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5:54:07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테마파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5C6D><colcolor=#ffffff> 운영중 <colbgcolor=#FF5C6D> 수도권 <colbgcolor=#FF5C6D> 서울특별시 <colbgcolor=#ffffff,#1c1d20>롯데월드 어드벤처 ·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 키자니아 서울
인천광역시 원더박스 · 월미도(마이랜드 · 월미랜드 · 월미비치랜드 · 월미테마파크)
경기도 니지모리 스튜디오 · 두리랜드 · 루덴시아 · 쁘띠프랑스 · 서울랜드 · 안성팜랜드 · 에버랜드 · 이탈리아 마을 피노키오와 다빈치 · 잭슨나인스 일산점 · 평강랜드 · 평화랜드 · 한국민속촌 · 라바파크 · 옥토끼 우주센터· 원마운트 스노우파크 · 퍼스트가든 · 코코몽 에코파크 · 너티차일드
강원도 365세이프타운 · 나미나라 공화국 ·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 · 육림랜드 · 퍼니팩토리
충청권 충청북도 의림지파크랜드 · 잭슨나인스 충주 · 의림지 놀이동산 · 충주 라바랜드 · 청주랜드
대전광역시 대전 오월드
세종특별자치시 잭슨나인스 세종점
충청남도 백제문화단지· 삽교호놀이동산 · 상록랜드 · 금강하굿둑 놀이공원
경상권 대구광역시 동성로 스파크 · 동촌파크광장놀이공원 · 삼국유사테마파크 · 아르떼 수성랜드 · 이월드 · 수성파크랜드·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경상북도 경주월드 · 금오랜드 ·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 선비세상 · 청도 프로방스 포토랜드 · 한국문화테마파크 · 장수 조이월드 · 영주 선비촌
부산광역시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키자니아 부산
울산광역시 롯데 꿈동산
경상남도 가야랜드 · 경남 마산로봇랜드 · 김해가야테마파크 · 합천 대장경테마파크 · 합천영상테마파크
전라권 전북도 전주드림랜드 · 임실치즈테마파크 · 남원랜드
광주광역시 광주패밀리랜드
전라남도 키즈라라 · 홍길동테마파크 · 월출산기찬랜드 · 여수 유월드 루지테마파크 · 담양 메타프로방스
제주도 신화테마파크 · 제주 민속촌 · 에코랜드 · 루나폴 · 워터월드 제주· 런닝맨 체험관
개장 예정 메이플 아일랜드 ·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 송도 테마파크 · 안동문화관광단지 · 인천로봇랜드 · 화성 국제테마파크(파라마운트 무비파크 코리아한화 애월포레스트
폐장 및 휴장 경인랜드 · 꿈돌이랜드 · 드림랜드(서울 드림랜드) · 롯데월드 언더씨킹덤 · 미월드 · 복돌이 동산 · 부곡하와이랜드 ·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 · 송도유원지 · 수봉놀이동산 · 아인스월드 · 용마랜드 · 진주랜드 · 창경원바이킹 놀이동산 · 하니랜드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 통도환타지아
{{{-2 ※ 문서가 존재하는 테마파크만 기재. 인지도가 높은 테마파크는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 1px; vertical-align: middle" }}} 색상으로 표시.}}} }}}}}}}}}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1. 개요2. 상세3. 논란 및 사건 사고
3.1. 동물원 관리 문제
4. 대중교통
4.1. 버스

1. 개요

공식 웹사이트[1]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로 1003 (용계리) 에 있는 테마공원.

대구숲 남쪽의 스파밸리와 함께 가창면의 랜드마크다. 대구 사람들한테도 인지도가 있어 학교나 유치원에서 현장체험학습으로 많이 놀러오는 곳이다. 입장료가 있는 유료테마공원이다. 입장료는 2021년 1월 기준 9,500원. 2022년 5월 26일 기준 휴업 중이다.

2. 상세

1976년 3월 냉천자연원이라는 이름으로 조성된 뒤 1993년 3월 냉천자연랜드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2002년 8월 애니랜드, 2005년 6월 허브힐즈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5년 힐크레스트로, 2018년 에코테마파크 대구숲으로 명칭을 두차례 더 변경하였다.[2]

면적은 991,735m2다. 피톤치드 광장, 메타세쿼이어길, 홍단풍길, 계곡, 정자, 트리하우스, 도예체험장, 자연학습관, 야외특설무대장, 대구쥬(동물원), 수영장, 단풍광장, 녹차원, 레저&놀이시설과 650m2 면적의 농경사박물관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식음 시설과 편의 시설, 판매 시설 등 부대시설도 갖추고 있다. 다른 테마파크와 달리 1년 내내 개장한다.

한 때 704번의 종점이 이 곳이었다.

3. 논란 및 사건 사고

3.1. 동물원 관리 문제

[바로간다] 병든 낙타 사체를 호랑이 먹이로‥'충격의 동물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물원 낙타 토막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물원 낙타 토막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물원 낙타 토막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대중교통

4.1. 버스



[1] 아래 기술된 논란 이후로 접속이 안 되었지만, 2022년 12월 4일 기준 접속이 된다. 그러나 사건 이후 그 어떤 업데이트도 없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2] 이렇게 이름이 자주 교체되는 것 자체가 제대로 된 경영이 안되어 경영 주체가 자주 바뀐다는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