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
하스스톤 전장 | |||||||
우두머리 | 덱 종류 | 빌드(마나커브) |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 6단계 | 7단계 | 선술집 주문 |
특별 시스템 | |||||||
다크문 축제 경품 | 전우 | 퀘스트/보상 | |||||
변형물 | 장신구 | 태그 전장 |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 6단계 | 7단계 | 선술집 주문 |
1. 개요
전장의 카드들 중 4단계 하수인들이다.선술집에 배치된 4성 하수인 카드의 복사본은 총 11장이다.
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토큰=, 황금없음=,한글명=혈석, 일러명=혈석, 영문명=Blood Gem,
효과=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겁 없는 미식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겁 없는 미식가, 일러명=겁 없는 미식가_bg10, 영문명=Fearless Foodie,
공격력=3, 생명력=5, 공격력2=6, 생명력2=10, 가시멧돼지=,
효과=<b>선택 - </b>이번 게임에서 내 <b>혈석</b>이 추가로 +1/+1을 부여합니다. 또는 <b>혈석</b>을 4개 얻습니다.,
효과2=<b>선택 - </b>이번 게임에서 내 <b>혈석</b>이 추가로 +2/+2를 부여합니다. 또는 <b>혈석</b>을 8개 얻습니다.,
)]
소환: 뭐든지 한 번에 먹어보겠어! (I'll try anything once!)
30.2 패치에서 추가되었다.혈석을 버프하거나 대량의 혈석을 얻는 주문으로, 어느 쪽이든 선택이지 전함이 아니기 때문에 전함 시너지를 받을 수는 없다. 물론 시너지 카드를 보는 건 5성은 가야 하므로 그 이전에는 단독 카드로 꽤 많은 혈석 버프나 혈석 자체를 제공하므로 그럭저럭 강한 카드. 5성의 뱃돼지나 나가 계열처럼 주문을 많이 쓰거나 패로 가져와야 하는 덱은 카드 1장으로 주문 4개를 수급해주므로 거쳐가기 괜찮다.
2.1.1.2. 꿈꾸는 가시마술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꿈꾸는 가시마술사, 일러명=꿈꾸는 가시마술사_bg10, 영문명=Dreaming Thornweaver,
공격력=2, 생명력=6, 공격력2=4, 생명력2=12, 가시멧돼지=,
효과=<b>복수 (4):</b> 내 <b>혈석</b>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i>(다음 턴에 공격력으로 바뀝니다!)</i> ,
효과2=<b>복수 (4):</b> 내 <b>혈석</b>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i>(다음 턴에 공격력으로 바뀝니다!)</i>,
)]
2.1.1.3. 머리 강타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머리 강타꾼, 일러명=머리 강타꾼_bg10, 영문명=Bonker,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가시멧돼지=,
효과=<b>질풍</b>\,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b>질풍</b>\,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중후반 전투를 담당하는 하수인.
출시 당시에는 질풍 하수인을 황금 하수인으로 만들면 광풍으로 강화된다는 규칙성이 있었기에, 이 하수인도 황금이 되면 질풍이 광풍이 되고 혈석도 2개가 되어 공격횟수를 전부 살리면 도저히 막지 못할 수준의 스노우볼을 굴릴 수 있었다. 리노 같은 경우에 이른 타이밍에 확보했다면 영능을 쓰는 것도 고려했을 정도.
20.2.2 패치에서 공격력이 4에서 3으로 감소하고, 황금으로 만들어도 혈석을 1개씩만 주게 변경되었다.
25.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27.2.2 패치로 복귀했다.
32.2 패치로 복귀했고, 혈석을 얻는 것에서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혈석을 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2.1.1.4. 혈석 밀수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혈석 밀수꾼, 일러명=혈석 밀수꾼_bg10, 영문명=Gem Smuggler,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8, 생명력2=8, 가시멧돼지=,
효과=<b>전투의 함성: </b>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 </b>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소환: 혈석? 무슨 혈석? (Blood gems? What blood gems?!)
모든 아군에게 혈석을 부여하는 일회용 하수인으로, 그냥 쓰면 광역 +1/+1 버프에 불과하지만 혈석에 버프가 있다면 그만큼 효율이 늘어난다. 게다가 전투의 함성이므로 브란 브론즈비어드, 젊은 거먹눈 멀록과의 연계로 혈석을 매 턴마다 뿌리는 유사 차를가가 가능하다는 점도 매우 큰 장점이다. 6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가멧에게 6발 선택지를 하나 더 준다는 것은 매력적인 부분.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기름 로봇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기름 로봇, 일러명=기름 로봇_bg10, 영문명=Grease Bot,
공격력=2, 생명력=5, 공격력2=4, 생명력2=10, 기계=,
효과=<b>천상의 보호막</b>\, 아군 하수인이 <b>천상의 보호막</b>을 잃은 후에\, 그 하수인에게 영구히 +2/+1을 부여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아군 하수인이 <b>천상의 보호막</b>을 잃은 후에\, 그 하수인에게 영구히 +4/+2를 부여합니다.,
)]
천상의 보호막 주축의 기계 덱에서 사용할 만한 지속 버프 요원. 매 턴마다 천보 하수인에게 꾸준한 버프를 기대할 수 있다. 기계뿐만 아니라 멀록 왕자, 성원투사 같이 효율 좋은 천상의 보호막 하수인에게 버프를 넣는 것도 가능하며, 본인도 천상의 보호막이 있기 때문에 버프를 받을 수 있다. 다만 그걸 감안해도 본체의 기본 스텟도 버프도 워낙 저열해서 잠깐 거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상할 정도로 개발진의 사랑을 받아 하향, 변경, 삭제, 상향, 롤백을 모두 거친 파란만장한 기물이다.
21.2 패치로 추가되었으며, 이 때는 4성 3/6에 버프가 +2/+1이었지만 자신에게는 천상의 보호막이 없었다.
21.8 패치에서 버프량이 +1/+1로 하향되었다.
23.6 패치로 6단계 기물로 올라가면서 스탯, 버프량이 상향되고 기물 본체에게도 천상의 보호막이 붙으면서 OP 카드로 탈바꿈했다.
24.0.1 패치로 긴급 삭제되었다. 24.0.3 패치로 천상의 보호막 삭제, 버프량 감소 너프를 먹고 복귀했다.
25.2.2 패치에서 버프량 상향 패치를 받았다.
25.4.3 패치에서 모든 변경사항이 롤백되고 출시 초기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26.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26.6 패치에서 6성으로 변경되어 복귀하였다.
27.2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30.2 패치에서 4성으로 변경되어 복귀하였다.
30.4.3 패치에서 기본 스탯이 '1/1'에서 '2/5', 버프량이 '+1/+1'에서 '+2/+1'로 변경되었다.
버프명은 기름칠[1]이다.
2.2.1.2. 삐걱거리는 수리로봇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삐걱거리는 수리로봇, 일러명=삐걱거리는 수리로봇_bg10, 영문명=Rickety Repairbot,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기계=,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무작위 <b>합체</b> 기계를 이 하수인에 <b>합체</b>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무작위 <b>합체</b> 기계 둘을 이 하수인에 <b>합체</b>합니다.,
)]
2.2.1.3. 안내판 로봇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안내판 로봇, 일러명=안내판 로봇_bg10, 영문명=Marquee Ticker,
공격력=1, 생명력=5, 공격력2=2, 생명력2=10, 기계=,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얻습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둘 얻습니다.,
)]
소환: 절찬리에 상영 중!()
자체적으로 선술집 주문을 쉽게 수급할 수 있는 하수인으로, 선술집 주문과 시너지가 있는 충전 중인 황후 베이스의 천보 기계 덱을 갈 때 매우 좋은 수급원이다.2.2.1.4. 자동 조립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자동 조립기, 일러명=자동 조립기_bg10, 영문명=Auto Assembler,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기계=,
효과=<b>합체</b>\, <b>죽음의 메아리:</b> 고대의 전투로봇을 소환합니다.,
효과2=<b>합체</b>\, <b>죽음의 메아리:</b> 황금 고대의 전투로봇을 소환합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
한글명=고대의 전투로봇, 일러명=고대의 전투로봇_bg10, 영문명=Ancestral Automaton,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기계=,
효과=이번 게임에서 내가 소환한 다른 고대의 전투로봇 하나당 +2/+2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이번 게임에서 내가 소환한 다른 고대의 전투로봇 하나당 +4/+4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
죽음의 메아리로 고대의 전투로봇을 소환하게 해 주는 합체 하수인으로, 전투로봇을 키우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다.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미끄러운 공연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미끄러운 공연가, 일러명=미끄러운 공연가_bg10, 영문명=Slippery Slider,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나가=,
효과=<b>주문제작:</b> 선술집을 <b>새로고침</b>합니다. 비용이 (1) 감소한 선술집 주문이 추가로 생깁니다.,
효과2=<b>주문제작:</b> 선술집을 <b>새로고침</b>합니다. 비용이 (1) 감소한 선술집 주문이 둘 추가로 생깁니다.,
)]
소환: 이게, 뭐야? ()
30.6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2.3.1.2. 타락한 미르미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타락한 미르미돈, 일러명=타락한 미르미돈_bg10, 영문명=Corrupted Myrmidon,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나가=,
효과=<b>기선 제압: </b>이 하수인의 능력치가 2배가 됩니다.,
효과2=<b>기선 제압: </b>이 하수인의 능력치가 3배가 됩니다.,
)]
소환: 내가 어떻게 변해버린 거지? (What have I become?)
기선 제압으로 스탯이 2배가 되기 때문에 이론 상 버프 효율도 2배, 주문제작의 버프 효율도 2배, 천상의 보호막을 확보하면 효과가 극대화되지만 기본 스탯이 너무나 처참하고 유틸성이 하나도 없다는 게 단점이다. 기선 제압이라서 기선 제압 영웅 능력이나 주문에 의해 잘리는 사태도 발생하기도 한다.
결국 5성이던 시절에는 혼합 덱에서 당장 넣을 게 없으면 고려해보거나, 어쩌다 나가 덱에서 얻게 되었는데 버프를 잘 받을 경우가 아니면 딱히 우선시되지 않는 꽝 신세였으나, 4성으로 내려온 뒤에는 그래도 자잘한 버프를 줘서 스텟 뻥튀기를 하고 버티는 데 쓸 수는 있게 되었다.
2.3.1.3. 평온한 명상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평온한 명상가, 일러명=평온한 명상가_bg10, 영문명=Tranquil Meditative,
공격력=5, 생명력=6, 공격력2=10, 생명력2=12, 나가=,
효과=<b>주문제작:</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b>주문제작:</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2.3.2. 태그 전장 전용
2.3.2.1. 개인 요리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개인 요리사, 일러명=개인 요리사_bg10, 영문명=Private Chef,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나가=,
효과=<b>주문제작:</b> 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종족의 다른 무작위 하수인을 얻은 후에\, <b>전달</b>합니다.,
효과2=<b>주문제작:</b> 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종족의 다른 무작위 하수인을 둘 얻은 후에\, <b>전달</b>합니다.,
)]
소환: 고등어를 추가하고 뭉텅뭉텅 썰어넣자! ()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게걸충 미식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게걸충 미식가, 일러명=게걸충 미식가_bg10, 영문명=Gormling Gourmet,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멀록=,
효과=<b>도발</b>\, <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해물 스튜를 얻습니다.,
효과2=<b>도발</b>\, <b>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b> 해물 스튜를 둘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3,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해물 스튜, 일러명=해물 스튜_bg10, 영문명=Seefood Stew,
비용=1,
효과=하수인이 가진 <b>보너스 키워드</b> 하나당 그 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2.4.1.2. 도미 계산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도미 계산원, 일러명=도미 계산원_bg10, 영문명=Bream Count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멀록=,
효과=내 손에 이 카드가 있으면\, 내가 멀록을 낸 후에\, +3/+3을 얻습니다.,
효과2=내 손에 이 카드가 있으면\, 내가 멀록을 낸 후에\, +6/+6을 얻습니다.,
)]
핸드 멀록 덱의 핵심 카드. 사실상 도미 계산원을 얻는 시점부터 멀록 덱이 가능해지는 수준이다. 조건 안 따지고 멀록만 내면 +3/+3 버프를 얻을 수 있다. 옳챙이나 원시지느러미 망꾼은 그 특성상 두 번의 버프를 얻을 수 있기에, 잘 키우면 수백 단위의 생명력과 공격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이렇게 잘 키운 도미 계산원을 베이스아가미나 아옳옳 중창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핸드 멀록 덱의 핵심.
약간 아쉬운 점은 계속 패에 쥐고 있어야 한다는 특성 상 황금으로 만들어도 황금 보상은 받을 수 없다.
2.4.1.3. 세핀의 수습생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세핀의 수습생, 일러명=세핀의 수습생_bg10, 영문명=Apprentice of Sefin,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 </b>멀록에게 +4/+4와 무작위 <b>보너스 키워드</b>를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 </b>멀록에게 +8/+8과 무작위 <b>보너스 키워드</b>를 둘 부여합니다.,
)]
일러스트는 대전 모드의 주술사 카드 멀록단 출동의 토큰을 사용했다.
2.4.1.4. 왕 므라옳옳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왕 므라옳옳, 일러명=왕 므라옳옳_bg10, 영문명=King Bagurgle,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멀록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멀록들에게 +4/+4를 부여합니다.,
)]
멀록 덱의 광역 버퍼. 전장 초기에는 전함과 죽메로 +2/+2였으나, 이후 멀록이 완전 전함 덱으로 자리잡고는 전함만 +3/+3으로 개선되었다. 멀록을 내면서 아군 멀록들에게 낮지 않은 버프를 광역으로 뿌리기 때문에 필드를 전방위적으로 강화하기에 여전히 훌륭한 기물이다.
일러스트는 정예 타우렌 족장의 전투의 함성으로 생성되는 파워 코드 주문인 '나는야 멀록'의 일러스트를 재활용했다.
버프명은 므라옳[2]이다.
2.4.2. 태그 전장 전용
2.4.2.1. 해저 수색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해저 수색꾼, 일러명=해저 수색꾼_bg10, 영문명=Oceanfloor Rummager,
공격력=2, 생명력=6, 공격력2=4, 생명력2=12, 멀록=,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의 전장 조합에 있는 서로 다른 <b>보너스 키워드</b> 하나당 내 팀의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팀의 전장 조합에 있는 서로 다른 <b>보너스 키워드</b> 하나당 내 팀의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아빠미소 드랙티르의 초강화판. 보너스 키워드만 충분하다면 중반부에 유의한 공격력을 두 팀원 모두가 얻을 수 있다.
일러스트는 흑마법사의 카드 가라앉은 수집가의 재탕이다.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도약하는 지옥사냥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도약하는 지옥사냥개, 일러명=도약하는 지옥사냥개_bg10, 영문명=Bounding Felstalker,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악마=,
효과=<b>전투의 함성:</b> 선술집을 <b>새로고침</b>합니다. 골드 대신 생명력을 비용으로 하는 선술집 주문이 추가로 생깁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선술집을 <b>새로고침</b>합니다. 골드 대신 생명력을 비용으로 하는 선술집 주문이 2개 추가로 생깁니다.,
)]
2.5.1.2. 돋보이는 타악기 연주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돋보이는 타악기 연주자, 일러명=돋보이는 타악기 연주자_bg10, 영문명=Imposing Percussionist,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악마=,
효과=<b>전투의 함성:</b> 악마를 <b>발견</b>합니다. 내 영웅에게 그 악마의 선술집 단계만큼 피해를 줍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악마를 둘 <b>발견</b>합니다. 내 영웅에게 그 악마의 선술집 단계만큼 피해를 줍니다.,
)]
소환: 듣기 좋은 타악기 소리! (Love to hear percussion.)
타 발견 하수인들은 해당 종족의 덱을 가지 않더라도 골드 벌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이 하수인은 데미지를 입어야 하기에 쉽게 집기는 애매하다. 특히 네온 요원 같은 무작위 전함에서 튀어나오면, 심지어 브란까지 있는 상황이라면 찢어버리고 싶은 카드. 반대로 악마와는 찰떡 궁합으로 하수인도 파밍하고 데미지를 입어서 필드도 강화할 수 있다.
주의할 점으로, 역행자나 아키몬드 같은 면역계 하수인 페어가 있는 상황에서 이 카드로 같은 하수인을 발견했을 경우 역행자가 황금 카드가 되어 패에 올라간 뒤 피해를 주기 때문에 내 영웅이 피해를 받으며, 그 뒤에 발동하는 명인 등의 자해 카드도 내 영웅에게 대미지를 주게 된다. 따라서 미리 역행자나 아키몬드를 황금으로 바꿔놓는 편이 안전하며, 이 카드로 역행자나 아키몬드를 황금으로 만드는 것은 정말 필요한 게 아니라면 추천되지 않는다.
2.5.1.3. 잿빛 타락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잿빛 타락자, 일러명=잿빛 타락자_bg10, 영문명=Ashen Corruptor,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악마=,
효과=내 영웅이 피해를 받은 후에\, 그 피해를 되돌리고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이번 턴에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영웅이 피해를 받은 후에\, 그 피해를 되돌리고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이번 턴에 +2/+2를 부여합니다.,
)]
2.5.1.4. 춤의 황태자 말체자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춤의 황태자 말체자르, 일러명=춤의 황태자 말체자르_bg10, 영문명=Malchezaar\, Prince of Dance,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악마=,
효과=매 턴마다 2번의 <b>새로고침</b>은 골드 대신 생명력을 비용으로 사용합니다. <i>(2번 남음!)</i>,
효과2=매 턴마다 4번의 <b>새로고침</b>은 골드 대신 생명력을 비용으로 사용합니다. <i>(4번 남음!)</i>,
)]
소환 : 말체자르도 파티를 좋아한다. (Malchezaar likes the party too.)
영혼 역행자와의 콤보로 한 턴에 2/4번 무료로 새로고침을 하며 자해 시너지를 노리는 좋은 카드다. 하지만 역행자 없이는 아무리 돈이 많아도 첫 새로고침에 피 소모가 강제라 사실상 역행자와의 연계가 강제되는 약간 애매한 하수인. 밀하우스라면 효과는 좋으나, 대신 역행자 없으면 체력이 2씩 닳아버린다.하지만 일단 역행자 등의 하수인과 페어로 잡았다면 상당히 강력하다. 공짜 리롤 자체가 골드 이득이기도 하거니와, 이 카드가 나올 4성 타이밍에 하술할 앨리스와 같이 잡았다면 황금 원숭이 파밍을 훨씬 싼값으로 할 수 있으며, 아키몬드와 같이 잡았다면 선술집 주문 비용 감소까지 무료로 해 준다.
비용이 0이 아닌 새로고침에만 발동하며, 만약 비용이 0인 새로고침을 할 경우에는 말체자르의 효과가 소모되지 않는다.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동굴 히드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동굴 히드라, 일러명=동굴 히드라_bg10, 영문명=Cave Hydra,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야수=,
효과=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효과2=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
전장 극초기부터 존재했던, '양옆 하수인에게도 피해를 주는 하수인'의 조상격 되는 하수인이다. 버프를 잔뜩 발라놓고 상대 필드를 쫙 그어버리면 어마어마한 교환 이득을 펼칠 수 있다. 양옆까지 피해를 주는 효과 덕분에 도발 하수인 옆에 있던 독소 하수인이나 천상의 보호막, 핵심 하수인을 공짜로 제거해주기도 한다. 전장이 처음 나올 때부터 굉장히 잠재력이 높은 하수인으로 평가받았고, 칼날 수집가나 야생불 정령 같이 비슷한 롤의 카드가 많이 나온 지금은 빛이 좀 바래긴 했어도 여전히 강력하다.
다만 버프를 못 받으면 스탯이 너무 낮기 때문에 제 역할을 못한다. 버프 효율은 끝장나게 잘 받지만 브란이든 골드린이든 날라든 뭐든 버프를 줘서 일정 스탯 이상으로 만들어놓지 않으면 성능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좋은 기물이라고 무작정 집지 말고 히드라를 키울 여력이 되거나 성장 포텐셜을 볼 수 있는지를 고려하고 그 뒤로 구매하는 것이 좋다. 특히 비슷한 롤의 칼날 수집가나 야생불 정령 등은 해적, 정령이라서 보조 수단이 널리고 널렸으나 히드라는 야수가 딱히 필드 버프와 연이 있는 종족이 아니라, 3성 딱정벌레로 공격력 +8이라도 임시로 부여하거나, 혹은 영능이나 선술집 주문 등의 다른 수단을 잘 활용해야만 잘 활용된다는 약점이 있다.
야수인 주제에 정작 야수와의 궁합은 최악이다. 전장 초기 6성 골드린의 효과가 '필드에 있는 야수만' 버프해주는 형태여서 히드라가 매우 중요했으나, 지금은 전투 중에 사실상 골드린 덱에서도 토큰을 여러 장 집어넣는 게 훨씬 나아지면서 히드라를 굳이 올릴 필요가 없어졌다.
2.6.1.2. 라일라크 메탈헤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라일라크 메탈헤드, 일러명=라일라크 메탈헤드_bg10, 영문명=Rylak Metalhead,
공격력=5, 생명력=3, 공격력2=10, 생명력2=6, 야수=,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양옆에 있는 하수인 중 하나의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양옆의 하수인들의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
죽음의 메아리로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키는 특이한 하수인. 보통 망꾼 등의 전투의 함성으로 카드를 생성하는 하수인이나, 지옥정령 등 영구적인 이득을 부여하는 하수인이 잘 쓰인다. 야수라서 환생을 바를 수 있기 때문에 2번 발동할 수 있으며, 리븐데어와 브란 둘 다 시너지를 받아 전함을 4번 발동시킬 수 있고 둘 다 있으면 8번 발동도 가능하다.
막상 야수 덱은 전함이 아무것도 없어 시너지가 없지만 멀록이나 악마 등 전함을 여러 번 발동시키면 좋은 덱들은 시너지가 매우 뛰어나고, 야수라 환생을 발라줄 수 있으며, 브란과 같이 있을 때는 죽음의 메아리 효과로 발동되는 전투의 함성도 2배이기에 오히려 다른 종족에서 야수가 밴인지 아닌지를 따져서 플랜을 짜게 만드는 괴상한 하수인이다.
주의할 점은 야생불 정령이나 전투 절단기 등으로 이 카드와 동시에 양옆의 하수인이 같이 사망할 경우, 이 효과의 '양옆'은 사망한 순간 생존해있는 하수인을 기준으로 따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대에게 히드라류 하수인이 존재한다는 걸 안다면 일부러 전함 하수인을 메탈헤드와 2칸 떨어뜨려놓거나 하는 순서 조절이 필요하다.
시즌 7에서 오랜 원성을 듣다가 마침내 너프를 당해 기본 왼쪽, 황금이 되면 좌우 하수인을 1회 발동하도록 약화되었다가, 이후 좌우 하수인 중 하나를 발동하도록 편의성이 개선되었다. (양옆이 둘 다 전함이면 랜덤으로 발동한다.) 그래도 기존 시너지는 여전해서 약하다고 말하긴 어려운편.
2.6.1.3. 온순한 수사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온순한 수사슴, 일러명=온순한 수사슴_bg10, 영문명=Gentle Stag,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야수=,
효과=내가 전투 중에 하수인을 소환할 때마다\,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야수에게 영구히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전투 중에 하수인을 소환할 때마다\,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야수에게 영구히 +4/+4를 부여합니다.,
)]
2.6.1.4. 용맹한 호랑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용맹한 호랑이, 일러명=용맹한 호랑이_bg10, 영문명=Valiant Tiger,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야수=,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야수에게 영구히 +4/+3을 부여합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야수에게 영구히 +8/+6을 부여합니다.,
)]
2.6.1.5. 청록색 거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청록색 거미, 일러명=청록색 거미_bg10, 영문명=Turquoise Skitterer,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1/+2를 얻습니다. 2/2 딱정벌레를 소환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2/+4를 얻습니다. 2/2 딱정벌레를 둘 소환합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한글명=딱정벌레, 일러명=딱정벌레-bg, 영문명=Beetle,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야수=,
효과=-,
효과2=-,
)]
딱정벌레 덱의 키 카드. 죽음의 메아리로 딱정벌레 버프를 해 주고 딱정벌레를 소환한다. 죽음의 메아리라 필드에 남으면 계속 강화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칸이 모자라 딱정벌레가 나오지 못해도 버프는 받는다. 때문에 딱정벌레 덱이라면 괴물 앵무나 매타조 전령 등으로 발동시켜야 할 1순위 하수인이다. 라일라크 옆에 숲 방랑자를 놓는 등의 연계를 제외하면, 자체 죽메만으로 딱정벌레 버프를 시키는 건 이 카드가 유일하다.
2.6.2. 태그 전장 전용
2.6.2.1. 의뭉스러운 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의뭉스러운 뱀, 일러명=의뭉스러운 뱀_bg10, 영문명=Shifty Snake,
공격력=6, 생명력=1, 공격력2=12, 생명력2=2,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원이 무작위 <b>죽음의 메아리</b> 하수인을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원이 무작위 <b>죽음의 메아리</b> 하수인을 둘 얻습니다.,
)]
그냥저냥한 팀원 파밍용 하수인. 거쳐가기 좋다.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네루비안 왕 아눕아락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네루비안 왕 아눕아락, 일러명=네루비안 왕 아눕아락_bg10, 영문명=Anub'arak\, Nerubian King,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언데드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 동안 내 언데드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i>(어디에 있든)</i>,
)]
소환: 나는 최초의 지하군주다. (I am the first crypt lord!)
죽음의 메아리로 이번 게임 내내 모든 언데드에게 공격력을 부여하는 기물. 효과는 소소해보이지만 일단 필드에 남겨두면 죽을 때마다 소소한 버프를 받을 수 있고, 미라 활성가나 리븐데어와 연계해 죽음의 메아리를 여러 번 터뜨리면 버프가 계속 누적된다. 손 없는 포세이큰, 영원의 소환사처럼 개체 수를 늘리는 하수인과 연계하면 효율이 더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토큰 형식의 언데드 덱을 운용할 수 있다.버프명은 언데드 군대[3]이다.
2.7.1.2. 아귀 주문술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아귀 주문술사, 일러명=아귀 주문술사_bg10, 영문명=Maw Caster,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언데드=,
효과=<b>전투의 함성:</b> 아군 언데드를 처치하고 언데드를 <b>발견</b>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아군 언데드를 처치하고 언데드를 둘 <b>발견</b>합니다.,
)]
2.7.2. 태그 전장 전용
2.7.2.1. 무덤 이야기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무덤 이야기꾼, 일러명=무덤 이야기꾼_bg10, 영문명=Grave Narrator,
공격력=2, 생명력=7, 공격력2=4, 생명력2=14, 언데드=,
효과=<b>복수 (3):</b> 내 팀원이 자신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족의 무작위 하수인을 얻습니다.,
효과2=<b>복수 (3):</b> 내 팀원이 자신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족의 무작위 하수인을 둘 얻습니다.,
)]
소환: 소름돋을 각오는 됐겠지?(You're in for a scare.)
골드 복사 요원으로 악명 높았던 칼날바람 둥지대모가 태그 버전으로 돌아왔다. 비록 하수인은 내가 아닌 상대가 받게 되지만 내 팀원의 종족에 맞춰서 보급하므로 황금작, 시너지 등을 볼 확률이 훨씬 높다. 원치 않는 황금작을 해 줄 가능성만 제외하면 둥지대모가 그랬듯 보조용으로 매우 쓸만하다.
2.7.2.2. 산레인 서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산레인 서기, 일러명=산레인 서기_bg10, 영문명=San'layn Scribe,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언데드=,
효과=이번 게임에서 죽은 내 팀의 산레인 서기 하나당 +4/+4를 얻습니다.<i>(어디에 있든)</i>,
효과2=이번 게임에서 죽은 내 팀의 산레인 서기 하나당 +8/+8를 얻습니다.<i>(어디에 있든)</i>,
)]
영원의 기사의 강화판 + 태그 버전. 영원의 기사와 마찬가지로 환생을 발라 필드에 내놓으면 꾸준히 키울 수 있으며, 팀원도 버프를 받을 수 있으므로 썩 나쁘지는 않지만, 영원의 소환사라는 최종 기물이 있는 영원의 기사와 달리 이 카드는 진짜 이것뿐이고, 산레인을 키우겠다고 두 팀원 모두 언데드를 간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라 그냥 필드에 내놓으면 알아서 크는 태그 전용 하수인 정도로 보는 게 편하다.
그래도 버프량이 영원의 기사의 4배나 되기 때문에 태그 기물이라는 점을 살려 한 쪽에게 성장을 몰아줘서 부실해준 다른 쪽 성장을 그냥 산레인으로 쌀먹하는 것도 괜찮다.
제한적이지만 장신구인 '반사 펜던트'나 퀘스트 보상인 '피해자 유령'을 사용할 수 있는 마린, 데나트리우스 등의 우두머리는 그냥 필드에 산레인 서기만 잔뜩 늘어놓고 매 턴마다 산레인 서기를 무한으로 복사해가며 성장하고 남는 골드는 모조리 아군의 성장을 가속하는데 쓰는 전략도 가능하다.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귀중한 고취비룡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귀중한 고취비룡, 일러명=귀중한 고취비룡_bg10, 영문명=Prized Promo-Drake,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용족=,
효과=<b>기선 제압:</b> 내 용족들에게 +3/+3을 부여합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내 용족들에게 +6/+6을 부여합니다.,
)]
중반이 약한 용족 덱을 어느 정도 보완해주는 카드. 필드에 용족이 7마리 있다면 일회성으로 +21/+21 버프를 준다. 타렉고사나 영속적인 시인과 연계할 경우 매 턴 영구 버프를 줄 수 있다. 타렉고사의 효과를 부여하는 영속적인 시인의 등장 이후, 타렉고취 덱의 중반을 책임진다. 다만 후반으로 가면 파멸의 어둠이나 성소 수호자의 버프에 비하면 버프가 굉장히 소소한 편이라 자리를 내주게 된다.
이름의 고취는 '생각이나 마음, 의욕 등이 강해지도록 하다'라는 뜻으로 의욕 고취 등의 표현으로 흔히 쓰이는 그 고취다. 원문명인 Promo-drake는 Proto-drake, 즉 원시비룡의 패러디로, "promo"는 광고용으로 쓰이는 무언가를 뜻한다. 일러스트의 사람이 연설하는 동안, 혹은 무언가를 홍보하는 동안 눈을 끌기 위해 옆에 서있는 역할인 것으로 보인다.
타렉고사와 함께 처음 나왔을 때는 기선 제압의 효과가 양옆의 하수인에게만 부여되었다가, 이후 다른 용족에게 부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 후 고취비룡 자신도 시인과의 연계를 받을 수 있게 스텟을 3/3 깎는 대신 자신도 버프를 받게 조정되었다.
버프명은 고취됨[4]이다.
2.8.1.2. 녹지 관리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녹지 관리인, 일러명=녹지 관리인_bg10, 영문명=Greenskeeper,
공격력=2, 생명력=7, 공격력2=4, 생명력2=14, 용족=,
효과=이 하수인이 공격한 후에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효과2=이 하수인이 공격한 후에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b>전투의 함성</b>을 두 번 발동시킵니다.,
)]
2.8.1.3. 영속적인 시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영속적인 시인, 일러명=영속적인 시인_bg10, 영문명=Persistent Poet,
공격력=2, 생명력=3, 공격력2=4, 생명력2=6, 용족=,
효과=<b>천상의 보호막</b>\, 양옆의 용족들이 전투 중에 얻은 강화 효과를 영구히 얻습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양옆의 용족들이 전투 중에 얻은 강화 효과를 영구히 2배로 얻습니다.,
)]
소환: 넌 이해 못 해! (You just don't understand me!)
좌우의 용족을 타렉고사로 바꿔주는 효과. 당연히 영속적인 시인이 살아있는 도중의 버프에만 반영되지만, 일단 본체에 보호막이 있어서 좌우 하수인이 아무 것도 못받고 넘어가는 일은 적다. 시인 2장이 있을 경우 시인 옆에 시인을 배치하면 시인 둘도 영구적으로 버프를 얻으므로 버프 효율도 뛰어난 편.
게다가 자체적으로는 성장이 불가능한 타렉고사와 달리, 미운 새끼용같이 자체적으로 성장하는 용족의 성장도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플러스 요소. 특히 새끼용은 고작 1성 하수인인데도 시인 옆에 있으면 알아서 쑥쑥 큰다.
2.8.2. 태그 전장 전용
2.8.2.1. 헌신적인 관광객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헌신적인 관광객, 일러명=헌신적인 관광객_bg10, 영문명=Selfless Sightseer,
공격력=5, 생명력=2, 공격력2=10, 생명력2=4, 용족=,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팀의 최대 골드가 (1) 증가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팀의 최대 골드가 (2) 증가합니다.,
)]
개사기 기물. 자신의 골드 한도는 물론이고 팀의 골드 한도까지 늘려버린다. 비슷한 롤의 석유 발견과 달리 브란과의 시너지도 받을 뿐더러 야수와 공존하는 판이라면 라일라크 + 브란 + 관광객으로 돈놀이를 한 탕 당겨버릴 수도 있고 팀원들까지 이 효과를 받는다.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바람내림 뇌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바람내림 뇌우, 일러명=바람내림 뇌우_bg10, 영문명=Windfall Tornado,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정령=,
효과=내가 이 하수인을 팔면\, 정령을 <b>발견</b>하여 그 정령에게 이 하수인의 능력치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이 하수인을 팔면\, 정령을 둘 <b>발견</b>하여 그 정령에게 이 하수인의 능력치를 부여합니다.,
)]
소환: 선택한 후에는, 돌이킬 수 없다. (After this, there is no turning back.)
삭제된 선술집 폭풍우의 전투의 함성을 팔 때로 변경하는 대신, 이 하수인의 능력치를 부여하도록 변경하여, 브란과의 시너지는 줄이되 범용성은 더 높아졌다. 정령 발견으로 필요한 정령을 발견하거나 정령을 내는 횟수를 늘리는 것은 물론이고, 노미 등으로 버프를 잔뜩 받은 이 카드를 팔아도 스텟 손해가 전혀 없다.2.9.1.2. 빛나는 잿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빛나는 잿불, 일러명=빛나는 잿불_bg10, 영문명=Glowing Cinder,
공격력=4, 생명력=2, 공격력2=8, 생명력2=4, 정령=,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정령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정령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2.9.1.3. 원기회복의 변형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원기회복의 변형물, 일러명=원기회복의 변형물_bg10, 영문명=Refreshing Anomaly,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정령=,
효과=<b>전투의 함성:</b> 비용이 (0)이 되는 <b>새로고침</b>을 2번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비용이 (0)이 되는 <b>새로고침</b>을 4번 얻습니다.,
)]
한국어 DB 텍스트에 오류가 있는데, 원문은 Gain 2(4) Refreshes that Cost (0)이다. 따라서 브란 등으로 여러 번 발동할 경우에도 새로고침이 0이 되는 횟수가 누적되지만, 한국어 번역은 새로고침 비용 누적이 안 되던 시절의 번역을 그대로 채용하느라 오류가 생겼다.
노즈도르무의 영웅 능력을 2회용으로 부여하는 정령 하수인이다. 노즈도르무와 똑같은 용도로 3턴에 2성 상점을 2번 보는 것이 1성일 때의 대표 사용처. 효과는 다음 새로고침을 하기 전까지 유지되기 때문에 골드가 남는 상황이 아니라면 0코스트가 된 새로고침은 다음 턴에 누르는 편이 좋다. 같은 이유로 쓸모없는 1골드가 남아있을 때는 미리 1골드로 리롤을 한 뒤 이 카드를 내는 편이 좋다.
변경 전에는 노즈도르무의 영웅 능력, 정령 덱의 재활용 정령 등으로 이미 새로고침의 비용이 0이 된 경우에 내면 이펙트도 나오지 않고 효과도 의미가 없어졌으나, 변경 후에는 각종 전함 시너지와의 연계로 공짜 새로고침을 많이 할 수 있게 되었다.
2.9.1.4. 유성 분쇄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유성 분쇄자, 일러명=유성 분쇄자_bg10, 영문명=Meteorite Crasher,
공격력=4, 생명력=6, 공격력2=8, 생명력2=12, 정령=,
효과=내가 정령을 판 후에\, +2/+2을 얻습니다.,
효과2=내가 정령을 판 후에\, +4/+4을 얻습니다.,
)]
2.9.1.5. 타오르는 기름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타오르는 기름불, 일러명=타오르는 기름불_bg10, 영문명=Blazing Greasefire,
공격력=6, 생명력=4, 공격력2=12, 생명력2=8, 정령=,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선술집에 있는 정령들에게 이번 게임 동안 +3/+2를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선술집에 있는 정령들에게 이번 게임 동안 +6/+4를 부여합니다.,
)]
2.9.2. 태그 전장 전용
2.9.2.1. 혈기 왕성한 민물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혈기 왕성한 민물정령, 일러명=혈기 왕성한 민물정령_bg10, 영문명=Feisty Freshwater,
공격력=6, 생명력=4, 공격력2=12, 생명력2=8, 정령=,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이 비용이 (0)이 되는 <b>새로고침</b>을 2번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이 비용이 (0)이 되는 <b>새로고침</b>을 4번 얻습니다.,
)]
한국어 DB에서는 원기회복의 변형물과 마찬가지로 오역이 있다. 실제로는 비용이 0이 되는 새로고침을 얻는 형태라 여러 번 발동하면 그만큼 0코스트 새로고침이 누적된다.
골드 가치로 환산하면 무려 4골드 이득을 주는 하수인. 먼저 4단계를 찍거나 4발을 본 이후 올려놓으면 매우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다.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견실한 인간사냥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견실한 인간사냥꾼, 일러명=견실한 인간사냥꾼_bg10, 영문명=Gritty Headhunter,
공격력=5, 생명력=3, 공격력2=10, 생명력2=6, 해적=,
효과=<b>전투의 함성:</b> 약탈자의 계약서를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약탈자의 계약서'를 둘 얻습니다.,
)]
소환: 하! 다들 모였군! (Hah, the gang's all here.)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4, 선술집=, 황금없음=,한글명=약탈자의 계약서, 일러명=약탈자의_계약서, 영문명=Marauder's Contract,
비용=2,
효과=선술집에서 무작위 해적을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
2.10.1.2. 금화 사기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금화 사기꾼, 일러명=금화 사기꾼_bg10, 영문명=Doubloon Grifter,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해적=,
효과=내가 해적을 넷 얻을 때마다\, 내 최대 골드가 1 증가합니다. <i>(4명 남음!)</i>,
효과2=내가 해적을 넷 얻을 때마다\, 내 최대 골드가 2 증가합니다. <i>(4명 남음!)</i>,
)]
소환: 낭비하느니 내가 좋은 데 쓰는 게 낫지. (Better laundered than squandered.)
APM 해적 덱의 핵심 돈줄. 해적 넷을 얻을 때마다 최대 골드가 늘어나는, 삭제된 들창코와 테시스 등의 해적 돈놀이 엔진이다. 4성으로 매우 빠른 타이밍에 얻을 수 있는 대신, 시동이 걸리기 전에는 골드가 늘어나는 속도가 은근히 느려서 생각보다는 재미를 못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일단 한 번 시동이 걸리면 증가한 최대 골드로 해적을 더 사고, 그만큼 최대 골드가 더 늘어나고 하는 선순환으로 막대한 골드 이득을 볼 수 있다.2.10.1.3. 손버릇 나쁜 불량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손버릇 나쁜 불량배, 일러명=손버릇 나쁜 불량배_bg10, 영문명=Thieving Rascal,
공격력=5, 생명력=6, 공격력2=10, 생명력2=12, 해적=,
효과=내 턴이 시작될 때 1골드를 얻습니다. 아군 황금 하수인의 수만큼 반복합니다.,
효과2=내 턴이 시작될 때 2골드를 얻습니다. 아군 황금 하수인의 수만큼 반복합니다.,
)]
2.10.1.4. 칼날 수집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칼날 수집가, 일러명=칼날 수집가_bg10, 영문명=Blade Collector,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해적=,
효과=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효과2=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
소환: 하, 넌 잘릴 거야! ()
히드라와 같은 광역 공격 하수인으로, 히드라와 대부분의 성능이 유사하나 종족이 해적이기 때문에 화약 급사와 같은 공버프를 받기 매우 편하기 때문에 상대를 난도질할 수 있다. 초반 빌드업에서도 으르렁니를 활용해 교환비를 좋게 가져가기 쉽다.공수 균형을 맞춰 키워주면 매우 강력한 기물로, 날라나 빛송곳니를 활용하는 혼합 덱이나 버프 대상에 제한이 없는 가시멧돼지 덱에서 혈석을 무지막지하게 채워주면 매우 강력한 성능을 선보인다.
히드라와 효과가 똑같은지라 별명으로 '해드라'라고 부르고 있다.
2.10.1.5. 화약 급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화약 급사, 일러명=화약 급사_bg10, 영문명=Gunpowder Courier,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해적=,
효과=내가 5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내 해적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i>(5골드 남음!)</i>,
효과2=내가 5골드를 소모할 때마다\, 내 해적들에게 공격력을 +4 부여합니다. <i>(5골드 남음!)</i>,
)]
소환: 아무튼…. 난 터뜨리기 시작했어! ()
해적 덱의 핵심 공격력 버프 카드. 5골드당 +2라 다른 효과가 없는 상태에선 +4 정도가 한계지만, 골드 수급이 뛰어난 해적 덱의 특성 상 매 턴 광역 공격력 두 자릿수도 어렵지 않다. 다만 공격력만 버프해주기 때문에 사랑앓이 발라드 가수나 우주 항해사 등으로 생명력을 보강해야만 한다.2.11. 이중 종족
2.11.1. 언데드/기계
2.11.1.1. 로봇 의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이중종족=,한글명=로봇 의수, 일러명=로봇_의수, 영문명=Prosthetic Hand,
공격력=3, 생명력=1, 공격력2=6, 생명력2=2, 기계2=, 언데드=,
효과=<b>합체</b>\, <b>환생</b>\, 기계 또는 언데드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합체</b>\, <b>환생</b>\, 기계 또는 언데드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아주 간단한 조건으로 기계나 언데드에 환생을 발라줄 수 있는 사기 기물. 환생의 중요도는 두 종족 모두에게 말할 필요가 없다. 기계는 전투로봇이나 홀로그램 방랑자 등을 다시 소환하거나, 혹은 기름 로봇 같은 천보 기물의 재활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언데드는 이 카드를 잡는 것만으로도 환생을 발라줄 수 있어 좋은 죽메 기물을 복사함은 물론 도살, 도굴꾼 등의 시너지를 손쉽게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그 외에도 기계 덱/언데드 덱을 타지 않는다 하더라도, 어찌되었건 환생을 걸어주는만큼 강력한 죽메를 가진 융합체들인 날개 달린 키메라에 발라 매 턴마다 소소한 버프를 제공하는 융합체 용병을 만든다던가, 건조성 혼종에 발라 수십 단위 스펙의 골렘을 두세 기씩 뽑는다던가 하는 방식의 활용도 가능하다. 전시 관리인 등의 우두머리라 독소가 있는 융합체를 확보한 상황이라면 환생 독소라는 막강한 기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또, 마이너하지만 죽음발망치를 기용하는 죽메 덱에서도 의수가 남는다면 하나 발라 더 안정적으로 버프를 줄 수 있도록 보호할 수 있다.
2.12. 모두
2.12.1. 태그 전장 전용
2.12.1.1. 거울 괴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거울 괴물, 일러명=거울_괴물, 영문명=Mirror Monst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모두=,
효과=내가 이 하수인을 사거나 <b>발견</b>하면\, 이 하수인을 복사하여 <b>전달</b>합니다.,
효과2=내가 이 하수인을 사거나 <b>발견</b>하면\, 이 하수인을 둘 복사하여 <b>전달</b>합니다.,
)]
소환: 성찰하고, 참회해라! (Reflect and repent!)
태그 전장용 하수인으로 발견하거나 구매하면 복사하여 내 팀원에게 전달한다. 예외적으로 사절 페이린의 영능으로 발견할 경우에는
융합체 계열이 그렇듯 종족 시너지를 모두 받기에 그냥 필드에 올려놓고 쓰다가 하나 더 나오면 파트너에게 전달받아 황금으로 만드는 운영이 좋다. 다만 4성 하수인 중 스텟이 그닥 좋지 않기에 써먹으려면 버프를 발라줘야만 한다. 다행히도 버프를 받았을 경우에도 그 버프 째로 복사하므로, 상점의 하수인이 강화된 정령, 악마 등의 덱이라면 버프도 그대로 복사된다. 따라서 노미 정령 등 상점의 거울 괴물을 키우는 덱을 굴린다면 무지막지한 버프를 받은 거울 괴물을 사서 파트너에게 넘기고 구매한 거울 괴물도 전달하면 파트너도 깡스텟을 갈 수 있다. 그렇게 받아서 강화한 필드를 날라 혼합 덱 등으로 강화하는 식으로 이득을 볼 수 있다.
자주 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황금 하수인의 효율이 극도로 뛰어난데, 황금이 된 이 하수인을 구매하면 황금 거울 괴물 2개가 내 팀원에게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황금 보상 3개를 볼 수 있다. 자주 나오는 상황은 아니지만 황금 손길이나 짝퉁 지혜의 공 등의 효과로 선술집의 거울 괴물이 황금이 될 경우 무지막지한 이득을 볼 수 있다.
2.13. 중립
2.13.1. 1인/태그 전장 겸용
2.13.1.1. 땅굴 폭파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땅굴 폭파범, 일러명=땅굴_폭파범, 영문명=Tunnel Blaster,
공격력=3, 생명력=7, 공격력2=6, 생명력2=14,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b>모든</b> 하수인에게 피해를 3 줍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b>모든</b> 하수인에게 피해를 3 줍니다. 2번 발동합니다.,
)]
소환: 중요한 일엔 특별한 폭탄 필요하다! (Important job get's special bomb!)
23.6 패치로 불안정한 구울을 대신하여 추가된 죽메로 광역 데미지를 주는 중립 하수인. 기본적으로 이전처럼 천상의 보호막을 뚫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데미지가 3으로 생각보다 강력하고, 리븐데어까지 있다면 도합 6데미지를 광역으로 뿌리기에 사마귀, 리로이, 독성 멀록처럼 저스텟 유틸 위주의 죽창 덱에게는 사신과도 같은 존재다.
특히 토큰 야수덱은 핵심 버퍼인 엄마 곰, 하얀비늘 악어가 전부 체력이 6 이하이기 때문에 별도로 버프를 준 것이 아니라면 완벽하게 카운터 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6데미지는 아군 필드에도 꽤 아프게 들어가는 수치이니만큼 6데미지 맞는 것 정도는 가볍게 무시할 수 있는 고스탯 위주의 덱에서 기용된다. 자체 피해량과 스텟이 높기 때문에 구울과 달리 그냥 쓰면서 거쳐가기에도 부담이 적고, 2성에서 랜덤한 카드를 가져오는 우두머리들도 꽝이 하나 줄어들었다.
한편, 이 하수인이 불안정한 구울을 대체하면서 실전성은 적지만 소위 엑조디아류의 죽메 덱의 난이도는 많이 낮아졌다. 이러한 덱들이 불안정한 구울을 채용하는 이유는 아군 필드에 데미지를 주어 죽메를 발동시키기 위해서인데, 구울의 기본 데미지가 워낙 저열해 황금 구울까지 맞춰야 하는 과정이 너무 험난했기 때문. 땅굴 폭파범은 넉넉하게 6데미지를 주므로 어지간한 죽메 하수인은 발동시킬 수 있어 난이도가 많이 낮아졌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예전에는 로망으로 취급받던 폭조디아 덱의 난이도가 대폭 하락하여 실전성을 띠게 되었을 정도로 강하다.
2.13.1.2. 보물 탐구자 엘리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보물 탐구자 엘리스, 일러명=보물_탐구자_엘리스, 영문명=Treasure-Seeker Elise,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효과=내가 5회 <b>새로고침</b>한 후에\, <b>황금 원숭이</b>를 찾아냅니다! <i>(5 남음!)</i>,
효과2=내가 5회 <b>새로고침</b>한 후에\, <b>황금 원숭이</b>를 둘 찾아냅니다! <i>(5 남음!)</i>,
)]
소환: 제 모험이 이제 시작되는군요. (My quest begins here.)
한글명 | 황금 원숭이 | | |||
영문명 | Golden Monkey | ||||
단계 | 1 | ||||
등급 | 기본 | ||||
종족 | - | ||||
공격력 | 6 | 생명력 | 6 | ||
효과 | 도발, (찾았다!) |
5회 새로고침할 때마다 황금 원숭이를 찾아내 밥의 선술집에 추가한다. 황금 원숭이는 항상 황금 카드로, 황금 원숭이를 냄으로써 황금 보상을 얻을 수 있다.
4단계 상점에 막 올라와서 기물을 보게 되는 7~8턴에 활용하기 매우 훌륭한 하수인이다. 이 하수인을 4단계에서 이른 타이밍에 확보했다면 적당히 4성 상점에서 리롤을 쳐가며 스택을 쌓고 필드를 강화하다가, 바로 다음 턴에 5단계 레벨 업을 하고 스택을 마저 채워 황금 원숭이를 확보하면 손쉽게 6성 하수인 발견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상황에 따라 그냥 4성에서 풀리롤을 쳐서 즉발로 5단계 발견을 해도 좋다. 막 4성 타이밍이라면 엘리스 본체의 5/5나 황금 원숭이의 6/6 도발도 나쁜 스텟은 아니다보니 그냥저냥 전투력도 된다.
다만 후반으로 가면 그냥 고레벨로 올라가서 리롤을 치는 것이 훨씬 빠르고 기물 본인이 성장할 여지가 전혀 없기에, 보통 황금 원숭이 한두 번 정도 파밍하고 버려지게 된다. 그나마 들창코 덱을 굴려서 리롤에 부담이 사라지거나, 자리에 여유가 많은 테오타르 혼합 덱을 굴리는 경우 원숭이를 통해 테오타르와 중립 하수인을 동시에 확보하는 용도로 계속 남겨두기도 한다.
'내가 새로고침'을 해야 스택이 올라가므로 이세라나 바르덴 던그래스프의 영능과는 다르게 턴이 시작될 때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새로고침은 스택으로 카운트 되지 않는다. 다만 무한의 토키나 테스 그레이메인의 영웅 능력, 4단계 나가 '미끄러운 공연가'의 주문제작 등으로 새로고침하는 것은 '내가 새로고침' 한 것에 해당하므로 스택이 올라간다.
황금 원숭이는 이 카드의 효과로 발견하는 즉시 황금 하수인으로 나오며 항상 황금카드이다. 예를 들어 라팜이나 스캡스, 테스 등의 영웅능력으로 얻었을 때도 황금 하수인이며, 록의 대장군 분의 영웅능력이나 신바람 2인조 등 카드를 복사하는 효과로 얻었을 때도 역시 황금 카드이다.[5] 그리고 이렇게 얻은 경우에도 엘리스 스타시커를 통해 직접 얻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황금 원숭이를 냄으로써 황금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신비로운 지혜의 공의 도움이 되는 새로고침과 타이밍이 겹치면 황금 원숭이를 날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변형물이 추가된 이후 제일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는데 축제 보상 변형물일시 황금 원숭이로 다크문 보상을 양산할 수 있게 되어버렸다.
2.13.1.3. 신도레이 직격 사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신도레이 직격 사수, 일러명=신도레이_직격_사수, 영문명=Sin'dorei Straight Shot,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효과=<b>질풍</b>\, <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대상의 <b>환생</b>과 <b>도발</b> 능력을 제거합니다.,
효과2=<b>질풍</b>\, <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이 공격할 때마다 대상의 <b>환생</b>과 <b>도발</b> 능력을 제거합니다.,
)]
소환: 명중이다. (Bullseye.)
질풍과 천상의 보호막 덕분에 실질적으로 하수인 둘을 저격한다. 공격력이 애매한 편이라 땅굴 폭파범이나 홍련의 나디나 같이 중요한 상대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을 죽이지도 않고 도발만 없애 상대가 의도한 전투 순서를 망칠 수 있다. 환생 역시 환생 도발을 건 골드린이나 구원자 주축의 야수 덱, 주요 하수인에 죄다 환생이 달린 언데드 덱을 상대로 유효하다.
다만 본체의 스탯은 상당히 허약하며, 도발과 환생만 제거하는 거지 하수인은 그대로 남아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리로이에게 도발을 걸어서 미끼로 활용하는 대처법도 있다.
25.4.3 패치로 언데드가 있는 게임에서만 등장하도록 패치되었지만, 26.2.2 패치로 언데드 로비 외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0.2 패치에서 삭제되었으나 해당 패치에서 복귀한 폴짝개구리와 새로 나온 고대의 전투로봇이 환생 깽판을 쳐대자 사흘만에 30.2.1 패치에서 전장으로 복귀하였다.
2.13.1.4. 타우렌 영혼방랑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타우렌 영혼방랑자, 일러명=타우렌 영혼방랑자_bg10, 영문명=Tauren Spiritwalker,
공격력=6, 생명력=5, 공격력2=12, 생명력2=10,
효과=내가 매 턴 주문 1개를 2번 시전합니다.,
효과2=내가 매 턴 주문 1개를 3번 시전합니다.,
)]
2.13.1.5. 폭죽 애호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폭죽 애호가, 일러명=폭죽_애호가, 영문명=Fireworks Fanatic,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효과=이미 보유 중인 하수인을 얻을 때마다 내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이미 보유 중인 하수인을 얻을 때마다 내 하수인들에게 +4/+4를 부여합니다.,
)]
소환: 화약이 폭발하지요! (Colorful destruction!)
같은 이름의 하수인이 이미 전장에 나와 있거나 손에 있을 때, 어떤 수단을 통해서든 하수인이 손에 추가될 때마다 발동한다. 전투 중에도 하수인을 손으로 가져오는 능력이 있고 전장이나 손의 하수인과 같은 하수인이 나온다면 일시적인 버프를 받을 수 있으며, 같은 하수인을 동시에 두 장 이상 가져오는 능력도 한 장씩 받는 것으로 취급하는지 역시 버프 한 번을 받을 수 있다. 이샤라즈의 영웅 능력, 브란의 전우 등의 "손으로 가져오고 필드에 생성하는" 능력들도 설명으로만 보면 손으로 가져오는 게 먼저인 것처럼 기술되어 있지만 역시 버프를 받을 수 있다.
같은 하수인인지만 따지므로 황금 카드를 가진 상태에서 일반 카드를 가져와도 버프를 준다. 황금 카드를 만드는 경우에도 이미 있는 하수인을 가져오는 것이므로 적용되며, 이 경우 일단 버프를 주고 황금으로 합쳐지므로 원래 필드에 있던 하수인도 버프를 받는다. 본인이 황금이 될 때도 내 필드에 올라와 있었다면 일단 버프부터 준 뒤 황금으로 합쳐진다.
보통 4단계 타이밍에는 황금을 위한 페어는 갖춰야 하지만 이미 있는 하수인은 저단계 하수인일 가능성이 높아 페어를 맞추다보면 전투력은 약해지는데, 이 때 페어를 갖추면서 전투력을 높일 수 있어 중반 안정성을 더해준다. 이미 전우가 있는 상태에서 2번째 전우 버튼을 누르면 +2/+2가 확정이므로 전우 시스템과의 궁합도 좋다.
밀하우스 마나스톰의 경우 전우인 매그너스를 활용한 날빌이# 있는데, 특정 단계의 하수인들을 종류별로 패에 쟁여둔 뒤 같은 단계 하수인을 사고 파는 것만 반복해도 매그너스의 효과로 계속 같은 단계 하수인이 상점에 공급되므로 1골드 광역 +1/+1이 가능하다. 특히 정령이 살아있다면 판다네 정령의 경우 본체와 토큰을 하나씩 패에 두고 다른 판다네를 구입하면 본체와 토큰이 효과를 한 번씩 발동시켜 공짜 +2/+2가 가능하다.
해당 예시는 1단계로만 했지만 1단계에 골드 효율이 좋은 하수인이 많기 때문에 그런 것이고 실제로 하면 어떤 단계든 가능하다. 특히 4단계의 경우 폭죽 애호가가 있는 동시에 버퍼가 대거 포진해있고 골드 이득을 주는 하수인도 2종(원시지느러미 망꾼, 사령관 드라키사스)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폭죽 애호가를 모으기 위해서 4단계로 엔진을 굴리다가 적당히 애호가가 모이면 그 때부터 1단계로 굴리는 것이 좋다.
버프명은 폭죽 발사[6]이다.
2.13.1.6. 푸른껍질 토르톨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푸른껍질 토르톨란, 일러명=푸른껍질_토르톨란, 영문명=Tortollan Blue Shell,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효과=내가 지난 전투에서 패배했으면\, 이 하수인은 판매할 때의 가격이 5골드입니다.,
효과2=내가 지난 전투에서 패배했으면\, 이 하수인은 판매할 때의 가격이 10골드입니다.,
)]
소환: 저렴한 값에 드릴게요. (I'll give you a good price.)
전 라운드 패배 시 노란색 이펙트가 뜨고, 상점에 나오면 동전이 튀는 이펙트가 나온다. 효과 자체는 선상 도박꾼의 강화판으로 사실상 전 라운드에서 졌으면 상점에서 뜰 때마다 2골드를 얻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론상으로는 무한적으로 골드를 불리는 게 가능하긴 하지만 전 턴에 패배해야 하는 조건이 달려 있어 손에 들고 있는 건 부담되며 내봤자 아무 능력 없는 바닐라라서 우연히 전턴에 패배하고 우연히 리롤 굴려서 발견하고 쓰는 경우가 많은 편.
어쨌든 효과만 누린다면 선상 도박꾼의 상위호환이라 도움은 되는 편이다. 특히 기껏 패배를 감수하고 고단계를 선점했음에도 골드를 다 털어도 필요한 하수인이 안 나오는 상황이 많은데, 이 하수인이 상점에 섞여 나오면 나올 때마다 2골드 공짜이므로 어이없이 전복당하는 경우도 어느 정도 막아준다.
2.13.1.7. 휴몽고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한글명=휴몽고스, 일러명=휴몽고스_bg10, 영문명=Humon'gozz,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효과=<b>천상의 보호막</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1/+2를 추가로 부여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2/+4를 추가로 부여합니다.,
)]
2.13.2. 태그 전장 전용
2.13.2.1. 사마귀 왕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한글명=사마귀 왕, 일러명=사마귀_왕, 영문명=Mantid King,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효과=내 팀이 <b>전달</b>한 후에\, 다음 턴까지 <b>독소</b>\, <b>도발</b>\, 또는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효과2=내 팀이 <b>전달</b>한 후에\, <b>독소</b>\, <b>도발</b>\, 또는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
소환: 그림자의 가르침이니라. (Learn the shadow lessons.)
30.6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삭제된 사마귀 여왕과 5성 나가 비수가시 난동꾼의 태그 버전으로, 전달할 때마다 독소, 도발, 천보를 얻는다. 다만 전달에는 골드가 들기 때문에 주문 시전보다도 까다로워서 날먹 기물로 쓰기는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그래도 우물 기도자 등의 기물을 구비했다면 적당히 팀도 밀어주고 일회용 독소도 얻고 해서 좋은 편이다.
일러스트와 대사는 도적의 카드 그림자 사부를 재탕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21.2패치 이전, version=422, uuid=1db4efb0-ab16-4aeb-92f6-8f6516f55157,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2=47, uuid2=5454c52d-6107-4d00-b1ef-e70870370fda,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 version3=489, uuid3=337f2cf4-7554-4fe4-af68-fd88eecd4d0f,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4=61, uuid4=68ddd75b-908c-4283-bda6-f1177e40fdde,
title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5=64, uuid5=1aadde19-2e58-4466-b84f-094f427a2b4a,
title6=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6=60, uuid6=513b1a1d-0207-4666-8794-f7e4e0adb80a,
title7=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7=65, uuid7=e4cac3a7-15cc-43f7-ab8a-503bf3aa6802,
title8=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8=70, uuid8=7ef11fe7-1b03-40e1-8771-5539f002c549,
title9=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 version9=604, uuid9=3f857878-79e1-425b-be20-afcf808fcef0,
title10=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0=81, uuid10=2d9f6404-59ab-4119-9366-ce4ad502e7fc,
title11=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1=83, uuid11=73451310-149d-4f1a-a28b-d77aa7fa0512,
title1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 version12=612, uuid12=0f0f7708-ca8c-4162-961f-7055376f926f,
title1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 version13=732, uuid13=e8ce2f7b-5f53-4be6-b46e-3ab92244c02b,
title1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4=94, uuid14=64499e02-69b6-42f8-8795-4ebc69552ad4,)]
[1] 텍스트: +2/+1(+4/+2)[2] 텍스트: 능력치 증가[3] 텍스트: 공격력 +1(+2)[4] 텍스트: 고취비룡이 능력치 부여[5] 원래는 여러 가지 버그로 인해 황금 원숭이가 일반ㅠ카드로 얻어지거나 복사가 안 되는 경우도 있었다.[6] 텍스트: +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