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
하스스톤 전장 | |||||||
우두머리 | 덱 종류 | 빌드(마나커브) |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 6단계 | 7단계 | 선술집 주문 |
특별 시스템 | |||||||
다크문 축제 경품 | 전우 | 퀘스트/보상 | |||||
변형물 | 장신구 | 태그 전장 |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 6단계 | 7단계 | 선술집 주문 |
1. 개요
전장의 카드들 중 5단계 하수인들이다.선술집에 배치된 5성 하수인 카드의 복사본은 총 9장이다.
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토큰=, 황금없음=,한글명=혈석, 일러명=혈석, 영문명=Blood Gem,
효과=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느림보 가시목도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느림보 가시목도리, 일러명=느림보 가시목도리_bg10, 영문명=Pokey Thornmantle,
공격력=5, 생명력=6, 공격력2=10, 생명력2=12, 가시멧돼지=,
효과=내 턴이 시작될 때\, 이번 게임에서 내 <b>혈석</b>이 추가로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시작될 때\, 이번 게임에서 내 <b>혈석</b>이 추가로 +2/+2를 부여합니다.,
)]
소환: 포키 물고기 돌려줘라! (Pokey want fish back!)
지속적으로 혈석의 버프량을 강화하는 하수인. 다만 혈석을 가져오거나 다른 하수인에게 혈석을 바르는 효과는 아니므로 내 다른 기물들에게 혈석을 발라주는 하수인과의 연계가 필수다.모든 가시멧돼지 덱은 혈석을 버프하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에 어떤 덱이든 빠르게 뽑으면 뽑을수록 좋다. 후반으로 갔을 때 혈석 버프가 빠르게 불어난다. 이 상태에서 혈석을 바르는 엔진까지 구비하는 데 성공했다면, 특히 그 혈석 엔진까지 턴 종료 시 카드라면 말 그대로 숨만 쉬고 있어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필드를 볼 수 있다.
원래는 6성인 대신 턴 종료 시 효과라 드라카리와의 시너지가 있었으나, 당시 가시멧돼지가 드라카리 하나만 뽑으면 순방 확정일 수준으로 시너지가 너무나도 말도 안 되는 탓에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2.1.1.2. 바느질하는 마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바느질하는 마녀, 일러명=바느질하는 마녀_bg10, 영문명=Needling Crone,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가시멧돼지=,
효과=전투 중에 내 <b>혈석</b>들이 능력치를 2배로 부여합니다.,
효과2=전투 중에 내 <b>혈석</b>들이 능력치를 3배로 부여합니다.,
)]
2.1.1.3. 뾰족털 기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뾰족털 기사, 일러명=뾰족털 기사_bg10, 영문명=Bristleback Knight,
공격력=6, 생명력=9, 공격력2=12, 생명력2=18, 가시멧돼지=,
효과=<b>질풍</b>\, <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은 매 전투에서 처음으로 피해를 받고 생존한 후에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효과2=<b>질풍</b>\, <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은 매 전투에서 처음 2번의 피해를 받고 생존한 후에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
소환: 협상도 없고, 포로도 없다!(No negotiations, no prisoners!)
피해를 받고 생존하면 천상의 보호막을 리필할 수 있는 하수인. 천상의 기계멀록을 제외하면 현 전장에서 자체적으로 천보리필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하수인이다. 기본 스탯이 5/8이라 잘 키우면 파지직거리는 회오리보다 안정적으로 4:1 교환까지 노릴 수 있지만, 등장 타이밍이 늦어서 제대로 활약하기 위해서는 강령사로 혈석 버프를 옮겨오는 것이 좋다.주된 사용처는 가시멧돼지 덱과 혼합 덱. 하지만 순수 가멧 덱의 경우에는 이 하수인의 효과를 보고 쓰기보단, 순수 멧돼지덱에서 차를가, 장로등으로 얻은 혈석을 강령사로 옮겨담는 용도로 쓴다. 이는 가멧이라서 쓰기보단 기물 자체의 포텐셜을 보고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으로, 그렇기에 혼합덱에선 히드라와 수박서버 다음으로 가는 후보로, 그리고 야수와 기계가 밴이 되었을 때엔 이 하수인을 1순위로 채용하고자 한다.
그 외에도 주력 전략은 아니지만 기름로봇을 활용한 천보 덱에서도 버프를 발라 쓰기 좋다.
원래는 가시멧돼지 추가 당시 정규 키워드였던 광폭 키워드를 달고 있었으나, 황금 카드의 효과가 2번 발동하게 상향하는 과정에서 키워드를 삭제하고 말로 풀어썼다.
2.1.1.4. 아기 가멧 삼형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아기 가멧 삼형제, 일러명=아기 가멧 삼형제_bg10, 영문명=Three Lil' Quilboar,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가시멧돼지=,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가시멧돼지에게 <b>혈석</b>을 셋 냅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가시멧돼지에게 <b>혈석</b>을 여섯 냅니다.,
)]
내 가시멧돼지에게 혈석 3장을 뿌리는 죽음의 메아리 기물로, 비록 일시적이긴 하지만 혈석 버프를 꾸준히 누적해놓았다면 한 장으로 모든 가멧에게 두 자릿수 스텟을 뿌려주는 막강한 가성비를 자랑한다. 전투 중 혈석을 뿌리는 가멧 덱에서는 핵심 카드 중 하나이며, 무슨 가멧 덱을 굴리든 결국 혈석 버프는 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가멧 덱에서도 임시로 쓰기엔 나쁘지 않다.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충전 중인 황후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충전 중인 황후, 일러명=충전 중인 황후_bg10, 영문명=Charging Czarina,
공격력=6, 생명력=3, 공격력2=12, 생명력2=6, 기계=,
효과=<b>천상의 보호막</b> 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내 <b>천상의 보호막</b>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3 부여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내 <b>천상의 보호막</b>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6 부여합니다.,
)]
소환: 실망스럽기 그지 없군. (I am deeply unimpressed.)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천보 하수인들에게 광역 버프를 거는 하수인으로, 기계 덱의 후반 핵심 엔진 중 하나이다. 값싼 선술집 주문을 있는대로 긁어모으면 두 자릿수 버프를 매 턴마다 넣으며 천보 날리는 기물 없이는 말도 안 되는 교환비를 성립하게 만든다.2.2.1.2. 홀로그램 방랑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홀로그램 방랑자, 일러명=홀로그램 방랑자_bg10, 영문명=Holo Rover,
공격력=4, 생명력=8, 공격력2=8, 생명력2=16, 기계=,
효과=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무작위 <b>합체</b> 기계를 얻습니다.,
효과2=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무작위 <b>합체</b> 기계를 둘 얻습니다.,
)]
소환: 꿈 꾸는 건 자유죠. (Nothing wrong with dreaming big.)
2.2.2. 태그 전장 전용
2.2.2.1. 지원 시스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태그=,한글명=지원 시스템, 일러명=지원 시스템_bg10, 영문명=Support System,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기계=,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원의 전장에 있는 하수인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원의 전장에 있는 하수인 둘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
소환: 정서적 지원. (Emotional support included.)
말 그대로 우리 팀원을 지원해주는 용도로 매우 적합하다.나는 망했지만 팀원이 흥했고, 팀원의 덱은 깡스텟은 좋지만 천보를 수급하기 어려운 가시멧돼지, 악마 등의 덱이라면 채용 가치가 매우 높아진다. 턴 끝날 때 효과이므로 드라카리도 있으면 금상첨화. 다만 단계가 높다보니 망한 팀원이 직접 구매하기보다는, 지원을 받아 먼저 고레벨을 선점한 유저가 천보 셔틀 좀 해달라고(...) 파트너에게 넘기는 경우가 더 많다.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발광비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발광비늘, 일러명=발광비늘_bg10, 영문명=Glowscale,
공격력=4, 생명력=6, 공격력2=8, 생명력2=12, 나가=,
효과=<b>도발</b>\, <b>주문제작:</b>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효과2=<b>도발</b>\, <b>주문제작:</b>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
소환: 나에게 어울리는 왕관이다! (A crown fit for me!)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주문제작=, 토큰=,
한글명=빛나는 왕관, 일러명=Glowing Crown-bg2, 영문명=Glowing Crown,
효과=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효과2=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
일회용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하는 기물. 내가 원하는 하수인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걸고 전투에 돌입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5단계라 기물 확보가 쉽지 않고 발광비늘이 황금이 되어도 효과가 달라지는 게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순수 나가 덱에서는 용암 잠복꾼에게 영구 천상의 보호막을 걸거나, 공격력과 질풍을 몰빵받은 기물에게 천상의 보호막까지 씌워서 엄청난 교환비를 이끌어낼 수 있다.
순수 나가 덱이 아니더라도 용병으로 채용하기 매우 탁월한 하수인이다. 원하는 하수인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발라줄 수 있다는 점이 매우 매력적이며, 본인도 소소한 도발 벽으로 쓸 수 있는데다 그냥 한 번 내고 바로 팔아도 천상의 보호막 하나는 확보되므로 최후반 싸움에서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 혼합 덱과의 효율도 좋고, 필드가 남아도는 악마가 채용해도 괜찮다.
버프명은 빛나는 왕관[1]이다.
2.3.1.2. 수면 마술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수면 마술사, 일러명=수면 마술사_bg10, 영문명=Slumber Sorcerer,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나가=,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변화하는 물결을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변화하는 물결을 둘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4,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변화하는 물결, 일러명=변화하는 물결_bg10, 영문명=Shifting Tide,
비용=2,
효과=하수인에게 +3/+3을 부여합니다. 그 하수인이 나가면 +3/+3을 더 부여합니다.,
)]
2.3.1.3. 허세 라이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허세 라이더, 일러명=허세 라이더_bg10, 영문명=Showy Cyclist,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나가=,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나가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i>,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나가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i>,
)]
소환: 내가 직접 개조한 바이크다! (I customized this myself!)
2.3.2. 태그 전장 전용
2.3.2.1. 폭풍 절단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태그=,한글명=폭풍 절단자, 일러명=폭풍 전달자_bg10, 영문명=Storm Splitter,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나가=,
효과=한 턴에 한 번\, 내가 선술집 주문을 <b>전달</b>한 후에\, 그 주문을 복사하여 얻습니다.,
효과2=한 턴에 한 번\, 내가 선술집 주문을 <b>전달</b>한 후에\, 그 주문을 둘 복사하여 얻습니다.,
)]
선술집 주문을 전달할 때마다 복사해서 얻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선술집 주문을 전달한 뒤 복사본을 쟁여놓고, 다음 턴에 또 전달해서 복사하고 하는 식으로 매 턴마다 내 패의 선술집 주문 하나를 파트너에게 줄 수 있다. 그게 석유 발견 같이 극한의 이득을 주는 주문이면 이 카드 하나로 파트너가 얻는 이득은 정말 막대하다. 페어를 잡거나 황금으로 만들었다면 복사본이 2장 생기므로 1장은 나도 쓸 수 있으니 쌍으로 이득이 되기도 한다.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오페라 열창멀록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오페라 열창멀록, 일러명=오페라_열창멀록, 영문명=Operatic Belcher,
공격력=5, 생명력=2, 공격력2=10, 생명력2=4, 멀록=,
효과=<b>독소</b>\, <b>죽음의 메아리:</b> 아군 멀록에게 <b>독소</b>를 부여합니다.,
효과2=<b>독소</b>\, <b>죽음의 메아리:</b> 아군 멀록 둘에게 <b>독소</b>를 부여합니다.,
)]
천보가 없는 하수인 하나를 즉사시키며 동시에 아군 멀록에게 독소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은 매력적인 요소이며, 굳이 멀록 덱이 아니더라도 독소 특성상 필요할 때에 급하게 집어서 쓰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종족을 쓰고 있거나 아무 멀록이나 같이 집으면 이거 하나로 독소 2개의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성비가 좋다.
여담으로 오페라 열창이라는 이름처럼 이 녀석을 내면 노래하듯 아옳옳옳거린다.
2.4.1.2. 원시지느러미 망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원시지느러미 망꾼, 일러명=원시지느러미_망꾼, 영문명=Primalfin Lookout,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전장에 다른 멀록이 있으면\, 멀록을 <b>발견</b>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전장에 다른 멀록이 있으면\, 멀록을 둘 <b>발견</b>합니다.,
)]
멀록 덱의 핵심 기물. 플레이어의 현재 선술집 단계 이하의 멀록을 발견한다. 브란과 함께 사용할 경우 멀록 2개를 가져오므로 사실상 0골드 멀록 2개 발견이며, 가져온 멀록도 전투의 함성 하수인일 가능성이 높아서 실질적인 효율은 이것보다 훨씬 높다. 단순하게 버프용 멀록을 찾아 필드를 강화하는 용도, 독성지느러미를 찾아 독성 날먹을 시도하는 용도, 멀록 페어를 푸는 용도, 옳챙이를 골라 아예 추가 골드 이득까지 노려보는 용도 등등 온갖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원래 효과만 보고 곧바로 팔아 상점에 다시 풀어놓는 편이 이득이었지만, 젊은 거먹눈 멀록이 추가된 뒤엔 거먹눈 멀록과 함께 필드에 남겨 턴이 끝날 때마다 계속 멀록을 수급하는 방향으로 활용법이 바뀌었다. 브란이 있을 경우 무작위 멀록 2장이, 황금 망꾼을 맞출 경우 무작위 멀록 4장이, 만약 브란까지 황금이면 무작위 멀록 6장이 손으로 들어온다. 가져오는 멀록이 무작위긴 하지만, 어차피 골드 이득이 되니 손해는 없다. 만약 무작위 전투의 함성 하수인의 효과를 턴이 끝날 때 발동시키는 퀘스트를 얻으면 멀록 덱의 스탯과 골드는 하늘을 뚫는다. 그래서 예전엔 상점 운에 따라 나오면 좋고 정도였던 황금 망꾼에 대한 수요도 급증했다.
황금 망꾼을 사용하면 발견 선택지가 황금 카드로 나오는데, 색만 황금이지 선택하면 그냥 일반 카드가 된다. 전장에서는 본인의 능력으로 본인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망꾼의 선택지로 망꾼이 나오는 경우는 없고, 망꾼으로 옳챙이를 찾아 옳챙이가 다시 망꾼을 얻고 다시 옳챙이를 발견하는 식의 루프는 가능하다.
2.4.1.3. 해커지느러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해커지느러미, 일러명=해커지느러미_bg10, 영문명=Hackerfin,
공격력=6, 생명력=3, 공격력2=12, 생명력2=6,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하수인들이 가진 <b>보너스 키워드</b>의 수만큼 그 하수인들에게 +3/+3을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하수인들이 가진 <b>보너스 키워드</b>의 수만큼 그 하수인들에게 +6/+6을 부여합니다.,
)]
광역 버퍼지만 보너스 키워드인 도발 / 질풍 / 환생 / 은신 / 천상의 보호막 / 독소를 갖고 있다면 멀록이 아니어도 버프를 줄 수 있다. 멀록 덱에서도 자체적으로 보너스 키워드가 많고, 혼합 덱에서도 융합체류 하수인은 보통 합체를 위시해 천보 / 도발 / 환생 / 질풍을 붙일 수 있는 경우가 많아 꽤 높은 버프를 기대할 수 있다.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늦은 여행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늦은 여행자, 일러명=늦은 여행자_bg10, 영문명=Tardy Traveler,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악마=,
효과=내가 이 하수인을 팔면\, 선술집에 있는 선술집 주문을 복사하여 얻습니다.,
효과2=내가 이 하수인을 팔면\, 선술집에 있는 선술집 주문을 둘 복사하여 얻습니다.,
)]
소환: 침착하게, 다 계획대로인 척 해. (Hold tight and pretend it's a plan.)
2.5.1.2. 박쥐 같은 공포수호병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박쥐 같은 공포수호병, 일러명=박쥐 같은 공포수호병_bg10, 영문명=Batty Terrorguard,
공격력=6, 생명력=2, 공격력2=12, 생명력2=4, 악마=,
효과=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한 후에\, 다른 아군 악마가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고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얻습니다.,
효과2=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한 후에\, 다른 아군 악마가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고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2배로 얻습니다.,
)]
선술집 주문 베이스의 빅 악마 덱의 핵심 기물. 자체적으로는 제값 써야 하수인 하나씩 찔끔찔끔 먹여주는 지옥박쥐만도 못한 기물이지만, 내가 선술집 주문을 쓸 때마다 이 턴 선술집에 버프를 주는 4성 하수인 '감시자'와 연계한 뒤 브란 + 로데오나 아키몬드 같은 엔진으로 공짜 선술집 주문을 대량으로 양산해 사용한다면 악마를 무럭무럭 키워줄 수 있다.
2.5.1.3. 어둠춤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어둠춤꾼, 일러명=어둠춤꾼_bg10, 영문명=Shadowdancer,
공격력=5, 생명력=2, 공격력2=10, 생명력2=4, 악마=,
효과=<b>죽음의 메아리:</b> 풍요의 지팡이를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풍요의 지팡이를 둘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3,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풍요의 지팡이, 일러명=풍요의_지팡이, 영문명=Staff of Enrichment,
비용=1,
효과=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이 +1/+1을 얻습니다.,
)]
2.5.2. 태그 전장 전용
2.5.2.1. 만아리 전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태그=,한글명=만아리 전령, 일러명=만아리 전령_bg10, 영문명=Man'ari Messenger,
공격력=9, 생명력=6, 공격력2=18, 생명력2=12, 악마=,
효과=<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내 팀의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이 +1/+1을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내 팀의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이 +2/+2를 얻습니다.,
)]
소환: 편지 왔어. (You got mail.)
악마의 상점 잡아먹기 메커니즘 보조는 물론, 팀까지 버프를 주기 때문에 아군의 강화에도 좋다. 메탈헤드를 통해 여러 번 발동시키면 내 악마를 강화하면서 팀원의 상점도 강화시켜줄 수 있다. 다만 아무리 아군도 효과를 받는다 해도 상승량이 너무 적고 단계도 지나치게 높아져 전함 시너지 연계 등을 활용하지 않는 이 카드 단독만으로는 5성급이라기엔 효과가 저열해져서 상당히 애매해졌다.
원래는 4성 7/4에 버프량도 +2/+1이라는 흉악하기 그지 없는 기물이었으나 2차례의 너프로 지금과 같이 변경되었다.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룬새김 창시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룬새김 창시자, 일러명=룬새김 창시자_bg10, 영문명=Runed Progenitor,
공격력=2, 생명력=8, 공격력2=4, 생명력2=16, 야수=,
효과=<b>복수 (3):</b>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2/+2를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2/2 딱정벌레를 소환합니다.,
효과2=<b>복수 (3):</b>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4/+4를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2/2 딱정벌레를 둘 소환합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한글명=딱정벌레, 일러명=딱정벌레-bg, 영문명=Beetle,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야수=,
효과=-,
효과2=-,
)]
복수로 딱정벌레를 강화하고, 죽음의 메아리로 딱정벌레를 소환한다. 모든 딱정벌레 카드는 토큰 하수인을 겸하기 때문에 복수로 딱정벌레를 불리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자신도 딱정벌레를 소환하므로 낭비도 없다. 이른 타이밍에 황금 등으로 발견했다면 딱정벌레 토큰 카드들과 연계해서 강력하게 게임을 풀어갈 수 있다.
다만 5성 단계에서 복수 키워드는 브란, 리븐데어 등의 엔진의 도움을 받을 수 없고, 애매하게 딱정벌레가 많이 큰 상태라면 복수 스택을 쌓아줘야 할 딱정벌레가 안 죽어서 복수가 안 쌓이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므로, 골드린 야수 등으로 선회하거나 앵무 + 거미, 또는 메탈헤드 + 방랑자가 주력으로 사용되고 이 카드는 빠지게 된다.
2.6.1.2. 실리시드 잠복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실리시드 잠복꾼, 일러명=실리시드 잠복꾼_bg10, 영문명=Silithid Burrower,
공격력=5, 생명력=1, 공격력2=10, 생명력2=2,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야수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b>복수 (3):</b> 이 하수인을 영구히 +1/+1 강화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야수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b>복수 (3):</b> 이 하수인을 영구히 +2/+2 강화합니다.,
)]
2.6.2. 태그 전장 전용
2.6.2.1. 왕큰엘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태그=,한글명=왕큰엘크, 일러명=왕큰엘크_bg10, 영문명=Magnanimoose,
공격력=5, 생명력=2, 공격력2=10, 생명력2=4,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원의 전장에 있는 하수인을 복사하여 소환합니다. 그 하수인의 생명력을 1로 만듭니다. <i>(왕큰엘크 제외)</i>,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원의 전장에 있는 하수인을 둘 복사하여 소환합니다. 그 하수인의 생명력을 1로 만듭니다. <i>(왕큰엘크 제외)</i>,
)]
각 팀원의 하수인은 한 전투에서 1번밖에 소환할 수 없다. 즉 내 팀원의 기물 7마리를 다 소환한 전투에서는 이후에 왕큰엘크의 죽음의 메아리는 아무 효과도 없다.
비록 체력이 1이 될지언정 공격력과 키워드, 죽음의 메아리는 그대로 가져오기 때문에 아군에게 성장을 몰아준 상태라면 하수인 교환을 조금이라도 더 하기 위해 써볼만하다. 만약 운이 좋아 나와 파트너가 기계, 야수처럼 죽음의 메아리 시너지가 있으며 똑같은 덱을 갈 경우에는 필드를 혼자서 8~9칸 쓰는 개사기 기물로 돌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문명은 '도량이 넓다'는 의미의 단어인 Magnanimous와 사슴(moose)의 말장난이다. 번역명은 엘크와 최대한 발음을 비슷하게 맞추는 쪽으로 의역했다.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껍질 속의 위습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껍질 속의 위습, 일러명=껍질 속의 위습_bg10, 영문명=Wisp in the Shell,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언데드=,
효과=<b>전투의 함성:</b>아군 하수인에게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i>(지난 전투에서 죽은 아군 하수인 수만큼 강화됩니다!)</i>,
효과2=<b>전투의 함성:</b>아군 하수인에게 생명력을 +4 부여합니다. <i>(지난 전투에서 죽은 아군 하수인 수만큼 강화됩니다!)</i>,
)]
지난 전투에서 죽은 아군 하수인의 수만큼 생명력 2를 부여하는 버퍼. 종족만 언데드이지 무슨 하수인이 죽든, 어떤 하수인에게 버프를 부여하든 아무런 상관이 없기 때문에, 혼합 덱에서도 범용 버퍼 중 하나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토큰 덱에서 리븐데어의 체력을 왕창 불려서 죽지 않게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하다.
2.7.1.2. 미궁 분쇄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미궁 분쇄자, 일러명=미궁 분쇄자_bg10, 영문명=Catacomb Crasher,
공격력=5, 생명력=10, 공격력2=10, 생명력2=20, 언데드=,
효과=내가 전장에 하수인을 소환하지 못할 때마다 내 하수인들에게 영구히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전장에 하수인을 소환하지 못할 때마다 내 하수인들에게 영구히 +2/+2를 부여합니다.,
)]
소환: 침입자! (Trespassers!)
내 전장에 하수인이 소환되어야 하는데 자리가 없어서 소환이 되지 못 할 시 영구적으로 +1/+1을 부여한다.
오버플로우 언데드 덱의 최중요 기물로, 기존에는 죽음의 메아리로 토큰을 내뱉는 기물들은 자리가 남지 않으면 손해가 되기 때문에 제대로 사용할 수 없었던 반면, 이 기물의 등장으로 자리를 넘치게 차지하는 토큰들은 오히려 그 수만큼 내 필드에 +1/+1 이상의 영구버프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핵심 기물로 돌변했다. 중립 하수인들에게도 능력치 상승 부여가 가능하며 꼭 죽음의 메아리가 아니더라도 영웅 능력, 장신구, 선술집 주문으로도 이득을 볼 수 있다.
죽음의 메아리를 주력으로 하는 덱이라면 대체로 어울리지만 주로 많이 쓰이는 종족은 언데드, 특히 죽음의 메아리로 하수인을 다량 소환하는 송장 관리인과의 시너지가 뛰어나며, 리븐데어와 미궁 분쇄자를 여러 장 늘어놓으면 미궁 분쇄자의 효과도 늘어나고 리븐데어도 버프를 받기 때문에 모든 필드를 전투요원으로 꽉 채워버려서 리븐데어로 상대를 패죽이는 플레잉이 가능하다. 죽음의 메아리로 하수인을 소환하게 만들 수 있는 스니드가 이른 타이밍에 이 카드를 확보할 경우에는 남들보다도 우월한 흉악한 수준의 성장률을 갖는다. 작정하고 버프 누적시킨 야수 언데드 스니드의 예시
2.7.1.3. 죽음의 집사 모로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죽음의 집사 모로스, 일러명=죽음의 집사 모로스_bg10, 영문명=Moroes\, Steward of Death,
공격력=5, 생명력=3, 공격력2=10, 생명력2=6, 언데드=,
효과=<b>환생</b>\, <b>죽음의 메아리:</b> 내 언데드들에게 +3/+5를 부여합니다.,
효과2=<b>환생</b>\, <b>죽음의 메아리:</b> 내 언데드들에게 +6/+10를 부여합니다.,
)]
소환: 여러분께 특별한 시간을 선사해드리죠. (Let's show our guests a good time.)
언데드의 핵심 기물 중 하나. 언데드 기물 대다수가 토큰을 쏟아내거나 공격력만을 부여하는데 반해 죽음의 집사 모로스는 내 전장의 언데드들에게 생명력도 부여한다. 티투스 리븐데어로 죽음의 메아리를 극대화 시키는 것도 좋다. 무엇보다 가장 궁합이 좋은 기물은 6단계 하수인인 고위 리치 켈투자드와의 조합으로 영구 버프 + 모로스 황카작을 하는 것이다.
여담이지만 이 카드는 죽어서 언데드가 된 모로스인데 막상 대사는 생전 모로스의 대사를 사용한지라 위화감이 상당히 심하다.
2.7.1.4. 타락드러스트 도살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타락드러스트 도살자, 일러명=타락드러스트 도살자_bg10, 영문명=Drustfallen Butcher,
공격력=2, 생명력=8, 공격력2=4, 생명력2=16, 언데드=,
효과=<b>복수 (5):</b> 도살을 얻습니다.,
효과2=<b>복수 (5):</b> 도살을 둘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5,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도살, 일러명=도살_bg, 영문명=Butchering,
비용=2,
효과=아군 언데드를 처치합니다. 이번 게임 동안 내 언데드들이 그 언데드의 단계만큼 공격력을 얻습니다.,
)]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기운찬 변덕비룡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기운찬 변덕비룡, 일러명=기운찬 변덕비룡_bg10, 영문명=Spirited Whimsydrake,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용족=,
효과=<b>전투의 함성:</b> 무작위 용족을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무작위 용족을 둘 얻습니다.,
)]
2.8.1.2. 청동 급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청동 급사, 일러명=청동 급사_bg10, 영문명=Bronze Steward,
공격력=7, 생명력=3, 공격력2=14, 생명력2=6, 용족=,
효과=<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내 다른 용족들에게 공격력을 +7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내 다른 용족들에게 공격력을 +14 부여합니다.,
)]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서리연마사 로크홀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서리연마사 로크홀라, 일러명=서리연마사 로크홀라_bg10, 영문명=Lokholar\, Frostforger,
공격력=7, 생명력=5, 공격력2=14, 생명력2=10, 정령=,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다른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다른 하수인들에게 +2/+2를 두 번 부여합니다.,
)]
2.9.1.2. 춤추는 공연폭풍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춤추는 공연폭풍, 일러명=춤추는_공연폭풍, 영문명=Dancing Barnstormer,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정령=,
효과=<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정령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정령들에게 +2/+2를 두 번 부여합니다.,
)]
소환: 춤 춰봐라! (Get down!)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쌍수 무기 해적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쌍수 무기 해적, 일러명=쌍수 무기 해적_bg10, 영문명=Dual-Wield Corsair,
공격력=3, 생명력=5, 공격력2=6, 생명력2=10, 해적=,
효과=내가 5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아군 해적 둘에게 +4/+4를 부여합니다. <i>(5골드 남음!)</i>,
효과2=내가 5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아군 해적 둘에게 +8/+8를 부여합니다. <i>(5골드 남음!)</i>,
)]
소환: 선장님의 복수를 하겠습니다! (I'll avenge you, captain!)
APM 해적 덱의 또 다른 성장 요원으로, 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해적 둘에게 버프를 부여한다. 대상이 되는 버프 해적에는 자기자신도 포함된다.다만 필드에 해적이 꽉 차 있을 경우 버프가 튀는 경우가 많아지고, 특히 공격력 버프의 횟수가 중요한 우주 항해사를 키울 경우에는 화약 급사의 광역 버프 쪽이 아무래도 더 신뢰도가 높다. 물론 5골드마다 +8/+8의 버프가 나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주 항해사를 키우지 않거나 화약 급사를 원하는 만큼 확보하지 못했다면 이쪽도 충분히 좋다. 융합체에 확정적으로 버프를 넣을 수 있는 혼합 덱에서도 고려할만하다.
2.10.1.2. 정예 길잡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정예 길잡이, 일러명=정예 길잡이_bg10, 영문명=Elite Navigator,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해적=,
효과=<b>전투의 함성:</b> 4단계 이하의 아군 해적을 황금 해적으로 만듭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4단계 이하의 아군 해적 둘을 황금 해적으로 만듭니다.,
)]
2.10.1.3. 주문결속 뱃사람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주문결속 뱃사람, 일러명=주문결속 뱃사람_bg10, 영문명=Spellbound Seafarer,
공격력=3, 생명력=5, 공격력2=6, 생명력2=10, 해적=,
효과=내가 카드를 셋 산 후에\,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얻습니다. <i>(3 남음!)</i>,
효과2=내가 카드를 셋 산 후에\,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둘 얻습니다. <i>(3 남음!)</i>,
)]
소환: 바다 깊은 곳으로! (To the bottom of the sea!)
카드를 3장 살 때마다 무작위 주문을 얹어주는 주문 수급 하수인이다. 테시스와 유사한 카드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골드를 소모해도 좋은 테시스와 달리 무조건 뭔가를 사야만 주문을 얹어주고, 주문은 시너지 없이는 은근 꽝이 많다는 것도 난점. 해적 덱에서 보너스 엔진으로 소소하게 쓰거나, 선술집 주문을 필요로 하는 기계나 정령 등의 덱이 보조 엔진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2.11. 이중 종족
2.11.1. 용족/나가
2.11.1.1. 불꽃비늘 비축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이중종족=,한글명=불꽃비늘 비축가, 일러명=불꽃비늘 비축가_bg10, 영문명=Firescale Hoarder,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용족=, 나가2=,
효과=<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반짝이는 반지를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반짝이는 반지를 둘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2, 황금없음=, 선술집=,
한글명=반짝이는 반지, 일러명=반짝이는_반지, 영문명=Shiny Ring,
비용=2,
효과=내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2.11.2. 용족/악마
2.11.2.1. 지옥불 창조술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이중종족=,한글명=지옥불 창조술사, 일러명=지옥불 창조술사_bg10, 영문명=Felfire Conjurer,
공격력=7, 생명력=6, 공격력2=14, 생명력2=12, 용족=, 악마2=,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1/+1을 추가로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2/+2를 추가로 부여합니다.,
)]
2.11.3. 야수/언데드
2.11.3.1. 죄악질주마 블랑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이중종족=,한글명=죄악질주마 블랑쉬, 일러명=죄악질주마 블랑쉬_bg10, 영문명=Sinrunner Blanchy,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야수=, 언데드2=,
효과=<b>환생</b>\, 최대 생명력과 강화 효과를 모두 회복한 상태로 <b>환생</b>합니다.,
효과2=<b>환생</b>\, 최대 생명력과 강화 효과를 모두 회복한 상태로 <b>환생</b>합니다.,
)]
환생할 경우 1의 체력으로 부활하는 다른 기물과 달리 생명력을 모두 회복하며, 죽기 직전에 받았던 모든 강화 효과를 유지한다. 상점 단계에서 주었던 영구적 버프든, 전투 단계에서만 받았던 일시적 버프든 가리지 않는다. 도발, 천상의 보호막, 질풍과 같은 키워드도 유지하며, 폴짝개구리의 버프 전달과 같은 강화 효과까지도 온전히 갖는다. 이런 장점 덕분에 전투 내 버프가 많은 야수와 언데드 양쪽으로 어울리는 기물. 혼합덱에선 2회 부활이라는 점 덕에 상황에 따라 수박서버, 히드라와 동격으로 우대된다. 나가가 살아있을 경우 천보를 걸어 독성 공격을 '4회'나 방어하는 전후무후한 탱킹이 가능해지고, 뭣보다 이중종족이기에 두 마리를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시 직후 기선 제압 효과에 의해 블랑쉬가 사망하고[2] 영혼분리자의 효과로 환생을 부여받을 경우 환생 효과도 강화 효과로 취급되어 무한 환생을 하는 사태가 터졌다. 그리고 죽었을 때 블랑쉬가 환생되어 소환될 자리가 없다면 8자리가 되는 버그도 있다. 이후 25.2.1 패치에서 환생 부여는 회복하지 않도록 핫픽스되었고, 25.6 패치로 자리가 8자리가 되는 버그도 수정되었다.
25.2.2 패치에서 스탯이 3/3으로 감소하였다.
26.2 패치에서 죽음의 메아리로 인접한 하수인의 전투의 함성을 발동하는 라일라크 메탈헤드가 출시되면서 되살리는 방울뱀을 조합한 무한 환생 사태가 재차 발생하여 결국 블랑쉬가 임시밴 되었다. 이후 26.2.1 패치에서 문제가 해결되어 전장에 복귀하였다.
2.11.4. 정령/기계
2.11.4.1. 기술적 요소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이중종족=,한글명=기술적 요소, 일러명=기술적 요소_bg10, 영문명=Technical Element,
공격력=10, 생명력=10, 공격력2=20, 생명력2=20, 정령=, 기계2=,
효과=<b>합체</b>\, 기계와 정령 모두에게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합체</b>\, 기계와 정령 모두에게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상점의 하수인을 버프할 수 있는 정령의 특성과 결합되어, 정령에게 합체할 수 있는 정령이라는 점에서 상점의 스텟을 필드로 직결시키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일러스트는 탄산 정령의 리터칭이다.
2.12. 중립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구원자 날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구원자 날라, 일러명=구원자 날라_bg10, 영문명=Nalaa the Redeemer,
공격력=5, 생명력=6, 공격력2=10, 생명력2=12,
효과=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모든 아군 종족에게 각각 +2/+1을 부여합니다. (종족마다 하나씩),
효과2=내가 선술집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모든 아군 종족에게 각각 +4/+2를 부여합니다. (종족마다 하나씩),
)]
소환: 빛마저도 이곳을 떠났다. (The Light has left this place.)
사망: 안 돼.... (No....)
사망: 안 돼.... (No....)
혼합 덱을 지원하는 기물이다. 매 턴마다 선술집 주문을 발견하는 앙심의 실리바즈와 선술집을 새로고침한 후에 선술집 주문을 항상 추가하는 육지 느림보와의 콤보가 좋다.
갈라크론드의 영웅 능력이나 침착한 정찰병의 발견으로 어쩌다 이 하수인을 초반에 발견하면 트럭을 모는 것도 가능한데 선술집 주문 1-2단계에는 성급한 발굴, 석유 발견, 선술집 동전, 신중한 투자 등 골드를 불리고 선술집 사이클을 돌아가게 만드는 주문이 많기 때문.
2.12.1.2. 드라카리 마법부여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드라카리 마법부여사, 일러명=드라카리_마법부여사, 영문명=Drakkari Enchanter,
공격력=1, 생명력=5, 공격력2=2, 생명력2=10,
효과=턴이 끝날 때 발동하는 내 효과가 2번 발동합니다.,
효과2=턴이 끝날 때 발동하는 내 효과가 3번 발동합니다.,
)]
소환: 제 부두술을 보여드릴까요? (Wanna see the voodoo I do?)
얼어붙은 왕자의 기사들 확장팩에서 나온 하수인이 전장에 수입되었다. 대전 모드에서는 존재감이 큰 편은 아니었지만, 전장에서는 턴이 끝날 때 발동하는 효과가 2번 발동된다는 특이한 능력을 지녀 여러 덱에 용병으로 기용되고 있다.'n턴이 끝날 때마다' 라는 효과에도 적용된다. 다만 턴 카운트를 빠르게 가속하는 효과는 없고, 그냥 그 턴에 받는 보상만 2배로 늘어난다.
턴이 끝날 때 발동하는 효과에는 모두 적용되기 때문에, 영웅 능력이나 퀘스트 보상 효과도 턴이 끝날 때 발동하면 2회 / 3회씩 발동한다. 특히 3턴마다 턴 종료 시 내 패 가장 왼쪽의 카드를 복사하는 록의 대장군 분의 영능과의 시너지는 발군으로, 손에 있는 카드가 즉시 황금이 된다. 빠른 5발로 드라카리를 확보하면 말도 안 되는 개사기를 칠 수 있다.
브란이나 리븐데어와 마찬가지로 시너지가 나는 덱과 시너지가 나지 않는 덱이 크게 갈리며, 시너지가 나는 종족의 밴이 많을 수록 가치가 떨어진다. 아예 덱 내부에 해당 시너지가 없을 경우 설명을 생략하고 취소선을 긋는다. 오히려 상술했듯이 종족 자체의 시너지가 있는 경우보다는 영웅 능력, 변형물, 장신구 등과의 시너지가 강력한 경우가 훨씬 많다.
- 가시멧돼지 덱: 덱의 핵심 기물 1. 후반 핵심 기물인 차를가를 비롯해 턴이 끝날 때 혈석을 내는 하수인들이 많으므로 시너지가 상당히 높다. 혈석 강화 스택을 잘 쌓았다면 보조 기물 주제에 100대의 스탯을 가진 드라카리를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혈석 밀수꾼 + 젊은 거먹눈 멀록으로 간접적으로 턴 종료 시너지를 볼 수도 있다.
- 기계 덱: 덱의 핵심 기물 2로, 정확히는 달빛강철 덱의 핵심 카드이다. 자세한 건 달빛강철 기계전차 문단 참조.
나가 덱- 멀록 덱: 젊은 거먹눈 멀록 - 원시지느러미 망꾼과의 시너지가 정신나간 버프량을 자랑하기에 최종 파츠의 한 축을 담당한다. 다만 효율은 멀록을 사고 파는 도중에도 전함이 뻥튀기 되는 브란이 더 낫다는 게 문제. 그래도 턴 종료 시마다 멀록을 얻는 아가미어미와의 시너지로 중반을 버티다 가는 것은 좋다.
야수 덱- 악마 덱: 착한 아이 행세꾼이나 굶주린 지옥박쥐와의 시너지를 볼 경우에 쓰일 수는 있지만 어지간하면 드라카리를 쓰면 상점의 자리가 모자라다는 것이 문제. 범용적으로 쓰이지는 않지만 행세꾼 페어만 소수 운용하거나 지옥박쥐로 악마 셋 정도에게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할 경우, 또는 장신구나 퀘스트 등의 시스템으로 '선술집의 기물이 무조건 7자리 찬다' 같은 효과를 누리는 경우에는 소수 정예 악마들을 빡세게 키우는 데 쓸 수는 있다.
- 용족 덱: 점액 들이키기가 공격력을 8씩 부여하긴 하지만 그거 하나 때문에 드라카리를 갈 이유는 없다.
해적 덱정령 덱언데드 덱- 혼합 덱: 종결자 미스락스의 효과가 턴이 종료될 때 발동하므로 같이 올려놓는다면 버프를 빨리 받을 수는 있고, 날라 축의 혼합 덱도 젊은 거먹눈 멀록과의 시너지로 주문을 수급한다면 아주 나쁘진 않은 편이지만, 어떤 경우든 비종족 기물이 너무 많이 자리를 차지하므로 드라카리까지 넣긴 힘들다.
2.12.1.3. 로데오 공연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로데오 공연자, 일러명=로데오_공연자, 영문명=Rodeo Performer,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효과=<b>전투의 함성:</b> 선술집 주문을 <b>발견</b>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선술집 주문을 둘 <b>발견</b>합니다.,
)]
소환: 내려와! (Come on down!)
보통 선술집 주문만 발견하고 팔아버리는 1회용 기물이나, 4단계 하수인인 라일라크 메탈헤드와 조합하면 선술집 주문을 매 턴마다 가져 올 수 있다. 잔다이스 바로브나 두억시니의 경우에는 영웅 능력과 조합하여 여러번 전투의 함성을 우려먹을 수 있다. 5단계 하수인이기 때문에 운 좋으면 황금 손길, 콩나무 꼭대기, 대지모신의 눈, 노획품 추적 장치 같이 5골드 이상의 좋은 성능의 카드를 발견하여 막대한 이득을 볼 수 있다.
2.12.1.4. 무모한 리로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무모한 리로이, 일러명=무모한_리로이, 영문명=Leeroy the Reckless,
공격력=6, 생명력=2, 공격력2=12, 생명력2=4,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이 하수인을 처치한 하수인을 처치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이 하수인을 처치한 하수인을 처치합니다.,
)]
소환: 리로~이 젠킨스! (Leeroy~ Jenkins!)
즉사형 기물. 개발진에 따르면 나보다 능력치가 큰 상대와 전투할 때 역전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설계했다고 한다.천상의 보호막도 무시하고 처치하며, 야생불 정령이나 흑요석 약탈자 등의 효과 데미지로 처치되어도 자신을 죽인 하수인을 저격한다. 대신 리로이가 죽어야 발동하므로 천상의 보호막과 연계하면 오히려 불리하며, 리로이를 죽인 하수인을 처치하기 때문에 괴물 앵무, 남작 리븐데어와의 시너지는 없다.
보통 상대의 천상의 보호막 + 도발 기물 하나를 제거하기 위해 1~2선에 배치되며, 만약 상대가 히드라, 전투 절단기, 야생불 정령처럼 양 옆도 함께 공격하는 하수인이 있다면 도발벽 옆에 배치해 리로이를 죽이게 유도한 뒤 일격사시키는 방법도 있다. 기존에 이렇게 미끼로 쓰였던 하수인들과 달리 리로이는 상대가 배치를 통해 각을 피해도 언젠가 하나는 반드시 잡고 간다는 장점이 있다.
대충 집어도 밥값은 하는 효과 덕분에 일단 집고 보고 고레벨 상점과 온갖 버프를 바른 기물을 선점한 상대를 만났을 때 상대의 하수인을 1:1 교환으로 잡아먹으며 심하면 상위권 플레이어를 잡아먹어버리거나 거꾸로 상위권 플레이어가 용병으로 기용해 하위권 플레이어가 영혼 쥐어짜기로 만들어낸 떡대를 간단하게 찍어누르는 경우도 많다.
반대로 리로이를 상대하는 입장에선 피해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데, 가장 좋은 건 아예 덱이 토큰 야수, 해조디아, 언데드 덱처럼 물량으로 승부를 봐서 리로이의 효율을 확 떨어뜨리는 거고, 만약 리로이에게 저격당할 하수인이 풍부한 경우 체력이 2라 공격력 2 이상인 도발로 어느 정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야 한다. 23.6 패치 이후 들어온 땅굴 폭파범 역시 죽메만으로 리로이를 날릴 수 있어 카운터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혈석 등을 활용해 최소 3, 권장 6을 넘는 체력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무조건 적을 하나 처치하고 가는 특성 상 리치 왕의 환생, 그리고 운이 좋을 경우 강화로봇의 환생을 받을 경우 막강한 파워를 자랑한다. 느조스 역시 느조스의 물고기에게 리로이의 효과를 부여하긴 하지만 보통 느조스의 물고기는 최대 효율을 위해 야수 등으로 꽉꽉 눌러담는 것이 일반적이라 리로이와 병행하긴 힘들다.
리로이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씌우면 죽음의 메아리 효과가 제대로 발동하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A하수인이 리로이의 천보를 벗긴 뒤, B하수인을 공격해 리로이가 사망할 경우 죽메효과가 B하수인이 아닌 A하수인에게 발동한다. 아마도 리로이를 죽일수 있는, 가장 먼저 공격한 하수인이 타겟이 되는 매커니즘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천보녀를 넣고 용병 싸움을 자주 하던 대회에서도 버그가 여럿 터졌다. 24.6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2.12.1.5. 브란 브론즈비어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브란 브론즈비어드, 일러명=브란_브론즈비어드_bg, 영문명=Brann Bronzebeard,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효과=내 <b>전투의 함성</b> 능력이 2번 발동합니다.,
효과2=내 <b>전투의 함성</b> 능력이 3번 발동합니다.,
)]
소환: 탐구 정신이 불끈 솟는군요!(Who knows what secrets we'll uncover?)
전투의 함성을 2배로 늘려주는, 압도적인 효율을 보여주는 하수인이다. 덱 종류를 크게 가리지 않고 일단 집어두면 뭐라도 되는 수준의 막강한 범용성을 보여준다. 활용할 수 있는 환경만 마련되면 매우 뛰어난 효율을 보여준다. 필드에 살아있어야 그 효과가 발동되는 리븐데어와는 달리 브란은 상점 단계에서 할 일 다 한 뒤에는 필드에서 죽어도, 심지어는 팔아버려도 효과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훨씬 안정적이다.원체 범용성이 높은 기물이라 일단 집으면 밥값은 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덱의 궁합은 어느 정도 갈린다. 특히 시즌 4에서 브란과 시너지가 좋은 전투의 함성 하수인이 많이 사라지고 각 종족별 특색을 강화했기 때문에 전투의 함성 시너지가 나는 종족이 없으면 브란의 가치가 많이 하락하는 편이다.
- 가시멧돼지 덱: 전투의 함성으로 모든 아군에게 혈석을 뿌리는 밀수꾼의 존재로 궁합이 나쁜 편은 아니다. 멀록이 같이 풀렸을 경우 밀수꾼 + 젊거멀 + 밀수꾼 + 브란 + 드라카리를 세팅하면 혈석 돌리는데만 1분 넘게 걸릴만큼 깡스텟으로 찍어누를 수 있다. 만약 7성 하수인인 핏빛 용사를 얻었다면 브란 + 용사 + 메탈헤드와의 시너지도 노려볼만하지만, 7성을 갔으면 모이라와의 시너지가 더 좋아서 애매한 편.
- 기계 덱: 전함 시너지는 4성 하수인인 고물로봇 폐품 하나뿐인데, 성능이 워낙 막강한지라 고려해볼 가치는 있다. 화음로봇을 있는대로 양산하여 골드를 펌핑해버리면 훌륭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중인 황후를 필두로 천보 덱을 굴릴 경우에도 로데오 공연가, 소라 나팔수를 2번씩 써먹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좋다.
- 나가 덱: 나가 덱에서 브란을 써먹을 방법이라곤 소라 수집가나 소라 나팔수 뿐인데 이 둘은 나가 덱에 채용 되는 일은 거의 없기에 쓸 일이 없다. 물론 기계 덱의 충전 중인 황후와 마찬가지로 나가 덱은 주문의 발동 횟수가 중요하므로 아주 나쁘진 않다.
- 멀록 덱: 덱의 핵심 기물 1. 멀록 덱의 핵심 하수인은 한 번도 브란이 아니었던 적이 없다. 가장 큰 이유는 망꾼과의 시너지 때문. 핸드 버프 덱이든 필드 버프 덱이든 멀록은 멀록을 다수 내야 하는데 그러려면 브란 망꾼이 필요하다. 6성 하수인 젊거멀이 격발시키는 전함까지 2번 시켜주기까지 하니 그야말로 핵심 기물이다.
- 악마 덱: 덱의 핵심 기물 2. 2성의 불순한 잡념이나 5성의 격노의 운전사 같이 전함으로 상점을 잡아먹는 카드, 혹은 3성의 지옥정령이나 (태그 한정) 5성의 만아리 전령 등 전함으로 상점을 강화하는 기물을 많이 잡을 수 있으며, 6성의 메카 자락서스를 옆에 놓으면 악마까지 수시로 보충해준다. 무엇보다 4성 하수인인 타악기 연주자의 전함을 2번 발동시키는 등 이득 볼 부분은 많다.
- 야수 덱: 숲 방랑자가 전투의 함성이긴 하지만 브란을 뽑을 때쯤에 숲 방랑자를 딱정벌레 강화하겠답시고 뽑는 건 돈을 땅바닥에 버리는 짓이고, 보통 숲 방랑자를 황금으로 만들었는데 리븐데어를 못 뽑았을 경우 메탈헤드 + 브란 + 숲 방랑자로 급하게 당겨쓰긴 좋다. 그 외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 언데드 덱: 어울리지 않는다.
- 정령 덱: 덱의 핵심 기물 3. 온화한 신령의 연계로 정령을 하나씩 더 볼 수 있으며, 원기회복의 변형물의 효과가 누적되게 바뀐 다음에 브란 변형물을 하면 다음 새로고침 4번이 공짜다. 무엇보다 5성 하수인 황혼의 원시석의 효과까지 2배 누적되어 일시적으로 스텟을 뻥튀기시키기에도 좋다.
- 용족 덱: 칼렉고스 덱의 핵심 기물 4. 원래도 시너지가 좋은 덱이었지만, 칼렉고스의 효과가 전투의 함성 효과가 발동할 때로 바뀌면서 용족 덱의 최중요 기물로 떠올랐다. 브란이 있으면 칼렉고스의 광역버프량이 2, 3배로 뻥튀기 되는데다가 골드 이득도 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채용하는 하수인이다. 무엇보다 5성 하수인 사령관 드라키사스는 브란이 있으면 토큰을 2장씩 가져오기 때문에, 브란이 있는 상태에서는 전함 격발로 황카를 만드는 속도가 2배로 상승하는데다 토큰의 버프까지 2배가 된다. 칼렉 하나만으로는 거의 도태되다시피 한 칼렉 용족 덱을 제대로 굴리려면 브란이 매우 중요하다.
- 해적 덱: APM 덱의 핵심 기물 5. 해적은 골드를 소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덱인데, 브란은 전투의 함성으로 카드나 하수인을 제공하는 카드를 공짜로 쓰게 할 수 있으므로 0골드를 소모해서 3골드를 소모하는 기적의 교환비를 성립시킨다. 사랑앓이 발라드 가수의 생명력 버프가 2배가 되는 것도 매우 기분이 좋으며, 남쪽바다 악사의 골드 저축, 인간사냥꾼의 계약서 2장 복사 등등 브란이 있고 없고에 따라 골드 소모량에 매우 큰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른 타이밍에 금화 사기꾼을 뽑아서 최대 골드가 40 ~ 50이 된 정도로 개사기를 친 게 아니면 브란은 어지간하면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 혼합 덱: 덱의 핵심 기물 6. 선술집 주문을 사용하면 버프를 주는 구원자 날라를 핵심으로 사용할 경우, 날라를 격발시킬 3성 하수인 소라 나팔수와 5성 하수인 로데오 공연가를 2번씩 쓸 수 있게 해 줘서 성장 속도가 2배가 된다. 뿐만 아니라 정령의 원시석, 언데드의 위습, 멀록의 망꾼 등등 카드를 발견할 수 있는 수단이 굉장히 많아질 뿐 아니라, 5성 하수인 노련한 뱃돼지나 6성 하수인 융합체 관광단의 효과로 카드를 많이 내어 광역 버프를 노리는 혼합 덱을 굴릴 경우에도 브란이 갖다주는 막대한 골드 이득은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인터페이스 최적화 패치 전에 소환 이펙트가 그대로 나오던 시절에는 황금 브란을 낼 경우 카드가 삐딱하게 착지하는 버그가 있다. 소환 시 이펙트가 삭제된 현재는 볼 수 없다.
황금 브란과 일반 브란(및 두억시니의 (구)영웅능력)이 중첩되어 적용되는 현상이 있었다. 정확한 매커니즘은 황금 브란은 텍스트와는 달리 전투의 함성을 2번 더 발동시키도록 되어 있었던 것. 이는 리븐데어도 마찬가지 였으며 16.2 패치로 수정되었다. 다만 언데드 패치 이후로 리븐데어는 효과가 정말로 '○번 더 발동'으로 변경되면서 일반 카드 2장으로도 중첩이 가능해졌지만, 브란의 효과는 변경되지 않아 여전히 중첩은 불가능하다.
2.12.1.6. 취조관 화이트메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취조관 화이트메인, 일러명=취조관_화이트메인, 영문명=Interrogator Whitemane,
공격력=8, 생명력=5, 공격력2=16, 생명력2=10,
효과=<b>기선 제압:</b> 5단계 이상인 적 하수인에게 <b>도발</b>을 부여합니다. 그 적은 이번 전투에서 받는 피해가 2배 증가합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5단계 이상인 적 하수인 둘에게 <b>도발</b>을 부여합니다. 그 적은 이번 전투에서 받는 피해가 2배 증가합니다.,
)]
소환: 일어나라, 나의 투사여! (Arise, my champion!)
단계 5 이상의 무작위 적 하수인에게 도발을 걸고 받는 피해량을 2배로 늘린다. 피해가 증폭하는 효과는 용병단에서 사용되던 치명타 이펙트를 사용했다.
리븐데어처럼 후방에 숨겨놓는 기물들에 대한 메타 카드. 대놓고 도발에 피해 증가 디버프까지 걸어버리기 때문에 필드 구성 싸움에서 패배한다면 저격으로부터 벗어날 방법이 없다. 굳이 하나를 저격할 필요도 없이 히드라나 칼날 수집가 같은 광역 하수인과의 연계도 괜찮은데, 화이트메인의 타겟 하수인을 박으면 양옆에도 두 배의 딜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대의 계산을 꼬아버리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5단계 이상의 기물이 없으면 별 쓸모가 없고, 걸더라도 야수 덱의 골드린처럼 저격해봐야 의미가 없는 5성 이상의 하수인이 많은 경우도 많아 확정적으로 핵심 하수인을 저격하는 건 아닌지라 어느 정도 도박성이 짙다.
24.6 패치부터 30.2 패치 전까지는 5단계 이상이 아니라 맞은 편의 적에게 도발을 거는 희대의 가불기 기물이었다. 심지어 이 당시에는 서로 필드의 홀짝이 다를 경우 자신 맞은 편에 있는 기물 둘에게 도발을 걸었다. 그래서 이 카드가 있던 시절에는 화이트메인을 상대할 때는 상대가 어디에 화이트메인을 배치할지, 그걸 고려해서 리턴이 적어지는 걸 감안하고 리븐데어 등을 일부러 앞에 놓는다든지 등도 고려해야 했는데, 그러다가 상대가 그걸 눈치 까고 화이트메인을 앞으로 놓거나 아예 빼버리면 자폭이 되었다. 심지어 상대가 화이트메인의 도발을 2장에게 걸기 위해 6장으로 전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나도 6장으로 맞춰야 한다든지 등 생각할 거리가 너무 많아, 내가 전장을 하는지 야바위를 하는지 알 수가 없는 지경의 가짜 게임 생성기 역할을 하다 욕바가지란 욕바가지는 다 들어먹고 칼같이 삭제당했다.
2.12.1.7. 티투스 리븐데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한글명=티투스 리븐데어, 일러명=티투스_리븐데어, 영문명=Titus Rivendare,
공격력=1, 생명력=7, 공격력2=2, 생명력2=14,
효과=내 <b>죽음의 메아리</b> 능력이 1번 더 발동합니다.,
효과2=내 <b>죽음의 메아리</b> 능력이 2번 더 발동합니다.,
)]
소환: 스컬지가 널 삼키리로다!(The Scourge will consume you!)
브란과 반대로 죽음의 메아리 효과가 중요한 덱에서 채용하는 카드로, 브란과 비교했을 때 브란은 확보한 뒤 높은 성장률을 보장해준다면, 리븐데어는 잡자마자 바로 자신 필드의 죽메 카드들의 화력을 증폭시켜준다. 또한 브란, 드라카리와는 다르게 2/3번 발동이 아닌 1/2번 더 발동이므로 필드에 리븐데어가 여러 장 있다면 그 효과가 증폭된다.
각종 죽음의 메아리를 이용한 엑조디아 덱 류에서 많이 채용하는데, 골드린의 버프를 극대화시키는 죽메 야수 덱이나 미궁 분쇄자의 버프를 2배로 늘려주는 오버플로우 언데드 덱 등 죽메가 핵심인 덱에서는 여러모로 인기 있는 매물. 심지어 타렉고사 용족 덱도 점화된 파멸의 어둠을 2배로 터뜨리겠다고 넣었던 적도 있다.
별 시너지가 없다고 하더라도 2성 하수인인 헌신적인 영웅(천보녀)과의 시너지로 천보를 광역으로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떡대를 잘 키우는 것이 목적인 덱이라면 게임 극후반부에는 엔진을 빼버리고 황금 천보녀와 리븐데어를 넣어 마무리하는 경우도 많다. 전장 극초기에는 독소 대신 독성이 있어 무슨 덱을 가든 게임 후반부에는 천보녀 + 리븐 + 독성으로 귀결된다는 욕을 먹었던 적도 있으나 지금은 그런 경우는 줄었다. 태그에서는 한쪽만 잘 성장했고 다른 파트너의 필드가 죽을 쑬 경우, 그냥 맨땅에 리븐데어 + 왕큰엘크로 파트너 필드의 공격력만 빌려다 쓰는 전략도 유효하다.
단, 최대한 오래 살아야 하는 주제에 1/7이라는 허약한 스텟 탓에 전투 순서가 어긋나면 픽 죽어버리기 십상이니, 전투 순서를 세심하게 배치하거나 버프를 발라 잘 죽지 않게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리븐데어를 사용한다면 각 상대가 전투 절단기 류 하수인을 사용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를 기억해두는 것이 좋다. 자체적으로는 느조스 버프를 여러 번 받는 게 아닌 이상 전투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기 때문에 대개 도발 바로 옆에 붙여놓게 되는데, 상대가 히드라를 쓸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도발과 함께 쓸려나간다. 그래서 상대가 히드라를 사용하는 덱이라면 도발 하수인으로부터 한 칸 띄워서 배치한다거나, 아예 도발 하수인을 전부 왼쪽으로 다 몰아넣고 리븐데어를 오른쪽에 놓아서 히드라로부터 보호하는 등 기물 배치를 바꿀 필요가 있다. 여담으로 전투절단기 4000, 야생불 정령의 공격으로 죽메 하수인과 리븐데어가 동시에 사망했다면 해당 하수인의 죽메까지는 리븐데어의 효과를 받는다.
비슷하게 전함을 2번 발동시켜주는 브란과 비교하면 전함이 메인인 덱과 죽메가 메인인 덱은 서로 반대되는 성향이 있다보니 브란과 안 어울리는 덱이 리븐데어와는 어울리는 덱이 많다. 다만 죽메로 전함을 발동시키는 메탈헤드(야수)가 존재할 경우 리븐데어를 유사 브란처럼 사용할 수 있으니 아주 나쁘다고 보긴 어려우나, 그것까지 고려하면 밑도끝도 없기 때문에 메탈헤드 시너지 또는 천보녀 리븐데어 시너지는 배제하고 작성한다.
가시멧돼지 덱기계 덱나가 덱- 멀록 덱: 베이스아가미나 오페라 열창멀록 등 시너지 좋은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이 많이 추가되어 채용해 볼만한 가치가 있긴 하다. 다만 도미 계산원을 핸드에서 키우는 멀록 덱은 아무래도 브란이 낫고, 독날먹 덱을 사용할 때나 채용하는 정도.
- 야수 덱: 덱의 핵심 기물 1. 죽음의 메아리와 전투 중 소환 효과 위주로 구성된 종족이니만큼 죽음의 메아리를 여러번 발동시키는 리븐데어와의 상성이 좋다. 앵무 or 매타조 - 골드린 - 리븐데어 조합이면 그 전투 내에 무지막지한 야수 버프를 부여할 수 있고, 토큰 하수인이 운 좋게 리븐데어보다 먼저 터지면 토큰 소환 횟수까지 2배로 늘려준다. 성능은 구리지만 딱정벌레 야수 역시 거미의 효과를 2배로 발동시켜서 좋다.
악마 덱용족 덱- 언데드 덱: 덱의 핵심 기물 2. 언데드 덱은 상점 단계에서 하수인을 처치하여 죽메를 발동할 수 있도록 변경되면서 그 효과를 배로 볼 수 있는 리븐데어의 활용도도 높아졌다. 켈투자드와 조합하여 미라 활성가의 환생을 2기에 걸어주는 것이 주된 방법. 하지만 가장 끝장나는 시너지는 5성 하수인 '미궁 분쇄자'와 오버플로우 덱을 굴리는 경우인데, 미궁 분쇄자로 자리를 꽉 차게 만드는 오버플로우 덱의 경우 리븐데어가 토큰의 수를 2배로 늘려 버프가 2배가 되는데, 리븐데어 본인도 같이 버프를 받으므로 리븐데어를 전투 기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대처 불가능한 장점이 있다. 때문에 리븐데어는 보통 여러 장 올려놓으면 효과가 누적되지만 허약한 하수인이 둘 생기는 것이라 리스크가 커서 임시 방편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버플로우 언데드 덱에선 리븐데어도 같이 버프를 받으므로 버프 누수 없이 리븐데어를 안심하고 여러 장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성이 궤를 달리한다.
정령 덱- 해적 덱: 해조디아 덱의 핵심 기물 3. 뱃사람의 죽음의 메아리를 여러 번 발동시키는 소위 '해조디아' 덱의 필수 카드다. 뱃사람 토큰은 즉시 공격하기 때문에 2번 발동해도 자리를 하나밖에 차지하지 않아 리븐데어와의 궁합이 뛰어나다. 유람선 조타자의 효과도, 하늘 해적 기수의 효과도 2배로 불려줄 수 있는 핵심 카드다.
혼합 덱
25.2 패치로 카드 이름이 '티투스 리븐데어'로 변경되고, 효과가 '내 죽음의 메아리가 2(3)번 발동합니다'에서 '내 죽음의 메아리가 1(2)번 더 발동합니다'로 상향되었다. 이름과 일러스트가 변경된 이유는 원래 남작 리븐데어가 언데드 하수인이라 언데드 시너지를 없애기 위해서 생전의 이름과 모습으로 변경했기 때문이다. 티투스는 리븐데어의 본명이다.
한편 변경된 효과로 인해 필드에 리븐데어를 2장 올려놓으면 죽메를 3번 발동시킬 수 있게 되면서 야수나 엑조디아류 덱같이 무조건 황금 리븐데어가 있어야 좋던 덱들이 리븐 2장을 올려놓는 것으로 대체가 가능해지는 파격적인 상향을 받았다. 카드가 삭제를 고려한 상향으로 추측된다. 다만 결국 비전투요원 2마리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1장만 필드에 내서 필드를 강화해 생존을 우선시할지, 폭발력을 노리고 둘 모두를 필드에 올릴지는 잘 고려해야 한다.
2.12.2. 태그 전장 전용
2.12.2.1. 우물 기도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5, 태그=,한글명=우물 기도자, 일러명=우물_기도자, 영문명=Well Wisher,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효과=<b>주문제작:</b> 황금이 아닌 다른 하수인을 <b>전달</b>합니다.,
효과2=<b>주문제작:</b> 황금이 아닌 다른 하수인을 <b>전달</b>합니다.,
)]
소환: 행운을 빌어요! (I wish you well.)
한글명 | 우물 기도 | | |||
영문명 | Well Wishes | ||||
카드 종류 | 주문(토큰) | ||||
등급 | 기본 | ||||
속성 | 주문제작 | ||||
비용 | 0 | ||||
효과 | 황금이 아닌 다른 하수인을 전달합니다. (우물 기도자 제외) | ||||
황금이 아닌 다른 하수인을 전달합니다. (우물 기도자 제외) |
태그 전장용 하수인으로 나가가 아닌데도 주문제작 능력이 있는 특이한 하수인이다.
주문제작으로 마님 고야의 영능을 시전한다. 지원하는 쪽이라면 사실상 무조건 집고 가야한다. 특히 양쪽이 둘 다 우물 기도자를 들고 있을 경우, 플레이어 A가 전함을 발동한 뒤 그걸 B한테 넘기면 B는 그걸 내고 다시 기도자로 A한테 넘기는 등, 전함을 여러 번 사용하는 데에 매우 좋다.
다만 무종족 하수인인지라 버프를 못 받아 필드 싸움이 구려질수가 있다. 특히 황금 하수인은 기존이랑 다른게 없는지라
제데로 활용하기 위해 2마리를 채용하면 자리가 차는 편이다.
반사로봇과 더불어 황금 하수인 효율이 매우 구린 카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21.2패치 이전 , version=493, uuid=e22f9667-5855-42d4-b49c-77afb3dea24b,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2=579, uuid2=47affbbb-1447-45ee-a942-2ff3cd20fc12,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3=46, uuid3=6368b26f-aa86-4b46-8ab7-bd89b6abf867,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4=689, uuid4=a5885f76-af4e-4d4d-a2dc-713b4740536e,
title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5=746, uuid5=a3f93a97-53df-4dbe-bc1e-342823346cfa,
title6=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삭제된 카드, parapraph6=2.6.1.1, version6=74, uuid6=f6a3ac60-2556-4bff-90a4-8b8b6000294b,
title7=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7=68, uuid7=bd15999b-7ad6-49bb-8589-da0bd9a05de3,
title8=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 version8=666, uuid8=a5052270-ad6c-4644-9f32-4bfd3bac9213,
title9=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9=65, uuid9=e4cac3a7-15cc-43f7-ab8a-503bf3aa6802,
title10=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0=62, uuid10=878ffc98-d2e6-421e-aedc-914aee89a70a,
title11=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11=751, uuid11=d9409e01-1db7-4fe2-86f9-12a8cae2b716,
title1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2=81, uuid12=ac2bcd04-e85c-437d-b298-d328fc26a0c4,
title1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13=763, uuid13=d4661b7b-a199-4b94-ab36-d6e5d873dd48,
title1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 version14=88, uuid14=75232afd-339e-43a2-9fdc-1bd7600d6ca7,
title1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15=834, uuid15=dcb802bc-d19a-4035-80cd-1d02f023f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