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30 03:03:43

전구(기독교)

1. 개요2. 상세3. 가톨릭의 입장
3.1. 우리의 간청을 들을 수 있는가?
4. 개신교의 입장5. 기타


영어: intercession[1]
라틴어: intercessio
한자: 轉求

1. 개요

성인들에게 간청하는 교회의 관습은 무엇을 근거로 해서 행해지고 있는가?

성서를 근거로 하는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를 들어 구약에서 다윗이 기도를 하면서 "아브라함이사악과 야곱과 우리 조상들의 하느님 주님이시여"하고 말하듯이 그의 기도를 돕기 위한 성인들의 중보를 요구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정교회주님의 어머니 동정녀 마리아와 그 밖의 모든 성인들을 부르며 중보해 주기를 간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찬예배에서 봉헌 기도 다음에 선조들과 선지자들 사도들 순교자들 등을 언급하면서 우리의 기도를 통하여 그들의 기원을 하느님께서 들어 주시기를 바라는 것이다.
한국정교회대교구 신앙의 신조 제9조[2].
초대 교회시대 그리스도 교인들의 지하묘소, 박해 때에는 피난처로 사용했고, 여기서 전례를 행하였다.

(중략)

카타콤바 벽에는 당시 그리스도 교인들의 신앙을 엿볼 수 있는 많은 벽화들이 남아 있다. 즉 초기 신자들의 종말론적 사상을 표현한 그림들이 많다. 중심적인 주제는 대체로 하느님에 의한 구원, 천국에 대한 희망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들로 구세(救世), 내세의 신앙, 그리스도의 신성(神聖), 세례, 성체, 죽은 이를 위한 전구(轉求),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들을 표현하고 있다.
가톨릭 사전의 카타콤바에 대한 설명 중

기독교 종파 중 가톨릭/정교회에서 성모 마리아를 위시한 여러 성인들이나 천사들을 통해 하느님에게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기도를 뜻한다. 성공회 가운데 고교회(특히 앵글로가톨릭 성향)와 일부 광교회파에서는 대도(代禱)라고도 부르며 전구를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고교회파와 전구를 인정하는 일부 광교회파에서도 가톨릭/정교회에 비해서는 중요시하지 않는 편이다. 주의할 점은, 이 중 어느 교파에서도 '성인들과 천사들이 없으면 기도를 전달할 수 없다'는 뜻으로 전구를 이해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2. 상세

전구의 종류는 희망적 전구속죄적 전구 2가지가 있다. 희망적 전구는 성인들과 천사들에게 우리가 바라는 바를 하느님께 전해달라고 요청하는 기도를 말하고, 속죄적 전구는 연옥에서 속죄하고 있는 영혼들을 위하여 기도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3]

가톨릭에서는 사도신경에 나오는 '모든 성인의 통공'이 생사를 초월해서 존재[4]한다고 보며, 천사들과 죽은 성인들이 현세의 사람들을 위해 기도해줄 수도 있고, 현세의 사람들이 죽은 사람들을 위해 기도해줄 수도 있다고 본다.[5]
그러니 그 여인을 곧 남편에게 돌려보내라. 그 남편은 예언자다. 그가 너를 위하여 기도해 주어야 네가 죽지 않으리라. 만일 그 여인을 돌려보내지 않으면 너는 물론 네 식구들도 다 죽으리라."
창세기 20장 7절
교우 여러분, 마지막으로 부탁합니다. 우리를 위해서 기도해 주십시오. 주님의 말씀이 여러분 가운데 속히 퍼져서 찬양을 받은 것처럼 어디서나 그렇게 되도록 빌어주십시오.
데살로니카2서/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데살로니가후서 3장 1절

구약과 신약 등에서 타인을 위해 기도하는 전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모세도 가시덤불 이야기에서 주님을 가리켜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라고 불렀다. 이것으로 모세는 죽은 자들이 다시 살아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이 말씀은 하느님께서 죽은 자의 하느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자의 하느님이시라는 뜻이다. 하느님 앞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살아 있는 것이다.
루카복음서/루가의복음서/누가복음 20장 38절

복음서에서는 죽은자도 산자와 신 앞에서 모두 살아있음을 말한다. 가톨릭에서는 이 구절을 근거로 삼아 죽은 이에게도 전구기도를 바친다.

3. 가톨릭의 입장

3.1. 우리의 간청을 들을 수 있는가?

인간은 육체가 있으므로 눈이 없다면 볼 수가 없고, 귀가 없다면 들을 수가 없다. 또한 보고 들을 수 있는 범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우리가 지금은 거울에 비추어보듯이 희미하게 보지만 그 때에 가서는 얼굴을 맞대고 볼 것입니다. 지금은 내가 불완전하게 알 뿐이지만 그 때에 가서는 하느님께서 나를 아시듯이 나도 완전하게 알게 될 것입니다.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3장 12절
그러나 위와 같은 바울로 사도의 말을 통해, 우리는 하늘 나라의 생활 양상을 대충이나마 유추해볼 수 있다. 하늘의 성인들에게는 눈이나 귀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며, 하느님 안에서 모든 것을 똑똑히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전능하신 하느님께서 우리와 천상교회 형제들과의 상통 방법을 마련해 주시지 못하실 리 없다고, 가톨릭 신자들은 믿는다.


또한 하늘의 의인들이 지상의 우리 사정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은 성경에 의거하여 짐작할 수 있다.
온갖 어려움에서 나를 건져내 준 하느님의 천사가 이 아이들에게 복을 내려주시기를 빕니다.
창세기 48장 16절
위 구절은 성조 야곱이 임종을 맞아 아들과 손자를 위하여 기도한 내용인데, 선택받은 이스라엘 백성의 조상인 그가 알아듣지 못할 자에게 기도드렸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당신 토비트가 기도할 때와 또 사라가 기도할 때 그 기도를 듣고 영광스런 주님께 그 기도를 전해 드린 것이 바로 였습니다. 그리고 당신이 죽은 사람을 묻어주었을 때에도 내가 그 사실을 하느님께 보고드렸습니다.
토비트 12장 12절
라파엘 천사가 토비트에게 나타나 전한 말이다. 그런데 천사가 토비트의 이런 기도와 공로를 알지 못하였다면, 하느님께 말씀드릴 수 없었을 것이다.


다음은 복음서에 적힌 예수님의 말씀이다.
잘 들어두어라. 이와 같이 죄인 하나가 회개하면 하느님의 천사들이 기뻐할 것이다.
루가의 복음서 15장 10절
예수님께서는 언제든지 사람들이 죄를 뉘우치고 회개할 때에 천사들이 즐거워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천사와 성인들은 우리의 행동과 말만을 알 뿐 아니라, 숨은 내적 동향까지를 밝히 안다는 사실을 주님의 말씀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악한 부자가 지옥에서 극형을 받으면서 아브라함에게 타는 목을 적셔 달라고 간청하자 천국에 있는 아브라함이 그에게 불가능하다고 대답한다(루가 16,23-25). 이와 같이 천국의 의인과 지옥의 악인이 서로 대화가 가능한 상황일진데, 하늘의 성인들과 지상 형제들과의 상통이야 더더욱 쉬울 것이다.

4. 개신교의 입장

그런데도, 사람들은 너희에게 말할 것이다. "속살거리며 중얼거리는 신접한 자와 무당에게 물어 보아라. 어느 백성이든지 자기들의 신들에게 묻는 것은 당연하다. 산 자의 문제에 교훈과 지시를 받으려면, 죽은 자에게 물어 보아야 한다." 이렇게 말하는 자들은 결코 동트는 것을 못 볼 것이다!
이사야 8장 19-20절(개신교 새번역)

반면 개신교[6]에서는 성인 공경과 산 이가 죽은 이를 위해 기도한다는 개념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구에 대해서도 인정하지 않는다. 루터회, 개혁교회, 감리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성인을 공경하고 전구를 청하는 것을 성경과 반대되는 행위로 여기고 배척한다. 성공회는 일반 개신교처럼 종교개혁을 계승한 교단으로서 공적 기도나 예배에서 전구를 하거나 권장하지는 않지만[7], 교회의 전통이자 신심으로서 성인공경을 존중하고 있으며 전구를 믿는 상당수 고교회파 및 앵글로가톨릭 성향의 신자들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성공회 기도서에는 전구와 관련된 몇몇 기도문(성모송 포함)은 실려 있다.

5. 기타

이슬람교의 양대 종파 중 하나인 시아파에도 성인 공경 및 전구와 같은 개념이 있다. 개신교가 성공회를 제외하고는 전구는 물론이고 성인 공경을 인정하지 않듯[8][9] 수니파에서는 성인 공경과 전구를 우상숭배로 여기고 있으며, 이러한 양측의 차이는 수니-시아 간 교리 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다.


[1] 영어의 어원 상 inter는 '사이', cess는 '걷다'라는 뜻이다. 결국 둘 사이를 걸어다닌다는 뜻. 둘 사이를 다니면서 이야기를 전한다는 의미로 확장되어, 조정/중재/전구 등으로 번역된다.[2] 한국정교회대교구 홈페이지가 개편되며 게시판이 삭제되어 링크가 삭제되었음 유사한 내용이 기록된 한국정교회대교구 페이지[3] 단 연옥이라는 개념은 가톨릭에만 있다.[4] 지금 우리가 사는 곳에 있는 지상교회와 천국의 영예를 누리고 있는 천상교회의 신자들이 서로 기도로써 통교할 수 있다고 믿는다.[5] 물론 지옥에 있는 사람을 위해서는 기도해줘도 아무 가망이 없고, 천국에 있는 사람을 위해서 기도한다는 건 불필요하니, 기도의 대상은 결국 연옥 영혼들이다.[6] 성공회 제외. 성공회에서는 사도신경의 '성도의 상통'을 세상을 떠난 성인 및 성도들과 지상의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며, 개개인마다 견해가 조금씩 갈리는 성인들에 대한 전구와는 달리 별세자를 위한 기도만큼은 교회차원에서 권장되어 공식적인 예배에도 포함시킨다. 일례로 성공회 기도서에는 별세자를 위한 연도가 있으며, 감사성찬례 예식문과 성무일과에도 별세자들의 안식을 기원하는 기도가 있어 대한성공회에서는 사실상 거의 매 예배 때마다 별세자들을 위한 기도를 하고 있다.[7] 교단 차원의 공식적인 교리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뿐이지, 개인적 신앙관으로서는 배척하지 않는다.[8] 성인공경 자체는 성공회 공동체 내에서 정도와 강조점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대체적으로는 그 기본이 남아있는 전통이다. 가령 개별 관구 및 성당마다 수호성인을 지정하고 성인들을 교회력으로 기념하는 전통을 일반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영미권의 광교회 성향 성당에서도 성모 마리아나 다른 성인들을 새긴 이콘이나 스테인드글라스를 비치하는 경우가 꽤 있다. 다만 성인들에게 직접적으로 전구를 청하는 경우는 고교회파 성향이라고 해도 흔하지는 않다. 전반적으로는 성모송이나 성모 및 성인 관련 성가를 부를 때를 제외하고는 성인들에게 직접적으로 전구기도를 하기보다 '~와의 상통 속에서' 같은 용어를 통해 우회적으로 성인들의 대도를 청하며 하느님에게 직접적으로 기도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고교회 및 앵글로가톨릭 성향의 성공회에서는 광교회파나 저교회파에 비해 직접 성인들에게 전구하는 경우가 더 많기는 하다.[9] 성공회 사제이자 감리회의 선구자였던 존 웨슬리가 잉글랜드 교회(오늘날 성공회 연합의 전신)에 대해 문제제기했던 것도 개별 성당에서 수호성인을 지정하고 기념하는 성인공경의 전통이었다. 꼭 이 때문만은 아니기는 하지만 웨슬리의 신앙 운동의 추종자들은 이후에 성공회를 완전히 떠나 감리교를 세우기에 이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