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가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롤러코스터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currentColor; width: 90%; margin: 5px auto;"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currentColor; width: 90%; margin: 5px auto;"
- [ 펼치기 · 접기 ]
-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dd,#383b40><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47a0> 현재 운행중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비룡열차
[[에버랜드|Ev]]1987롤링 엑스 트레인
[[에버랜드|Ev]]1988은하열차 888
[[서울랜드|S]]1988달나라 열차
[[서울랜드|S]]1988후렌치 레볼루션
[[롯데월드 어드벤처|L]]1989블랙홀 2000
[[서울랜드|S]]1990또봇트레인
[[서울랜드|S]]1990청룡열차
[[광주패밀리랜드|F]]1991혜성특급
[[롯데월드 어드벤처|L]]1995부메랑
[[이월드|EW]]1995카멜백
[[이월드|EW]]1995허리케인
[[이월드|EW]]1995티키톡열차
[[서울랜드|S]]1996와일드스톰
[[대전 오월드|O]]2003아트란티스
[[롯데월드 어드벤처|L]]2003터스코 싱이레
[[에버랜드|Ev]]2005파에톤
[[경주월드|G]]2007T 익스프레스
[[에버랜드|Ev]]2008패밀리코스터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C]]2014댄싱 오스카
[[신화테마파크|ST]]2017드라켄
[[경주월드|G]]2018쾌속열차
[[경남 마산로봇랜드|R]]2019새로운 항해
[[경남 마산로봇랜드|R]]2019발키리
[[경주월드|G]]2021자이언트 디거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LB]]2022자이언트 스플래쉬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LB]]2022쿠키 열차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LB]]2022드래곤 코스터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LK]]2022위자드 레이스
[[경주월드|G]]2024스콜 & 하티
[[경주월드|G]]2024스핀짓주 마스터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LK]]2025개장 예정 핑크빈 롤러코스터
[[메이플 아일랜드(테마파크)|MI]]2026자이언트 레볼루션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LB]]2026운행종료 및 중단 청룡열차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C]]1973~1983젯트열차
[[에버랜드|Ev]]1976~200488열차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C]]1984~2012정글마우스
[[경주월드|G]]1985~2006아토믹 코스터
[[서울 드림랜드|D]]1987~2001제트 코스터
[[서울 드림랜드|D]]1987~200688열차
[[부산어린이대공원|B]]1989~2011어린이특급
[[롯데월드 어드벤처|L]]1990~2002은하철도
[[가야랜드|Ga]]1991~2011스페이스 2000
[[경주월드|G]]1991~2016비룡열차
[[경주월드|G]]1991~2023독수리 요새
[[에버랜드|Ev]]1992~2009환타지아스페셜
[[통도환타지아|T]]1993~2020블랙홀 특급
[[꿈돌이랜드|K]]1993~2012그랜드캐년
[[부곡하와이|H]]1994~2017고공회전열차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LS]]1996~1999다이빙 코스터
[[미월드|M]]2004~2013스페이스 투어[1]
[[경주월드|G]]2006~2015지표별 국내 롤러코스터 순위
[1] 舊 정글마우스
| 자이언트 레볼루션 Giant Revolution | |
| | |
| <colbgcolor=#77509B><colcolor=#ffffff> 개장일 | 2026년 예정 |
| 위치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원더우즈 존 |
| 제작사 | 잠펠라 |
| 기종 | <colbgcolor=#ffffff,#191919>Double Heart(50m) |
| 트랙 길이 | 325m |
| 운행 길이 | 540m |
| 운행 시간 | 48초(추정) |
| 추진 방식 | LSM Launch |
| 런치 (Launch) | 3회[1] |
| 브레이크 | |
| 하강 횟수 | |
| 뱅킹 횟수 | |
| 최고 높이 | 50m |
| 최고 낙차 | 46m |
| 최고 각도 | |
| 최고 속도 | 110km/h |
| 최대 중력 가속도 (G-Force) | |
| 인버전 | 4회 |
| 특수 트랙 | 7개[2] |
| 탑승 인원 | 16명 |
| 탑승 조건 | 120cm 이상 탑승 가능 |
1. 개요
2026년 개장 예정인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의 롤러코스터. 자이언트 디거, 자이언트 스플래쉬, 자이언트스윙의 뒤를 잇는 4번째 자이언트 시리즈 소속 어트랙션으로, 3번째 기함급 롤러코스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2. 특징
전 세계 최초로 개장하는 잠펠라 사의 더블 하트 롤러코스터. 최대 높이 50m로 대한민국에서 3번째로 높은 롤러코스터이자, 최대속력이 110km/h로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빠른 롤러코스터가 될 예정이다.[3]이 어트랙션이 개장하면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은 속력 국내 2위, 3위의 롤러코스터를 보유하게 되고, 국내에서 유일하게 100km/h가 넘는 기함급 어트랙션을 4개나 보유하게 된다.[4] 또한, 경주월드와 더불어 국내에서 기함급 롤러코스터를 가장 많이 보유한 테마파크가 되게 된다.
다만 더블 하트 기종 특성상 회전율이 떨어진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지만, 운행시간이 48초밖에 되지 않고 자이언트 스플래쉬의 사례처럼 턴테이블 옵션을 가져와 회전율 문제를 해결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
3. 테마 및 스토리
현재까지 알려진 자이언트 레볼루션에 대한 스토리는 없다. 다만 기존 위키드 맨션이 예정되었던 자리에 새로 급조된 어트랙션이기 때문에[5] 다른 어트랙션들의 스토리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4. 개장 이전
로리캐슬과 자이언트 스플래쉬 사이의 빈 공터에 지어질 예정이다. 현재 터파기를 진행하고 있다.4.1. 기종 관련 추측들
기종에 관한 예측들로는 잠펠라의 더블 하트 코스터,[6] Premier Rides의 Sky Rocket 2, Maurer의 SkyLoop,[7] Mack Rides의 스피닝 코스터나[8] 빅 디퍼가 들어올 가능성을 제시하는 의견이 주로 있었다. 그 중에 더블 하트의 경우 부지의 모양과 크기[9]가 적합하고 과거 2024년 5월 경, 잠펠라 사의 공식 인스타그램의 홍보 게시물에서 2026년에 더블 하트 50m 타입이 아시아에서 건설될 예정이라는 내용이 있었기에 시기 상 알맞다는 것이 추정 근거이지만, 확신하기엔 이르다고 여겨졌다.롯데월드는 Premier Rides의 롤러코스터를 도입한 이력이 없으며,[10] 최근에 서울과 부산을 막론하고 잠펠라에서 제작한 놀이기구를 선호하는 추세이긴 했다. 다만 이미 부산 롯데월드의 2대의 기함급 롤러코스터가 모두 LSM 발진형인데다, 오픈 1년 만에 자이언트 스플래쉬의 턴테이블이 고장나고[11] 자이언트 스플래쉬와 디거의 LSM 시스템이 여름만 되면 말썽을 부려 틈만 나면 점검에 들어가는 등 유지보수 측면에서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라,[12] 롯데 입장에서 또다시 LSM을 들여오기엔 숙고가 필요할 지도 모른다는 예측도 적지 않았다. 또한, 최근 잠펠라에서 제작한 자이언트스윙에서 한 차례 사고가 발생하고 운영이 중지된 상황인지라, 잠펠라의 기함급 어트랙션을 도입하는 것에는 신중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3][14] 이에 따라 기종 확정 여부는 공식 발표를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후 업데이트된 컨셉아트를 통해 더블 하트가 들어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애초에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이 좁은 부지에 들여올만한 기함급 롤러코스터가 더블 하트밖에 없었기 때문에, 이는 당연한 결과로 볼 수 있다.
5. 기타
- 원래 최종 조감도에는 포시즌 가든이라는 식물원이 있었으나 이후 롤러코스터로 뒤늦게 변경되었고, 포비든 캐슬과 위치를 맞교환했기에 컨셉 아트는 일절 없었으나 최근 추가될 6종의 컨셉아트가 등장하면서 멀리 더블하트의 모습이 포착되었다.
- 첫 기획 당시에는 패밀리 우든 코스터인 타이거 트랙이 건설될 예정이었다. 그러다가 코로나 19 여파로 일부 놀이기구의 설치가 무기한 연기되었고, 그 중 타이거 트랙 계획은 완전히 무산되었다. 그러다가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의 흥행이 실패했고, 심지어 경주월드에 밀려 입지가 위태로워지면서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측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스릴형 롤러코스터로 뒤늦게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 잠펠라가 스스로 제작한 최초의 기함급 롤러코스터이며,[15] 탑 스릴 2의 선례처럼 잠펠라가 적극적으로 홍보할 가능성이 높다.
[1] LSM Launch[2] Forward Stall, Hangtime Stall, Rising Vertical Twist, Twisted Vertical Drop, High Speed Valley, Immelmann, Dive Drop[3] 높이 1위는 드라켄, 2위는 T 익스프레스. 속도 1위는 마찬가지로 드라켄, 3위는 자이언트 레볼루션 이전 본래 2위였던 자이언트 디거이며, 3위였던 T 익스프레스는 4위로 밀려나게 된다.[4] 자이언트 디거, 자이언트 스윙, 자이언트 스플래쉬, 자이언트 레볼루션. 자이언트란 이름에 걸맞게 모두 스펙이 상당하다.[5] 위키드 맨션은 포비든 캐슬로 이름을 변경한 채 다른 곳으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6] 50m 모델. 70m 모델은 부지 크기 문제로 인해 도입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7]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이 도입할 수 있었던 모델은 XT 150, XT 450이 있었다. 현재까지 도입된 SkyLoop는 전부 다 체인 리프트 모델이다.[8] 일반 스피닝 모델. 익스트림 스피닝 모델은 좁은 부지로 인해 들여올 가능성이 없었다. 이와 별개로 일반 스피닝 모델의 체급 자체가 그리 큰 편은 아니기에 만약에 도입했다면 자이언트 레볼루션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도입할 가능성이 높았다.[9] 앞뒤가 약간 좁고, 좌우로도 엄청 넓지는 않은 형태의 부지이다. 잠펠라의 더블 하트나, Premier Rides의 Sky Rocket 2와 같이 앞뒤가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의 급발진형 레이아웃이 적합해 보인다는 의견이 많았다.[10] 기본적으로 Premier Rides의 롤러코스터는 미국에 소재한 놀이공원들이 주로 도입했으며, Premier Rides의 롤러코스터가 한국에 판매된 적은 아예 없다.[11] 다만 자이언트 스플래쉬의 턴테이블 고장 문제는 파워 스플래쉬 기종의 고질적인 결함으로 확인되었다.[12] 반면 인타민에서 제작한 아트란티스는 LSM 시스템에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Mack Rides에서 제작한 체인 리프트 롤러코스터들은 별다른 신뢰성 문제가 없었는데 이를 보아 Mack Rides에서 제작한 LSM 롤러코스터의 고질적인 문제일 확률이 높다.[13] 애초에 잠펠라라는 회사 자체가 기함급 롤러코스터를 제대로 건설한 이력이 몇 안 되는 편이기도 하다. 잠펠라가 100% 스스로 제작한 스릴 롤러코스터는 라이트닝 리프트(구 썬더볼트) 모델이 전부이며, 스트라타 코스터 모델인 탑 스릴 2는 인타민이 제작한 롤러코스터를 리뉴얼한 것이었고 이 역시 비클의 기술적 문제로 인해 한동안 몸살을 앓았던 적 있었다.[14] 다만 잠펠라인지 여부와는 별개로 자이언트 레볼루션 자체는 2023~2024년에 계약이 성사되었으며, 시점 상 트랙 역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기에 계약을 파기한다면 위약금까지 지불해야 한다. 또한 롤러코스터의 트랙 제작은 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처럼 누르면 바로 만들어지는게 아니라서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며, 한국의 사계절 기후로 인해 공사기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지금 당장 새 롤러코스터 기종을 계약할 경우 이미 만들어진 재고분을 구입하지 않는 이상 2026년 개장은 불가능하며, 빨라야 2027년 이후에야 개장할 수 있다.[15] 탑 스릴 2는 잠펠라가 차량, LSM 모듈, 수직 스파이크 1개를 제작했으나 기존 인타민 롤러코스터의 리뉴얼 버전이라 순정 모델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