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
하스스톤 전장 | |||||||
우두머리 | 덱 종류 | 빌드(마나커브) |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 6단계 | 7단계 | 선술집 주문 |
특별 시스템 | |||||||
다크문 축제 경품 | 전우 | 퀘스트/보상 | |||||
변형물 | 장신구 | 태그 전장 |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 6단계 | 7단계 | 선술집 주문 |
1. 개요
전장의 카드들 중 2단계 하수인들이다.선술집에 배치된 2성 하수인 카드의 복사본은 총 15장이다.
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토큰=, 황금없음=,한글명=혈석, 일러명=혈석, 영문명=Blood Gem,
효과=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분화구 광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분화구 광부, 일러명=분화구 광부_bg10, 영문명=Crater Miner,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가시멧돼지=,
효과=<b>선택 - </b><b>혈석</b>을 2개 얻습니다. 또는 비용이 1인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얻습니다.,
효과2=<b>선택 - </b><b>혈석</b>을 4개 얻습니다. 또는 비용이 1인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둘 얻습니다.,
)]
소환: 요즘 보석 구하기 너무 힘들어! (Gems are a scarce resource these days!)
선택 키워드 지원 용도로 출시된 카드. 비용 1인 주문 중에서는 신중한 투자, 과신과 같이 골드 이득을 주는 카드도, 가시멧돼지 덱의 주요 카드 중 하나인 헬석의 날도 있지만, 바나나, 깃발, 보강과 같은 꽝카드가 많아 외면받는 선택지이다.2.1.1.2. 불빛먹보 전쟁군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불빛먹보 전쟁군주, 일러명=불빛먹보 전쟁군주_bg10, 영문명=Glowgullet Warlord,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가시멧돼지=,
효과=<b>죽음의 메아리:</b> <b>도발</b> 능력이 있는 1/1 가시멧돼지를 둘 소환합니다. 그 가시멧돼지들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b>도발</b> 능력이 있는 1/1 가시멧돼지를 둘 소환합니다. 그 가시멧돼지들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
한글명=불빛먹보 병사, 일러명=불빛먹보 병사_bg10, 영문명=Glowgullet Soldier,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가시멧돼지=,
효과=<b>도발</b>,
효과2=<b>도발</b>,
)]
2.1.1.3. 엄습하는 뻣뻣갈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엄습하는 뻣뻣갈기, 일러명=엄습하는 뻣뻣갈기_bg10, 영문명=Skulking Bristlemane,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가시멧돼지=,
효과=<b>기선 제압:</b> 양옆의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양옆의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2.1.2. 보조 하수인
2.1.2.1. 멧돼지의 예언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멧돼지의 예언자, 일러명=멧돼지의_예언자, 영문명=Prophet of the Boar,
공격력=2, 생명력=3, 공격력2=4, 생명력2=6,
효과=<b>도발</b>\, 내가 가시멧돼지를 낸 후에\, <b>혈석</b>을 얻습니다.,
효과2=<b>도발</b>\, 내가 가시멧돼지를 낸 후에\, <b>혈석</b>을 2개 얻습니다.,
)]
소환: 마음을 비우게!(Clear your mind.)
가시멧돼지 덱 초반의 혈석 보충요원. 가시멧돼지 덱은 초반에 혈석을 얻기 은근히 까다로운데, 이 카드의 존재로 부담을 비교적 덜 수 있어서 초반 가시멧돼지 덱에 안정성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대신 이 카드 자체는 가시멧돼지가 아니라는 것이 단점.
'한 턴에 한번'이라는 키워드는 이 카드를 통해 하스스톤 최초로 등장했으나, 막상 이 카드는 패치를 통해 한 턴에 한 번이 사라졌다.
일러스트와 대사는 대난투의 사제 전용 하수인 주문술사 수행원을 재활용했다.
20.2.2 패치로 공격력이 3에서 2로 감소했다가 21.3.0 패치로 롤백되었다.
24.6 패치로 공격력이 다시 2가 되었고 도발이 붙었으며, 한 턴에 한번 조건이 사라져 혈석을 한 턴에 여러 번 얻을 수 있게 되었다.
2.1.3. 태그 전장 전용
2.1.3.1. 인심 좋은 흙점쟁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 태그=,한글명=인심 좋은 흙점쟁이, 일러명=인심 좋은 흙점쟁이_bg10, 영문명=Generous Geomancer,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가시멧돼지=,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나와 내 팀원이 각각 <b>혈석</b>을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나와 내 팀원이 각각 <b>혈석</b>을 둘 얻습니다.,
)]
소환: 너도 혈석, 너도 혈석! (You get a gem, and you get a gem!)
자신과 아군 양쪽에게 혈석을 주는 카드.
팀원에게 천보 하수인이 있거나 버프 효율이 좋은 상황이라면 흙점쟁이를 하나 쟁여놓고 혈석을 계속 공급하는 것도 괜찮다. 초와 여행객이 있다면 전달용으로 혈석을 쓰는 것도 괜찮다. 다만 자체 스탯이 워낙 부실하고, 후반까지 이 하수인에게 혈석 수급을 의존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무리하게 살 필요는 없다.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고대의 전투로봇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고대의 전투로봇, 일러명=고대의 전투로봇_bg10, 영문명=Ancestral Automaton,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기계=,
효과=이번 게임에서 내가 소환한 다른 고대의 전투로봇 하나당 +2/+2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이번 게임에서 내가 소환한 다른 고대의 전투로봇 하나당 +4/+4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
30.2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사제의 2023년도 카드인 천공의 전투로봇의 패러디 기물이다.[1] 내가 이번 게임에서 소환한 다른 고대의 전투로봇 하나당 +2/+2을 얻으며, 영원의 기사처럼 지속 효과로 기본 체력에 버프를 추가로 부여받는 형태라 환생을 해도 체력 -4만 받고 버프를 유지하며 가시덤불 마녀, 우위 등으로도 저격할 수 없다.
정규에서는 전투로봇 사제가 예능 덱으로 취급받는 반면 전장에서는 매우 쓸만하다. 종족이 기계라서 안녕모듈로 천보 부여가 가능하고 4단계 하수인인 로봇 의수를 합체시켜 환생을 부여해주면 매 전투마다 버프를 보장해주는데, 앞서 말했듯 지속 버프 형태라 환생으로 나와도 스텟을 거의 온존한 채 살아난다. 5단계 하수인인 칸고르의 수습생을 사용하면 매 전투마다 2스택을 추가로 쌓아가면서 키워줄 수 있다.
그 외에 태그에서는 팀원이 둘 다 전투로봇을 갈 경우 왕큰엘크로 파트너의 전투로봇과 칸고르를 내 전투에서 소환시키는 막강한 시너지도 누릴 수 있다.
초반부터 환생을 부여할 수 있는 리치 왕, 죽이고 재소환하는 테론 고어핀드, 도발을 발라 강제 복제를 유도하는 위대한 아카잠자락 등의 영능과의 시너지가 좋다. 특히 리치 왕이나 테론은 그냥 3턴에 전투로봇 1장만 잡아도 초반 빌드 업이 끝이라고 할 정도로 강력하다. 그 외에 이샤라즈는 운이 좋아서 영능으로 튀어나올 경우 엄연히 소환한 취급이라 버프를 받고 기분 좋게 시작할 수 있다.
다만 후반으로 가면 환생, 소환 등으로 스텟을 불리는 데에 한계가 찾아오기 때문에 어느 정도 초반에 승부를 볼 필요가 있으며, 후반까지 전투로봇을 양산하는 덱을 굴린다는 건 도저히 다른 기반을 찾을 수 없어 그냥 1등을 아예 포기하고 순방만 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때문에 전투로봇 빌드업을 잘 쌓아두었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황금 전투로봇을 환생을 거의 온전하게 발동하는 굿 스터프 기물로 쓰는 것이다.
30.2.2 패치에서 추가 버프량이 '+3/+2'에서 '+2/+1'로 변경되었다.
이후 9시즌 개편과 함께 추가 버프량이 '+2/+2'로 변경되었다.
2.2.1.2. 광란하는 자동경보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광란하는 자동경보기, 일러명=광란하는 자동경보기_bg10, 영문명=Frantic Alarm-o-Bot,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기계=,
효과=<b>합체</b>\, <b>질풍</b>,
효과2=<b>합체</b>\, <b>질풍</b>,
)]
2.2.1.3. 금속 사냥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금속 사냥꾼, 일러명=금속 사냥꾼_bg10, 영문명=Metallic Hunter,
공격력=2, 생명력=1, 공격력2=4, 생명력2=2, 기계=,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뾰족한 화살을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뾰족한 화살을 둘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1, 황금없음=, 선술집=,
한글명=뾰족한 화살, 일러명=뾰족한_화살, 영문명=Pointy Arrow,
비용=1,
효과=하수인에게 공격력을 +4 부여합니다.,)]
2.2.1.4. 기계노움 해석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기계노움 해석가, 일러명=기계노움 해석가_bg10, 영문명=Mechagnome Interpreter,
공격력=2, 생명력=3, 공격력2=4, 생명력2=6, 기계=,
효과=아군 <b>합체</b> 하수인이 나오거나 <b>합체</b>할 때마다 그 하수인에게 +2/+3을 부여합니다.,
효과2=아군 <b>합체</b> 하수인이 나오거나 <b>합체</b>할 때마다 그 하수인에게 +4/+6을 부여합니다.,
)]
소환: 나는 엘프와 기계 사이의 외교 전문가지.(I specialize in elven-mech relations.)
기계 덱의 강력한 중반 하수인이다. 상당히 초반부터 합체 하수인을 집고 적은 비용으로 강한 필드를 구축할 수 있어 인기가 많다.다만, 합체 하수인을 꾸준히 얻을 수단을 마련해두지 않으면 중반에는 버프량이 보잘것없어지기 때문에 기계 패가 안 붙을 때는 빠르게 처분된다.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묘기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묘기꾼, 일러명=묘기꾼_bg10, 영문명=Thaumaturgist,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나가=,
효과=<b>주문제작:</b>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1 /+1을 부여합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i>,
효과2=<b>주문제작:</b>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2 /+2를 부여합니다. <i>(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i>,
)]
소환: 해안이 함께하기를!(May the shores be with you.)
한글명 | 묘기 | | |||
영문명 | Thaumaturgy | ||||
카드 종류 | 주문(토큰) | ||||
등급 | 기본 | ||||
속성 | 주문제작 | ||||
비용 | 0 | ||||
효과 |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 | ||||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 (이번 게임에서 내가 낸 주문 4개마다 강화됩니다!) |
시즌 9에 추가된 초중반 나가 덱의 주요 버프 요원. 6단계 나가 이전의 스텟 상승에 상당한 기여를 하나, 시즌 9에서 나가의 중반 성장 곡선은 타 종족들에 밀리는 편이라 잘 쓰이지는 않는다.
2.3.1.2. 소라 수집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소라 수집가, 일러명=소라 수집가_bg10, 영문명=Shell Collector,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나가=,
효과=<b>전투의 함성:</b> 황금 동전을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황금 동전을 2개 얻습니다.,
)]
소환: 깐 조개 껍질, 안 깐 조개 껍질. (She sells sea shell.)
무난한 1골드 하수인. 중후반엔 어스름 투사, 해일여제 아티사처럼 주문을 써야 발동하는 트리거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브란이 있다면 0골드 주문 2개가 되므로 활용 방안은 무궁무진한 기물이다.
25.6 패치에서 공격력이 3에서 2로 하향되었다.
시즌 7에서 2단계 4/3 하수인으로 변경되었다.
2.3.1.3. 용암 잠복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용암 잠복꾼, 일러명=용암 잠복꾼_bg10, 영문명=Lava Lurker,
공격력=2, 생명력=5, 공격력2=4, 생명력2=10, 나가=,
효과=매 턴마다 이 하수인에게 시전하는 첫 <b>주문제작</b>의 효과가 영구히 유지됩니다.,
효과2=매 턴마다 이 하수인에게 시전하는 첫 2개의 <b>주문제작</b>의 효과가 영구히 유지됩니다.,
)]
소환: 나와 용암이 함께 흐른다! (The lava flows, and I flow with it!)
나가 덱의 초반 빌드업을 돕는 기물. 초중반엔 스탯 버프, 후반으로 갈수록 천상의 보호막 같은 고급 버프를 걸어 뛰어난 전투 요원으로 활약할 수 있다. 보통 위의 산호초 악절 연주가와 조합해 초반에 자동성장을 하는 데 쓰고, 후반까지 쓴다면 딥 블루 저음 가수를 활용하는 덱에서 초반에 버프를 영구 고정하는 용도로 쓴다. 심해 낚시꾼이 부여하는 도발도 영구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낚시꾼과의 조합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6성 하수인 '황금총 그레타'(주문제작으로 아군 나가를 이번 턴에만 황금으로 만듦)가 존재하던 시절엔 황금작도 어렵지 않았으나 삭제되었다.
원래 효과는 '첫 주문제작 주문의 효과를 영구히 얻습니다'였다가 27.2 패치로 '영구히 유지됩니다'로 변경되어 원한 서린 증오갈퀴나 앙심의 실리바즈 같이 주문제작 주문이 하수인에게 효과를 남기지 않는 경우 용암 잠복꾼의 능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23.2.2 패치로 2/5에서 2/4로 너프되었다가 24.2.2 패치로 다시 2/5로 롤백되었다.
2.3.1.4. 정열적인 연주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정열적인 연주가, 일러명=정열적인 연주가_bg10, 영문명=Zesty Shaker,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나가=,
효과=한 턴에 한 번\, 이 하수인에게 <b>주문제작</b> 주문을 시전하면\, 그 주문을 복사하여 얻습니다.,
효과2=한 턴에 한 번\, 이 하수인에게 <b>주문제작</b> 주문을 시전하면\, 그 주문을 둘 복사하여 얻습니다.,
)]
소환: 계속 흔들어! (Just keep shaking!)
자체적으로 주문제작을 가져오지는 않지만, 이 하수인에게 주문을 시전하면 그 주문을 복사해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6단계 하수인인 해일여제 아티사에 의존하던 나가덱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준 하수인이다.핵심적인 팁으로 이 카드의 효과는 상점에 있는 이 카드에도 적용된다. 이 카드의 페어를 잡은 상태에서 이 카드의 황금이 맞춰진다면 상점의 이 카드에 먼저 바른 뒤 사서 황금으로 만들면 발동 조건이 초기화되므로 1턴에 주문제작을 5번을 복사할 수 있으며, 껍질정령을 활용하는 덱인데 이게 상점에 나온다면 여기다 살짝 써주면서 보너스를 얻을 수도 있다.
30.2 패치에서 주문제작 주문만을 복사해 주던 것을 어떤 주문이던 복사해 주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대지모신의 눈으로 황금을 만들면 정열적인 연주자가 황금이 되고 대지모신의 눈이 즉시 환급되어 대지모신 한 장으로 필드를 황금 나가로 싹 도배하며 블루스를 불리는 해괴한 덱이 완성되었다.예시 결국 핫픽스로 덱의 엔진 중 하나인 껍질정령이 금지당했으며, 30.2.2 패치에서 다시 주문제작 주문만을 복사하도록 변경되었다.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목마른 방랑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목마른 방랑자, 일러명=목마른 방랑자_bg10, 영문명=Parched Wanderer,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멀록에게 +2/+3과 <b>도발</b>을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멀록에게 +4/+6과 <b>도발</b>을 부여합니다.,
)]
30.6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2.4.1.2. 성난비늘 비가 시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성난비늘 비가 시인, 일러명=성난비늘 비가 시인_bg10, 영문명=Grimscale Elegist,
공격력=2, 생명력=1, 공격력2=4, 생명력2=2, 멀록=,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아군 하수인과 내 손에 있는 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아군 하수인과 내 손에 있는 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2.4.1.3. 옳챙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옳챙이, 일러명=옳챙이_bg10, 영문명=Tad,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멀록=,
효과=이 하수인을 팔면\, 무작위 멀록을 얻습니다.,
효과2=이 하수인을 팔면\, 무작위 멀록을 둘 얻습니다.,
)]
22.6 패치에서 추가된 하수인.
실질적으로 1골드로 멀록 2장을 낸다. 초반엔 늪지습격멀록, 소금비늘 우두머리로 소소한 이득을 볼 수 있으며, 후반에는 고단계 멀록 하수인을 물어다줄 수 있어서 유사 망꾼 역할을 할 수 있다. 판매한 후 새로운 멀록을 가져오는데 이 과정에서 강제로 황금이 맞춰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이 하수인의 추가로 이론상 무한생성이 가능해졌다. 기존의 망꾼으로는 망꾼을 발견할 수 없었지만 이 카드는 발견할 수 있는데, 이 카드로 망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망꾼으로 망꾼을 찾는게 가능해졌다. 물론 망꾼에서 옳챙이를 찾고, 옳챙이에서 망꾼을 찾을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어쩌다 한번 되는 정도.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불순한 잡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불순한 잡념, 일러명=불순한 잡념_bg10, 영문명=Mind Muck,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악마=,
효과=<b>전투의 함성:</b> 아군 악마를 선택합니다. 그 악마가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습니다.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아군 악마를 선택합니다. 그 악마가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을 잡아먹습니다. 그 하수인의 능력치를 2배로 얻습니다.,
)]
소환: 뇌다! (Bra-ins!)
24.2 패치로 추가되었다.
필드에 악마가 있는 게 아닌 한 초반에 집기는 다소 애매한 기물이지만, 필드에 눌러앉힐 악마 기물이 있는 상황이라면 구매할 가치가 있다. 악마 덱에서 보기 드문 단일 대상 지정 버프 요원이라는 건 차별점이다.
브란과 함께 사용하면 하수인 둘을 잡아먹는다.
버프명은 불순한 잡념에 빠짐[2]이다.
2.5.1.2. 영혼 역행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영혼 역행자, 일러명=영혼 역행자_bg10, 영문명=Soul Rewinder,
공격력=4, 생명력=1, 공격력2=8, 생명력2=2, 악마=,
효과=내 영웅이 피해를 받은 후에\, 그 피해를 되돌리고 이 하수인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내 영웅이 피해를 받은 후에\, 그 피해를 되돌리고 이 하수인에게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
말가니스와 카트라나티르의 계보를 잇는 영웅 피해 면역 하수인. 저 둘과는 달리 '되돌린다'이기 때문에 방어도 / 체력 중 뭐가 까이든 되돌리고 최대 체력을 넘는 피해도 되돌리며, 엄연히 피해를 받았다 되돌리는 판정이므로 '내 영웅이 피해를 받았을 경우' 카드들과의 시너지도 적용된다. 2장 있어도 되돌리는 생명력은 같으며 생명력은 두 하수인 모두 정상적으로 얻는다.
악마 덱이 자해를 통해 덱이 성장하는 것으로 컨셉이 정해진 이후 추가된 하수인이라 앞의 둘보다 중요도가 훨씬 큰데, 명인과의 시너지는 말할 것도 없고 성급한 발굴을 무료로 구매해 골드 이득을 보거나, 말체자르, 티콘드리우스 등 자해를 트리거로 이득을 보는 기물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에 자해 덱을 가려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자해 트리거가 워낙 많은데다 필드에 눌러앉는 성장형 기물이라 후반으로 가면 생명력이 무지막지한 수준으로 올라가는 모습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다만 후반으로 가면 생명력 +1 따위는 거의 티도 안 나기 때문에, 비슷하게 피해 면역이 되지만 선술집 주문 감소까지 붙은 아키몬드에게 자리를 넘겨주는 경우가 많다.
2.5.1.3. 충동적인 마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충동적인 마귀, 일러명=충동적인 마귀_bg10, 영문명=Impulsive Trickster,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악마=,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다른 아군 하수인에게 이 하수인의 최대 생명력을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다른 아군 하수인에게 이 하수인의 최대 생명력을 부여합니다. 2번 발동합니다.,
)]
소환: 오호라! (Well, well, well!)
삭제된 악독한 시종의 생명력 버전 하수인. 그래서 종시라고 부르는
'최대' 생명력을 넘겨주기 때문에 이 하수인에게 버프를 부여하면 버프받은 만큼의 생명력을 그대로 넘겨준다. 버프만 잘 받으면 효율이 꽤 좋은 편. 대신 반대로 이 하수인만 막대하게 큰 경우 버프를 줄 만한 하수인이 다 죽어버린 뒤에야 버프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고, 중반 이후의 악마 덱에서 이 하수인이 제공하는 버프 이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악마들이 많아 게임 후반으로 갈수록 존재감은 그렇게 크지 않다.
하지만 예능의 영역으로 넘어가면 상황이 좀 다른데, 자신의 최대 생명력을 참조해 생명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괴물 앵무, 리븐데어와 연계해 이 하수인들끼리 버프를 서로 주고받으면 기상천외한 생명력을 뽑아낼 수 있다. 그 와중에 공격력은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분명 공격력은 2~5인데 생명력이 100만 단위를 넘어가는 기괴한 장면을 볼 수 있고, 아예 전투 중 버프를 영구적으로 받는 타렉고사를 이용해 타렉고사에게 막대한 생명력을 줘서 정신나간 스탯의 타렉고사를 뽑는 덱이 생겼다. 당연하지만 전투 스킵을 위한 재접컨은 필수. 볼진 앵무리븐 하체올인덱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굶주린 무쇠턱거북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굶주린 무쇠턱거북, 일러명=굶주린 무쇠턱거북_bg10, 영문명=Hungry Snapjaw,
공격력=4, 생명력=2, 공격력2=8, 생명력2=4, 야수=,
효과=아군 야수가 죽은 후 영구히 생명력을 +1 얻습니다.,
효과2=아군 야수가 죽은 후 영구히 생명력을 +2 얻습니다.,
)]
기본 생명력은 낮지만 토큰 주축의 야수 덱에서는 충분히 채용할 만한 기물. 마나호랑이, 하수도 쥐 같은 다채로운 토큰 하수인과 조합하면 성장이 제법 빠르게 이뤄진다. 대신 공격력 버프는 없고, 이 하수인이 토큰을 소환하지는 않기 때문에 골드린, 딱정벌레 등과 연계하는 최후반의 토큰 야수 덱에서 입지는 애매하다.
2.6.1.2. 뾰족니 덥썩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뾰족니 덥썩이, 일러명=뾰족니 덥썩이_bg10, 영문명=Sharptooth Snapper,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야수=,
효과=전투 중에 전장에 공간이 생기면 3/1 야수를 소환합니다. 그 야수가 즉시 공격합니다.,
효과2=전투 중에 전장에 공간이 생기면 3/1 야수를 둘 소환합니다. 그 야수가 즉시 공격합니다.,
)]
2.6.1.3. 숲 방랑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숲 방랑자, 일러명=숲 방랑자_bg10, 영문명=Forest Rover,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야수=,
효과=<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1/+1을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2/2 딱정벌레를 소환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내 딱정벌레들이 +2/+2을 얻습니다. <b>죽음의 메아리:</b> 2/2 딱정벌레를 소환합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1=,
한글명=딱정벌레, 일러명=딱정벌레-bg, 영문명=Beetle,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야수=,
효과=-,
효과2=-,
)]
2.6.1.4. 지저귀는 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지저귀는 새, 일러명=지저귀는 새_bg10, 영문명=Humming Bird,
공격력=1, 생명력=4, 공격력2=2, 생명력2=8, 야수=,
효과=<b>기선 제압:</b> 이번 전투가 끝날 때까지 내 야수들이 공격력을 +1 얻습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이번 전투가 끝날 때까지 내 야수들이 공격력을 +2 얻습니다.,
)]
초반 야수 토큰들의 부족한 피해량을 보강하는 기물. 특히 토큰에 공격력이 아예 없는 마나호랑이와의 궁합이 매우 좋다. 후반으로 갈수록 버프량이 미미한 수준이라 빠지게 되지만, 초반에 빈약한 야수들의 스텟을 보강하기에는 훌륭하다.
원래는 지속 효과였으나 30.6 패치에서 효과가 이번 전투에서 적용되는 기선 제압으로 변경되었다.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네루비안 죽음거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네루비안 죽음거미, 일러명=네루비안 죽음거미_bg10, 영문명=Nerubian Deathswarmer,
공격력=1, 생명력=4, 공격력2=2, 생명력2=8, 언데드=,
효과=<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내 언데드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b>전투의 함성:</b> 이번 게임 동안 내 언데드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i>(어디에 있든)</i>,
)]
소환: 여긴 파리 금지 구역이다. (This is a no fly zone.)[3]
자신도 언데드라 실질적인 스탯은 2/4이다. 버프량은 소소하지만, 이미 필드에 있던 언데드에도, 환생이나 죽음의 메아리로 소환되는 토큰 언데드들에게도 전투력 버프가 들어가 소소한 이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후반으로 가면 아눕아락, 시초자의 용사 등 훨씬 폭발적인 버프를 제공하는 언데드 기물이 많아서 그 쪽이 주축이 되며, 브란 브론즈비어드와 연계하거나 라일라크로 계속 우려먹는 게 아닌 이상 초반 토큰 언데드의 전투력을 보강하는 용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버프명은 언데드 군대[4]이다.
2.7.1.2. 영원의 기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영원의 기사, 일러명=영원의 기사_bg10, 영문명=Eternal Knight,
공격력=5, 생명력=1, 공격력2=10, 생명력2=2, 언데드=,
효과=이번 게임에서 죽은 아군 영원의 기사 하나당 +1/+1을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효과2=이번 게임에서 죽은 아군 영원의 기사 하나당 +2/+2를 얻습니다. <i>(어디에 있든)</i>,
)]
기본 스탯은 1성급이지만 전체 게임에서 영원의 기사가 죽을 때마다 버프를 얻는다. 오히려 애매하게 분배가 된 것이 아닌 공격력에만 집중되어서 체력 4이하라면 2성 기물과 동귀어진 할 수 있으며 가만히 필드에 올려둬도 알아서 성장하며, 추후에 구매할 다른 영원의 기사 역시 버프를 받은 상태가 된다. 자체적인 버프라 환생을 걸어 부활하더라도 일단 체력 1로 부활한 뒤 생명력 버프를 받아 환생과의 시너지도 훌륭하다. 자연스럽게 영웅 능력으로 환생을 거는 리치 왕과의 시너지는 훌륭하다.
6단계에 죽음의 메아리로 영원의 기사를 소환하는 영원의 소환사가 있어서 이 하수인을 주축으로 운영하는 언데드 덱을 만들 수 있다. 영원의 소환사에게도 환생이 달려 있어 영혼분리자로 영원의 기사에게 환생을 걸어주면 더 높은 스탯의 영원의 기사를 양산할 수 있다.
버프는 영원의 기사가 죽을 때 새로 갱신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6장의 영원의 기사가 죽어 11/7이 된 영원의 기사에 우서를 발라 15/15로 만들면 그 순간에는 15/15로 고정되지만, 다음 전투에서 영원의 기사가 죽어 스택이 하나 더 쌓이면 상점 단계에서 22/22가 된다.
버프명은 영원의 군단[5]이다.
2.7.1.3. 진홍빛 해골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진홍빛 해골, 일러명=진홍빛 해골_bg10, 영문명=Scarlet Skull,
공격력=2, 생명력=1, 공격력2=4, 생명력2=2, 언데드=,
효과=<b>환생</b>\, <b>죽음의 메아리:</b> 아군 언데드에게 +1/+2를 부여합니다.,
효과2=<b>환생</b>\, <b>죽음의 메아리:</b> 아군 언데드에게 +2/+4를 부여합니다.,
)]
소환: 넬쥴님 만세! (Hail Ner'zhul!)
환생 덕분에 버프량은 2단계에서 훌륭한 편에 속하지만, 허약한 스탯의 하수인이 죽음의 메아리를 2번 터뜨려야 하므로 전투 효율은 다소 떨어진다. 대신 언데드 덱이라면 저 버프량은 초반 필드 싸움에서 큰 도움이 되며, 중후반에 데스위스퍼 같이 환생 시너지를 필요로 하는 순간에 급하게 활용할 수 있다.
30.6 패치에서 삭제되었다.
9시즌에 복귀했다.
버프명은 진홍빛 공포[6]이다.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무망용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무망용, 일러명=무망용_bg10, 영문명=Low-Flier,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용족=,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이 하수인보다 공격력이 낮은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이 하수인보다 공격력이 낮은 내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소환: 마음이 차분해지는 선율이야. (Such soothing beats.)
초반 필드 강화에 어느 정도 보탬이 되는 하수인. 무망용의 공격력이 기준이 되기 때문에 무망용에게 버프를 주면 공격력이 상승하는 하수인의 폭이 넓어진다. 다만 무망용 자체의 스탯이 그리 좋은 편도 아니고, 버프 수치도 심심해서 다채로운 버프로 무망용을 강화시킨 게 아닌 이상 후반까지 끌고 가기는 어렵다.
만약 공격력 버프를 왕창 걸어준 상태에서 새끼용 밀수꾼과 조합한다면 이전의 황천의 비룡+새끼용 밀수꾼 조합처럼 턴 끝날 때마다 모든 용족에게 +1/+1 버프를 주게 되어 초중반 필드를 매우 튼튼하게 강화할 수 있다.
원래 버프량이 공격력 +2였는데, 이 때는 무망용 둘을 필드에 깔고 공격력을 엇갈리게 만들면 초중반을 든든하게 가져갈 수 있었기 때문에 공격력 +1로 너프되었다.
2.8.1.2. 천 번째 종이비룡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천 번째 종이비룡, 일러명=천 번째 종이비룡_bg10, 영문명=Thousandth Paper Drake,
공격력=2, 생명력=3, 공격력2=4, 생명력2=6, 용족=,
효과=<b>기선 제압:</b> 가장 왼쪽에 있는 내 용족에게 +1/+2와 <b>질풍</b>을 부여합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가장 왼쪽에 있는 내 용족에게 +2/+4와 <b>질풍</b>을 부여합니다.,
)]
가장 왼쪽의 용족에게 질풍을 부여한다. 영속적인 시인이나 타렉고사를 채용해서 질풍을 바를 수 있다. 가장 왼쪽에 있기만 하면 자기 자신에게도 버프 부여가 가능하다. 용족 덱일 경우 작정하고 모든 기물에 질풍을 다는 것도 가능하다.
모티브는 센바즈루(천 마리 종이학).
2.8.2. 보조 하수인
2.8.2.1. 새끼용 밀수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새끼용 밀수꾼, 일러명=새끼용_밀수꾼, 영문명=Whelp Smuggler,
공격력=2, 생명력=5, 공격력2=4, 생명력2=10,
효과=아군 용족이 공격력을 얻을 때마다\, 그 용족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아군 용족이 공격력을 얻을 때마다\, 그 용족에게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
소환: 허가증 있어요! (I got my permits!)
어떤 방식으로든 공격력이 증가하면 추가로 생명력을 부여한다. 공격력과 생명력을 함께 부여하는 +n/+n 형식의 버프도 어쨌든 공격력을 얻는 것이므로 효과가 발동하며, 볼진의 영웅 능력으로 공격력이 높은 하수인과 능력치를 교체해도 효과가 발동한다. 뾰족작곡가처럼 전투 중 일시적으로 공격력이 증가했을 때도 생명력을 부여하지만 전투 후 영구적으로 유지되지는 않는다. 대신 상점 단계에서 일시적인 버프를 받은 경우엔 생명력이 유지된다.중반 용족 하수인들은 공격력 버프만 받는 경우가 많아 균형 잡힌 성장을 원한다면 중반까지 채용할 수도 있겠지만, 생명력 버프량이 너무 미미하고 본인은 용족이 아닌데다 용족 덱의 후반 성장은 칼렉고스가 담당하기 때문에 초반 이후의 포지션은 애매하다.
버프 효과를 2배로 받는 황금 타렉고사는 같은 버프를 추가로 1회 더 받는 판정이라 생명력도 2번 얻는다.
이후 용족 덱의 아이덴티티가 전투의 함성에서 기선제압 특화로 돌아옴에 따라 지위가 크게 낮아졌다. 이전에 황혼의 사절이나 황혼의 비룡이 있을때와는 달리 초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버프를 주기 힘들어졌다는 것이 흠.
버프명은 장한 새끼용[7]이다.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파지직거리는 회오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파지직거리는 회오리, 일러명=파지직거리는 회오리_bg10, 영문명=Crackling Cyclone,
공격력=5, 생명력=1, 공격력2=10, 생명력2=2, 정령=,
효과=<b>천상의 보호막</b>\, <b>질풍</b>,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b>질풍</b>,
)]
정령 덱의 메인 딜러. 단독으로 천상의 보호막을 달고 있으며, 공격적인 스탯 분배와 질풍 덕분에 보통 후반까지 함께 가는 버프 요원이다. 어지간한 정령 덱은 막대한 스탯의 이 카드가 선봉장을 맡는다.
다른 천상의 보호막 하수인처럼 용병으로 사용하기도 좋은 하수인으로, 덱이 결정되기 전 잠깐 전투력을 위해 활용할 수도 있고 황후 기계나 돌 록 정령 등 공버프를 주기 우수한 덱으로 전환한 뒤에도 정령 종족값의 딜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30.4.3 패치에서 기본 스탯이 '4/1'에서 '5/1'로 변경되었다.
2.9.1.2. 파티의 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파티의 정령, 일러명=파티의 정령_bg10, 영문명=Party Elemental,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정령=,
효과=내가 정령을 낸 후에\, 그 정령을 제외한 아군 정령에게 +2/+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정령을 낸 후에\, 그 정령을 제외한 아군 정령에게 +2/+1를 부여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
본래 선술집 난투 차원문 파티의 전용 카드 파티 차원문을 통해 소환되는 하수인이였다. 본래 능력은 차원문을 통해 소환되면 2마리가 복제되어 소환되는 효과였다.
빠르게 구입하면 판다네 정령, 녹아내린 바위와 연계해 중반을 버틸 만한 버프를 부여해준다. 낸 정령에는 버프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스텟 누수도 막을 수 있다.
버프명은 파티 타임[8]이다.
2.9.1.3. 판다네 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판다네 정령, 일러명=판다네 정령_bg10, 영문명=Sellemental,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정령=,
효과=이 하수인을 팔면\, 3/3 정령을 얻습니다.,
효과2=이 하수인을 팔면\, 3/3 정령을 둘 얻습니다.,
)]
소환: 물 한 잔 마실래?(Need a drink?)
한글명 | 물방울 | | |||
영문명 | Water Droplet | ||||
단계 | 1 | ||||
등급 | 기본 | ||||
종족 | 정령 | ||||
공격력 | 3(6) | 생명력 | 3(6) | ||
효과 (황금) | - | ||||
- |
간접적으로 1골드 이득을 제공하는 토큰 하수인. 대신 전투의 함성이 아니라 두억시니, 브란 브론즈비어드 등과 연계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순수 정령 덱에서는 정령을 낼 때의 시너지 + 정령을 팔 때 생기는 시너지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우수한 서포터로 활용된다.
토큰인 물방울 역시 황금으로 만들 수 있다. 판다네 정령 3장이 모여도 본체를 팔아 물방울로 만든 뒤 원하는 타이밍에 나머지 판다네를 팔아 황금을 맞춰 황금 보상을 얻는 타이밍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큰 장점. 가장 이상적인 상황은 판다네 정령 2장 + 물방울 1장을 갖고 있을 때 판다네 정령을 하나 더 사서 판다네 정령 황금 + 물방울 황금으로 황금 보상 2장을 얻는 것이겠지만, 이를 위해서는 판다네 정령 4장이 필요하므로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하수인의 이름은 판매(Sell)와 정령(elemental)을 활용한 언어유희. 한글명은 일러스트가 물의 판다렌 정령이라는 것을 이용해 적절하게 번역했다. 일러스트는 대난투 모험모드의 드루이드 전용 카드인 물의 영혼을 그대로 가져왔다.
2.9.2. 태그 전장 전용
2.9.2.1. 휘몰아치는 폭풍술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 태그=,한글명=휘몰아치는 폭풍술사, 일러명=휘몰아치는 폭풍술사_bg10, 영문명=Gathering Stormer,
공격력=5, 생명력=1, 공격력2=10, 생명력2=2, 정령=,
효과=이 하수인을 팔면\, 내 팀원이 1골드를 얻습니다. <i>(매 턴마다 강화됩니다!)</i>,
효과2=이 하수인을 팔면\, 내 팀원이 2골드를 얻습니다. <i>(매 턴마다 강화됩니다!)</i>,
)]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선상 도박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선상 도박꾼, 일러명=선상 도박꾼_bg10, 영문명=Freedealing Gambler,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해적=,
효과=이 하수인은 판매할 때의 가격이 3골드입니다.,
효과2=이 하수인은 판매할 때의 가격이 6골드입니다.,
)]
소환: 하하! 행운의 여신은 내 편이라고!(The odds are in my favor!)
언제든지 3골드로 환급 가능한 3/3 하수인. 스탯이 살짝 부실하긴 하지만 어쨌든 필드 싸움은 되는 수준이라 초반엔 전투 요원으로 쓰다가 중간에 이것보다 더 좋은 기물이 나왔거나 레벨 업 타이밍을 당기고 싶을 때 3골드로 팔아치울 수 있고, 후반엔 골드가 남을 때 비축해두기 위한 저금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밀하우스는 구입 후 판매만으로 1골드 이득이고, 마이에브나 자이렐라 등은 영웅 능력으로 골드를 늘릴 수 있으며, 패치스는 공짜로 영웅 능력의 비용을 1 낮춘다. 해적 덱에서도 골드 소모를 요구하는 화약 급사와 테시스 효과 발동에 최고다. 밴클리프나 플러글처럼 하수인 구매 및 판매가 영웅 능력으로 이어지는 우두머리와의 효율도 좋다. 긴 활용 방법에서 알 수 있듯 온갖 방법으로 골드 사기를 칠 수 있는 기물.
상점을 얼려둘 때 이 하수인이 있다면 사고 팔자. 한 자리를 비워두면 한 자리만큼 리롤을 더 볼 수 있다.
25.6 패치 이후 황금 하수인을 판매해도 6골드 대신 3골드만 돌려주는 버그가 발생했다. 이후 25.6.1 패치에서 수정되었으나, 26.0 패치에서 같은 버그가 다시 발생했다.
2.10.1.2. 일등항해사 핍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일등항해사 핍, 일러명=일등항해사 핍_bg10, 영문명=First Mate Pip,
공격력=5, 생명력=2, 공격력2=10, 생명력2=4, 해적=,
효과=이 일반 하수인을 2장 모으면 황금 하수인으로 합쳐집니다.,
효과2=<i>(이 일반 하수인이 2장 모여서 황금 하수인으로 합쳐졌습니다.)</i>,
)]
소환: 대체 무슨 일이야? (What's going on out here?)
스탯이 2단계 표준이라 크게 부담이 없고, 2장이 모이면 바로 합쳐지기 때문에 초반 상점에 따라 구매할 가치가 충분하다.
2.10.1.3. 파도 타는 실바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파도 타는 실바르, 일러명=파도 타는 실바르_bg10, 영문명=Surfing Sylvar,
공격력=1, 생명력=3, 공격력2=2, 생명력2=6, 해적=,
효과=내 턴이 끝날 때\, 양옆의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아군 황금 하수인의 수만큼 반복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양옆의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아군 황금 하수인의 수만큼 반복합니다.,
)]
2.11. 이중 종족
2.11.1. 멀록/용족 하수인
2.11.1.1. 불태우는 하늘지느러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 이중종족=,한글명=불태우는 하늘지느러미, 일러명=불태우는 하늘지느러미_bg10, 영문명=Blazing Skyfin,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멀록=, 용족2=,
효과=내 <b>전투의 함성</b> 능력이 발동한 후에\, +1/+1을 얻습니다.,
효과2=내 <b>전투의 함성</b> 능력이 발동한 후에\, +2/+2를 얻습니다.,
)]
브란을 주축으로 전투의 함성 버프 및 발견을 하는 멀록, 칼렉고스를 주축으로 필드를 성장시키는 용족 양 쪽 모두에서 고려할 만한 하수인이다. 칼렉과 마찬가지로 전함이 발동했을 때 성장하므로 브란으로 2번 발동하면 2번 성장하며, 전함을 격발시키는 것으로도 성장한다.
초반에 구매해 눌러앉히면서 성장시키는 것을 염두에 둔 하수인으로, 본인만 성장한다는 점에서 칼렉고스의 하위호환 격이지만 낮은 단계라 초반에 많이 확보하고 황금을 맞춰 빠르게 성장하는 포텐을 갖고 있다. 종족이 2개라 혼합 덱에서도 손쉽게 성장시킬 수 있으며, 멀록이기 때문에 독소 버프를 받을 수도 있다.
버프명은 찬란한 영광[9]이다.
2.12. 중립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수액덩어리 검투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수액덩어리 검투사, 일러명=수액덩어리_검투사, 영문명=Oozeling Gladiator,
공격력=2, 생명력=2, 공격력2=4, 생명력2=4,
효과=<b>전투의 함성:</b> +1/+1과 <b>도발</b>을 부여하는 끈적한 방패를 둘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1/+1과 <b>도발</b>을 부여하는 끈적한 방패를 넷 얻습니다.,
)]
한글명 | 끈적한 방패 | | |||
영문명 | Slimy Shield | ||||
카드 종류 | 주문(토큰) | ||||
등급 | 기본 | ||||
속성 | - | ||||
비용 | 0 | ||||
효과 | 하수인에게 +1/+1과 도발을 부여합니다. |
아르거스를 연상시키는 하수인으로, 혼자서 내 하수인 둘에게 소소한 스탯 버프 및 도발을 부여한다. 도발을 부여하는 타이밍을 두 번이나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수 창출 능력은 매우 뛰어난 하수인이다. 2성 타이밍에도 2/2 + 2/2 버퍼로 생각하면 스텟은 그럭저럭 합격이고, 후반 싸움에서 도발이 필요할 때, 또는 다량의 주문의 시전 또는 패에 카드를 넣는 행위가 필요할 때 간편하게 주문 2개를 얻을 수 있어 애용된다.
2.12.1.2. 용감한 식물학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용감한 식물학자, 일러명=용감한 식물학자_bg10, 영문명=Intrepid Botanist,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효과=<b>선택 - </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1\, 또는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b>선택 - </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2\, 또는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
2.12.1.3. 침착한 정찰병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침착한 정찰병, 일러명=침착한_정찰병, 영문명=Patient Scout,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효과=이 하수인을 팔면\, 1단계 하수인을 <b>발견</b>합니다. <i>(매 턴마다 강화됩니다!)</i>,
효과2=이 하수인을 팔면\, 1단계 하수인을 <b>발견</b>합니다. <i>(매 턴마다 강화됩니다!)</i>,
)]
소환: 최선을 다해볼게요. (I'll do what I can.)
24.6 패치로 추가되었다. 일러스트와 대사의 원본 카드는 공포의 무덤의 핀리의 보물 카드 중 하나인 수습 정찰대원.
2단계 1/1이라는 최악의 스탯을 자랑하지만 판매하면 하수인을 발견하는 유사 토큰 하수인. 내 필드에 내놓은 상태라면 턴이 끝날 때마다 발견할 수 있는 선술집 단계가 상승한다는 특징이 있어서 3턴에 칼같이 확보해 필드에 눌러앉히면 7~8턴에 5~6단계 하수인을 발견하는, 유사 갈라크론드로 활용할 수 있다. 대신 심하게 부실한 스탯의 이 하수인을 계속 필드에 깔아야 한다는 뜻이니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전략이다.
굳이 필드에 눌러앉힐 것 없이 사자마자 바로 팔아도 2골드로 1단계 하수인을 발견하는 셈이니, 1단계 페어를 맞추거나, 골드 소모, 하수인 구매, 카드 가져오기 등 다양한 퀘스트나 조건 클리어에 소소한 도움을 준다.
황금 카드로 합쳐질 경우 둘 중 더 높은 단계를 가진 하수인의 단계를 유지한 채 황금 하수인이 된다. 퀘스트 보상인 황금 망치의 효과로 황금이 될 때도 단계가 유지된다. 단 황금 망치로 황금으로 만든 뒤 다시 일반으로 풀릴 때는 단계가 초기화되므로 받자마자 팔아버리는 것이 좋다.
2.12.1.4. 헌신적인 영웅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한글명=헌신적인 영웅, 일러명=헌신적인 영웅_bg10, 영문명=Selfless Hero,
공격력=2, 생명력=1, 공격력2=4, 생명력2=2,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아군 하수인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무작위 아군 하수인 둘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
소환: 난 그 무엇도 두렵지않다! ...쥐만 빼고.(Nothing scares me! ...except mice.)
파괴: 복수해다오...(Avenge me...)
파괴: 복수해다오...(Avenge me...)
일명 천보녀. 2단계 하수인임에도 초반엔 선호되지 않고 극후반에 선호되는 독특한 하수인이다.
전장의 극후반부는 막대한 스텟과 독소 용병을 기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피해를 한 번 무시하는 천상의 보호막의 가치가 굉장히 높아지는데, 이 하수인이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해주므로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 스탯이 2/1이라 배치에 따라 상대의 천상의 보호막을 한 번 벗기고 보호막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보통 리븐데어와 함께 기용해 최대한 많은 기물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하는 것이 전장 최후반의 핵심으로, 황금 천보녀 + 황금 리븐데어면 내 필드 전체에 천상의 보호막을 부여할 수 있다. 주로 스탯은 막대하지만 유틸성이 떨어지는 덱들이 이 전략을 선호한다. 다만 무모한 리로이와의 궁합은 좋지 못해서 둘을 함께 기용하려면 배치와 전투 순서에 신경써야한다.
이미 천상의 보호막을 갖고 있는 하수인에겐 보호막을 부여하지 않는다.
전장 초창기에는 일회용 능력인 독소 대신 독성이 있었기 때문에 독성 하수인에게 천상의 보호막을 씌워주면 독성을 2번까지 발동시킬 수 있는 막강한 기물이었고, 이 때문에 결국 삭제되었다. 한참 뒤 독성이 전부 독소로 하향되어 독성 + 천보 날먹이 불가능해져서 다시 복귀했다.
원래는 대전 모드의 성기사의 2016년 카드 헌신적인 영웅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었기에 성기사 직업 테두리가 있었으나, 시즌 10에서 카드의 테두리로 종족을 나타내는 대규모 패치에서 중립 카드 테두리를 달게 되었다. 이 때문에 전장과 대전에서의 스펙이 일부 달라진 특이한 케이스가 되었다.
2.12.2. 태그 전장 전용
2.12.2.1. 유랑자 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 태그=,한글명=유랑자 초, 일러명=유랑자_초, 영문명=Wanderer Cho,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효과=매 턴마다 내 다음 <b>전달</b>의 비용이 무료가 됩니다. <i>(1회 남음!)</i>,
효과2=매 턴마다 내 다음 두 번의 <b>전달</b>의 비용이 무료가 됩니다. <i>(2회 남음!)</i>,
)]
소환: 산책에 나설 준비 끝났길 바라네. ()
전달을 한 번 공짜로 할 수 있게 해주는 중립 하수인. 종족값이 없긴 하지만 초반에 써먹기는 준수한 스탯이고, 1단계에서 괴물 같은 성장력을 보여주는 여행객과의 궁합은 찰떡이다. 자신이 내 동료를 지원하는 쪽이라면 황금을 맞춰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대신 최후반까지 갖고 가기는 살짝 애매해서 상황을 잘 봐야 한다.
2.12.2.2. 친근한 선술집 주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2, 태그=,한글명=친근한 선술집 주인, 일러명=친근한_선술집_주인, 영문명=Friendly Saloonkeeper,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팀원이 황금 동전을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팀원이 황금 동전을 2개 얻습니다.,
)]
소환: 팁 줘서 고맙소! (Thanks for tipping your tauren.)
팀원에게 동전을 준다. 스탯도 3/4로 준수하고, 전투의 함성이라 브란, 용족 죽음비늘과 연계하면 팀원에게 동전을 쏟아부을 수 있다. 물론 신나서 건네주다가 괜히 핸드 파괴를 일으키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는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2단계/21.2패치 이전, version=339, uuid=dfb36969-7c5d-4152-b3f4-b8112f8cbe5e,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2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2=45, uuid2=e7835864-3ee4-468f-878d-84cc9669363b,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1단계, version3=287, uuid3=7405b2fb-f3e9-4bb6-a81a-96018d06ac44,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 version4=535, uuid4=f0c85cf7-02bf-4857-b715-8bd9536af4b4,
title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2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5=58, uuid5=67a39d0d-c2f9-4ebc-89b9-ceacfcb6976e,
title6=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2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6=75, uuid6=07cf03fb-b6e1-4ac2-8a03-8024ba7e0f3d,
title7=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 version7=631, uuid7=095358f3-2c2a-47c6-8f58-778c02488119,
title8=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version8=836, uuid8=2f28981d-0719-4aa9-be99-c5cc8d2f641c,
title9=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2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9=100, uuid9=2409bd56-5e66-4e1e-9652-06bfc3617aa3,)]
[1] 원문 역시 천공(Astral)의 전투로봇을 발음이 비슷한 고대(Ancestral)로 살짝 바꾼 언어유희다. 다만 소환 대사가 있던 원본과 달리 이 카드는 원본의 소환 효과음만 나온다.[2] 텍스트: 하수인의 능력치를 얻음[3] 말장난으로, 비행 금지 구역/파리 금지 구역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어 번역에서는 파리의 의미만 담았다.[4] 텍스트: 공격력 +1(+2)[5] 텍스트: +X/+X[6] 텍스트: +1/+2(+2/+4)[7] 텍스트: 생명력 증가[8] 텍스트: +2/+1(+4/+2)[9] 텍스트: +1/+1(+2/+2)