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4:52:53

서울 드림랜드


대한민국의 테마파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5C6D><colcolor=#ffffff> 운영중 <colbgcolor=#FF5C6D> 수도권 <colbgcolor=#FF5C6D> 서울특별시 <colbgcolor=#ffffff,#1c1d20>롯데월드 어드벤처 ·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 키자니아 서울
인천광역시 월미도(마이랜드 · 월미랜드 · 월미비치랜드 · 월미테마파크)
경기도 니지모리 스튜디오 · 두리랜드 · 루덴시아 · 쁘띠프랑스 · 서울랜드 · 안성팜랜드 · 에버랜드 · 이탈리아 마을 피노키오와 다빈치 · 잭슨나인스 일산점 · 평강랜드 · 평화랜드 · 하니랜드 · 한국민속촌
강원도 365세이프타운 · 나미나라 공화국 ·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 · 육림랜드
충청권 충청북도 의림지파크랜드 · 잭슨나인스 충주
대전광역시 대전 오월드
세종특별자치시 잭슨나인스 세종점
충청남도 백제문화단지 · 삽교호놀이동산 · 상록랜드
경상권 대구광역시 동성로 스파크 · 동촌파크광장놀이공원 · 삼국유사테마파크 · 아르떼 수성랜드 · 이월드
경상북도 경주월드 · 금오랜드 ·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 선비세상 · 청도 프로방스 포토랜드
부산광역시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키자니아 부산
울산광역시 롯데 꿈동산
경상남도 가야랜드 · 경남 마산로봇랜드 · 김해가야테마파크 · 합천 대장경테마파크 · 합천영상테마파크
전라권 전북도 전주드림랜드
광주광역시 광주패밀리랜드
전라남도 홍길동테마파크
제주도 신화테마파크 · 에코랜드
개장 예정 메이플스토리 리얼 월드 ·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 송도 테마파크 · 안동문화관광단지 · 인천로봇랜드 · 화성 국제테마파크(파라마운트 무비파크 코리아)
폐장 및 휴장 경인랜드 · 꿈돌이랜드 · 드림랜드 · 롯데월드 언더씨킹덤 · 미월드 · 복돌이 동산 · 부곡하와이랜드 ·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 · 송도유원지 · 수봉놀이동산 · 아인스월드 · 용마랜드 · 진주랜드 · 창경원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 통도환타지아
{{{-2 ※ 문서가 존재하는 테마파크만 기재. 인지도가 높은 테마파크는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 vertical-align: middle"}}} 색상으로 표시.}}} }}}}}}}}}

폐쇄된 시설 혹은 장소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시설 혹은 장소는 폐쇄되었습니다.

1. 개요2. 역사3. 존재했던 시설
3.1. 놀이기구
3.1.1. 롤러코스터3.1.2. 스릴 기구3.1.3. 가족 기구
3.2. 눈썰매장3.3. 수영장3.4. 기타 시설
4. 여담

[clearfix]

1. 개요

1987년부터 2008년 2월까지 운영했던 대한민국의 놀이공원.

2. 역사



과거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1]에 위치했던 놀이동산. (서울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을 제외하면) 1987년에 개장한 서울 시내 최초의 테마파크1990년대까지 서울 동북부 학생들의 단골 소풍 장소로 인기를 끌었다. 번동을 비롯하여 인근 성북구 장위동, 노원구 월계동 소재의 초등학교 졸업생들에 의하면 소풍 당시 학교에서 드림랜드까지 도보로 이동했다고 한다. 롯데월드 어드벤처보다도 일찍 개장했기에 개장 초기에는 서울에서 인기가 엄청났었다.

하지만 모기업((주)드림랜드)이[2] IMF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어려움을 겪고 결국 모기업은 부도나서 1999년조직폭력배 '서방파' 부두목이 드림랜드를 인수했는데 회사돈을 횡령하여 130억원의 손실을 끼쳤으며[3] 당연히 관리비가 줄어나갔기에 이 시점을 기점으로 해서 놀이기구와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 폭력조직 부두목은 2004년에 구속되었지만# 계약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4] 2001년 부도났고, 관련 자산은 신규법인 (주)서울드림랜드로 넘겨졌다.

부도 이후 변변한 개보수 작업을 거치지 못한 채 고물 놀이공원으로 전락해버리고 말았고, 2007년에 계약이 종료되면서 결국 2008년 겨울시즌이 끝나고 바로 폐장한 뒤 철거되었다. 사생대회나 백일장과 같은 행사에 많이 활용되던 곳으로, 각 학교에서는 수유동 4.19 국립묘지와 로테이션을 돌리는 듯했다.

필수적인 어트랙션은 웬만큼 갖춘 곳이었으나,[5] 유명한 수도권 놀이동산들과 비교할 만한 규모는 아니었다. 적당히 이것저것 타고 놀다 보면 2시간만에 같은 장소를 돌면서 더 이상 놀 거리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특이한 점이라면 별도로 야외 수영장이 있었다는 점. 다만, 동네수영장 규모로 요즘 유행하는 야외수영장에 비하면 한참 못 미치는 규모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주변에 사는 어린이들에게는 큰 인기를 구가했다. 수영장에서 MBC등에서 야외 공개방송도 했었다. 여름에 운영하던 야외 수영장의 경우 여타 수영장과는 달리 염소를 뿌리지 않아 약 냄새도 없었으며, 수영장에 녹조가 자라거나 책에서만 보던 수중곤충이 사는 등(...) 친환경적인(?) 수영장으로 유명했다. 안에 들어가서 수영하다 보니 몸에 근질거리는 느낌이 들어 물속을 보니 곤충이 기어가고 있다거나, 물장구를 치다가 손에 뭔가 잡혀서 보니 곤충이 찌부러져 있다거나, 당시 아이들도 "약 냄새가 나지 않는 수영장"으로 다들 기억하고 있었을 정도. 더럽다는 이유로 기피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몸에 안 좋은 약을 안 썼다고 선호하는 학부모들도 있었다. 근데 사실 저런 수영장 물은 소독을 안 해서 수질 관리가 안된 채로 방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몸에 좋을 리가 없다. 녹조나 곤충이 있다는 건 고여있는 물에 기생충도 얼마든지 산재한다는 뜻이니, 차라리 소독을 제대로 한 물이 더 나은 게 당연지사. 겨울에는 산지를 이용하여 눈썰매장을 운영하기도 했다. 물론 수영장과 눈썰매장의 위치는 전혀 다른 곳에 있었다.

1990년대 초중반부터 풀밭에 토끼를 풀어놓아서 아동들이 관찰할 수 있도록 신선한(?) 체험을 제공했다. 드림랜드 내에서는 동물원이라고 자체적으로 불렀는데, 2007년쯤에는 원숭이, 칠면조, 닭, 오리, 토끼, 염소 같은 동물들을 기르고 있었다.

서울 시내에 있던 테마파크였기 때문에 1990년대 당시 수영복 차림의 여자 연예인들을 내보내는 것이 메인 콘텐츠였던 방송국 주말 예능 프로그램의 단골 촬영지이기도 했다. 특히 1992년 청순함을 무기로 내세웠던 아이돌 가수 하수빈이 이곳의 야외 수영장 특설무대에서 방영된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여름특집 편을 통해 데뷔를 했다. MBC가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당시 방송 영상, 전체 영상

지구용사 벡터맨 일부 촬영을 이 놀이공원 회전목마에서 했다.

파일:external/news.chosun.com/2007071500412_0.jpg

폐장하기 일보 직전인 2007년의 모습. 20년의 세월동안 서울 시민들의 정겨운 놀이시설로 군림했지만 운영회사의 경영난과 더불어 세월의 변화는 따라가지 못했다. 이 시기엔 대부분 시설이 폐쇄됐으며 바이킹 등 몇 가지 시설만 운영되고 있었다. 당시 자유이용권은 14,000원에 불과했는데, 당시 롯데월드는 자유이용권은 24,000원을 징수했고, 서울랜드는 27,000원을 징수했다. 입장료만 봤을 때, 나머지 두 곳이 비싸게 받는데 비해 이쪽은 시설이 빈약해서 단돈 3,000원만 받았다.

2008년 3월 폐장한 이후 철거되어 현재는 북서울꿈의숲이 건설되었다.

3. 존재했던 시설

3.1. 놀이기구

3.1.1. 롤러코스터

3.1.2. 스릴 기구

3.1.3. 가족 기구

3.2. 눈썰매장

3.3. 수영장

3.4. 기타 시설

4. 여담



[1] 개장 당시 도봉구 번동. 1995년에 분구되었다.[2] 1971년에 이식재 창업주가 세운 '일우공영'이라는 회사였으나 1996년에 원주드림랜드를 개장하면서 (주)드림랜드로 사명을 바꾸었다. 즉, 전국에 드림랜드 아파트가 생긴 것도 이런 이유 때문. '서울드림랜드'는 이 일우공영의 자회사로 부도 이후에 서울에 있던 드림랜드를 운영하던 법인.[3] 비슷한 사례로는 생수업체 케이비물산(구 태창)이 있다. 이 회사는 원래 '빅맨'으로 유명한 속옷 회사였다.[4] 위에서 말했듯이 드림랜드는 20년 동안 계약을 맺었다.[5] 일단 바이킹과 회전목마, 롤러코스터, 범퍼카, 유령의 집은 기본으로 있었다. 기본 어트렉션 이외에 카트나 미니골프도 운영했었다. 회전목마와 바이킹, 디스코 팡팡을 비롯하여 6개 정도의 어트랙션은 2007년 가을까지 운영되었고, 나머지는 그 이전에 운영이 중단되었다. 롤러코스터는 2개가 있었는데 하나는 제트코스터로 한때 아시아 최장 길이 레일(약 1.1km)을 자랑하던 카멜백 형태의 코스터였고 다른 하나는 아토믹 코스터라고 레일 끝까지 갔다가, 원점으로 다시 역주행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롤러코스터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