지사항(pdf 파일)
운행사의 사정으로 인해 2014년 3월 기준으로 첫막차만 지켰고 나머지 시간대는 사실상 파행운행을 했다.
적자로 인해 2014년 7월 23일에 4대가 감차되었다.
결국 경영 악화를 이기지 못하고 2014년 8월 29일부터 운행중단에 들어갔다. 2015년 1월 20일에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었지만, 결국 부활하지 못하였다. 이후 2016년 대개편 때 신설된 84번이 강인여객 시절의 일부 구간을 계승했으나, 얼마 못가 그 노선 마저 폐선되었다.
삼목선착장에서 신도, 시도, 장봉도로 가는 배편과 연계되었다. 다만 화물청사를 추가로 경유하므로 시간이 더 걸렸다.
인천 시내버스 중 인천공항 화물터미널 내부를 경유하던 최후의 노선이었다.[3]. 지금은 직접적으로 경유하지는 않지만 204번(화물터미널)과 E6106, E6108번[4](화물/물류단지 (남/북))이 있으며, 미경유 구간은 인천국제공항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2021년 현재도 화물터미널 내부의 710번이 정차했던 일부 정류장(현재 셔틀버스 정류장)에 인천 시내버스 정류장 표지판과 710번이 쓰여 있는 등 흔적이 아직 남아 있다. 공항초등학교(현. 풍림아이원8단지(35915)) 정류장에도 한동안 710번 표지판이 남아 있었다.
2023년 3월 영종지역 버스환경 개선을 위한 주민 공청회에서 이 노선이 부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관련 기사
[1] 명목상 용현운수 소속 차량이었고, 차적도 용현운수 차적을 부여받았으나 실제로는 강인여객에서 300번대에서 운행하던 새 차 빼다가 운행했다. 결정적으로 용현운수는 당시 대우차만 운행하던 업체였고 영종도에 연고가 아예 없었다.[2] 기존에도 인천국제공항 통근버스를 운행하는 회사 중 하나였으나, 시내버스 사업은 이 때가 처음이었다.[3] 그 이전에는 112, 301-1번과 이 노선의 지선인 710-1번이 화물터미널을 경유하였으며, 공항버스를 포함하면 구 6007번이 있었다.[4] 현재 운행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